View : 11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김지수-
dc.creator김지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4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474-
dc.description.abstract발달장애학생에게 직업은 경제적인 의미를 넘어 개인의 자아실현의 장이자 대인관계의 바탕이 되어 성인기의 높은 삶의 질로 이어지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장애학생을 위한 각종 정책에서 직업 준비를 위한 내용은 반드시 포함되며, 특수교육의 종료 후 장애학생의 고용 결과를 특수교육의 성과 중 하나로 여기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생, 그 중에서도 장애인 고용 여건에서 중증장애인으로 분류되는 발달장애학생의 고용은 양과 질에 있어서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프로그램”은 발달장애학생의 고용전환지원을 위해 첫 기관 간 협력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으로서, 본 연구 참여자들과 관련이 있는 2011년의 시범사업에서는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종료 후 일부 참여자들이 기업의 정규직 사원으로 채용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고용전환지원을 위한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프로그램” 참여자 및 관련자의 인식과 경험에 대해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총 16명으로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학생 4명과, 부모 3명, 고등학교 특수교사 2명, 직무지도원 1명, 훈련기관의 직장상사 2명, 기업의 직장상사 2명, 기업의 고용주 1명,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책임기관 담당자 1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목적표집과 눈덩이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선정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을 개발하여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와 연구 보조자에 의해 전사 및 확인 과정을 거쳤으며, 지속적 비교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3가지 주제, 8가지 하위주제, 27가지 카테고리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3개의 주제는 첫째, 발달장애학생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실시에 대한 참여자들과 관련자들의 평가, 둘째, 발달장애학생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후 정규직 취업에 영향을 미친 요소, 셋째, 발달장애학생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후 정규직 취업 근로자의 직장생활에 대한 본인과 관련자의 평가이다. 첫째, 발달장애학생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실시에 대한 참여자들과 관련자들의 평가와 관련하여 3가지 하위주제와 14가지 카테고리가 도출되었다. 3가지 주제는 (1) 최초의 기간 관 협력의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의 의미, (2)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의 역할과 기능, (3)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의 개선요소이며, 14가지 카테고리는 (a) 발달장애학생의 고용촉진을 위한 고용전문기관과 교육청 협력의 효시, (b) 발달장애학생의 학교에서 고용으로의 전환을 지원, (c) 발달장애학생 취업 역량 판별 기회, (d) 장애인 고용전문기관의 발달장애학생의 고용전환지원에 대한 인식 제고 기회, (e) 교육청의 발달장애학생의 고용전환지원에 대한 역할 수행 기회, (f) 발달장애학생에서 근로자로의 태도 변화 유도, (g) 발달장애학생에게 익숙한 환경에서 직업훈련기회 제공, (h) 직장상사의 인식과 태도 변화 유도, (i) 훈련기관 내 직간접적 지원망 구축 계기, (j) 학생에서 정규직 근로자로의 고용전환 기회 제공, (k) 개인 특성 및 성별을 고려하지 않은 훈련기관 배치, (l) 발달장애학생의 한정된 업무 영역, (m) 훈련기관의 미흡한 사전준비, (n) 행정적 지원의 부족이다. 둘째, 발달장애학생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후 정규직으로 취업한 근로자의 성공요소와 관련해서는 2가지 하위주제와 5가지 카테고리가 도출되었다. 2가지 하위주제는 (1) 고용에 적합한 발달장애학생 요소, (2) 발달장애 근로자 고용을 원하는 기업 요소이며, 이에 따른 5가지 카테고리는 (a) 공공부문 일자리에서의 성공적인 직업훈련 경험, (b) 발달장애학생의 직업 유지 의지, (c) 직장생활에 필요한 기능과 태도 준비, (d) 기업의 구인시점과 발달장애학생의 구직시점 일치, (e) 발달장애 근로자 고용을 위한 기업의 사전준비이다. 셋째, 발달장애학생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후 정규직 취업 근로자의 직장생활에 대한 본인과 관련자들의 평가에서는 3가지 하위주제와 8가지 카테고리가 도출되었다. 3가지 주제는 (1) 정규직 발달장애 근로자의 직장생활 만족 요소 (2) 정규직 발달장애 근로자로서의 직장생활 수행, (3) 기업과 가정의 관계에 대한 요구이며, 8가지 카테고리는 (a) 직장인이라는 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만족, (b) 발달장애인 동료 근로자와 함께 일하는 기쁨, (c) 기간의 제한이 없는 일자리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 (d) 근로자 선호도와 직무의 적합성으로 인한 높은 업무 수행력, (e) 직장 내 빠른 사회적 관계 형성, (f)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와 미 참여자와의 근무태도 차이, (g) 직장에 대한 근로자 부모의 인식 전환 요구, (h) 기업과 가정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대한 요구이다. 본 연구 결과는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직업경험이 발달장애학생의 정규직 취업 및 직장생활에 영향을 주었으며,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발달장애 근로자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의 의미와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개선요소가 논의되었으며, 후속연구와 특수교육 현장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기관 간 협력의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을 다양한 시각을 가진 연구 참여자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 최초로 실시된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의 사례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특정 기업에 취업한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하였으므로 연구 참여자와 기간을 확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ho took part in the "Career-jump program" and program-related persons, which was implemented by the cooperation of institution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Career-jump program" was implemented by the collaboration between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KEAD) and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an effort to support employment transition to employmen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success factors of getting the regular jobs in the participants, and the job experiences of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by observing the influence of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on employment outcom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expects to find out the methods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getting a job i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ore efficient administration of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This study carried out with 16 participants; 4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took part in the employment transition supporting program, 3 parents of those students, 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high school, 1 job coach, 2 supervisors at a training institution, 2 supervisors at work, 1 employer hir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1 officer at the institution administering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criteria predetermined by the researcher in method of the purposive sampling and the snowball sampl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questions developed for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pted and checked by advisory group. The code book was completed using the constant and systematic comparison method and based on this, 3 themes, 8 sub-themes and 27 category were derived ultimately. First, in regards to the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the participants and those involved in the program, 3 sub-themes were elicited. 3 sub-themes include (1) the meaning of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implemented by the cooperation of institutions for the first time, (2)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3) factors that need to be improved for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Second, as for the success factors of getting the regular jobs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2 sub-themes were derived. 2 sub-themes involve (1) factors of the successfu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get employed, (2) factors of the companies that willing to employ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in the evaluation of the job experiences of the workers with regular jobs after finishing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the participants and the people involved in the program, 3 sub-themes were elicited. 3 sub-themes include (1) factors for the satisfaction in work life of regular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 implements of work life as regular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3) demand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and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had an influence on the employment, getting regular jobs, and successful job experienc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implies that compared with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had considerable advantages.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t carried out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administered by the cooperation of institution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rough evaluations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with diverse perspecti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5 A. 발달장애학생의 고용을 위한 전환서비스의 중요성 5 B. 발달장애학생의 고용 관련 선행연구 고찰 9 C. 발달장애학생의 고용전환지원을 위한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프로그램” 13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 참여자 18 1. 연구 참여자 선정 18 2. 연구 참여자 배경정보 19 B.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21 1. 심층 면담을 위한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 개발 22 2. 개별 심층 면담 실시 25 C. 자료 분석 25 D.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 26 E. 질적 연구의 윤리적 고려 27 Ⅳ. 연구 결과 29 A. 발달장애학생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실시에 대한 참여자와 관련자의 평가 29 1. 최초의 기관 간 협력의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의 의미 30 2.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의 역할과 기능 42 3.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의 개선 요소 58 B. 발달장애학생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후 정규직 취업에 영향을 미친 요소 68 1. 고용에 적합한 발달장애학생 요소 69 2. 발달장애 근로자 고용을 원하는 기업 요소 77 C. 발달장애학생 고용전환지원 프로그램 후 정규직 취업 근로자의 직장생활에 대한 본인과 관련자의 평가 81 1. 정규직 발달장애 근로자의 직장생활 만족 요소 82 2. 정규직 발달장애 근로자로서의 직장생활 수행 87 3. 기업과 가정의 관계에 대한 요구 93 Ⅴ. 논의 및 제언 96 A. 논의 96 B. 연구의 제한점 103 C. 후속연구와 현장을 위한 제언 104 참고문헌 107 부록 117 ABSTRACT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16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발달장애학생의 고용전환지원을 위한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프로그램” 참여자와 관련자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qualitative inquiry on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lated persons in Career-Jump program supporting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dc.creator.othernameKim, Ji Su-
dc.format.pageix, 128 p.-
dc.contributor.examiner박지연-
dc.contributor.examiner김유리-
dc.contributor.examiner박승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