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2 Download: 0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 및 병행기능 유무가 노년층 관계절 문장 이해과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 및 병행기능 유무가 노년층 관계절 문장 이해과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noun-phrase type and parallel function on the relative clause sentence processing of normal elderly adults
Authors
이지선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age-related changes in online sentence processing abilities, when the noun-phrase type (noun-phrase match vs noun-phrase mismatch) and parallel function of head noun (parallel vs non-parallel) were systematically manipulated. A total of 60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30 individuals per each age group. The mean age was 23 (SD=3.89; Range=20-36) and 69.7 (SD=6.36; Range=60-79) for the young group and normal elderly group, respectively. The noun-phrase type consisted of the two conditions (match vs mismatch) based on the similarity-based interference effects. In the matched condition, the noun-phrase(NP) in the embedded clause and the NP in the main clause have profession-related nouns in common, whereas the mismatch condition contained the pronoun in the embedded clause with the common noun in the main clause. The syntactic structures that the current study employed were parallel function and non-parallel function depending on the parallel function of head noun. Stimuli for experiment consisted of 48 experimental sentences and 30 filler sentences. The current study employed a word-by-word self-paced reading paradigm to measure the online reading times for critical words of the second NP and the verb in the main clause. Yes/No questions were administered at the end of a sentence to measure the offline abilities. Three-way mixed ANOVAs were performed for each dependent measure: (1) accuracy, (2) response time, (3) online reading time of head noun, (4) online reading time of a verb in the main clause. Results from the off-line yes/no questions revealed that the normal elderly group showed lower accuracy and slower response times(RTs) than the young group. Participants showed higher accuracy and faster RTs when the NPs were mismatched and sentences contained parallel function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and NP type for RTs, indicating that the normal elderl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nger RTs in sentences with the matched NPs compared to the young group. The three-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it was due to the fact that normal elderly group showed significantly worse performance on the conditions with matched NPs and non-parallel functions compared to the young group. Results from the online reading times of critical word(head noun and verb in the main clause) revealed that the elderly group showed longer reading times than the young group. Participants showed reduced online reading times for critical word under the conditions with mismatched NPs and parallel function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s and NP type for reading times of the head noun, indicating that the normal elderl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nger reading times on the head noun in sentences with the matched NPs compared to the young group.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the NP type and parallel function was significant in the verb in the main clause, suggesting that online reading times were prolonged when sentences contained matched NPs with parallel funct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anipulation of the NP type showed greater effects on age-related decline in online sentence processing than the parallel function of head noun. The current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semantic factors such as ‘noun-phrase type’ are more vulnerable to aging than the syntactic features.;평균 수명의 증가로 인한 고령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이들의 심리․신체적 변화, 사회․경제적 문제 뿐 아니라 인지 및 언어능력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있다.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도 뇌의 구조․기능적 변화가 생기고 그에 따라 감각능력, 지각능력, 기억능력, 언어능력 등 인지기능이 감퇴하게 된다(Light, 1991). 이중 언어능력은 인간이 사회적인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데 기반이 되는 요건 중 하나로써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능력의 변화를 살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언어 이해능력 중 문장 이해력을 파악하는 것은 여러 종류의 하위 언어정보처리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평가방법 중 하나이다. 언어 이해능력 측정을 위한 연구 중에서는 관계절과 같은 복잡한 구문을 가진 문장을 이해하는 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관계절은 명사를 수식하는 불완전한 절이라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문장 이해를 위해 관계절 안팎의 의미․구문 정보의 통합이 요구되기 때문이다(박주혜 & 김영욱, 2009). 또한 문장 이해 과제는 문자 지각과정, 어휘 이해과정, 통사 분석과정, 의미역 관계 등 여러 종류의 하위 언어정보처리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평가방법 중 하나이다(이홍재 외, 2001). 따라서 본 연구는 관계절 문장을 활용하여 청년층과 노년층의 문장 이해과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노화에 따른 문장 이해과정에서 나타나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화에 따른 관계절 문장 이해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의미․통사적 요인을 파악하였다. 첫째, 의미적 요인은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이다. Gordon et al.(2001, 2004)은 관계절 문장 이해과정에 있어 문장 내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가 문장 이해에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관계절 명사구와 주절 명사구의 속성이 일치하는 경우가 불일치하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문장처리에 어려움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즉, 문장 이해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가 문장 내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이며, 속성이 일치할 때 ‘유사성에 의한 간섭효과(similarity-based interference effect)’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둘째, 통사적 요인은 핵심명사의 ‘병행기능(parallel function) 유무’이다. Sheldon(1974)은 관계절 문장 이해과정에 핵심명사가 병행기능을 갖는 경우가 병행기능을 갖지 않을 때보다 높은 이해도를 보임을 밝혔다. 이는 핵심명사가 병행기능을 갖지 않을 경우 한 단어가 갖는 문법적인 역할을 한번 부호화 한 다음에 또 다시 다른 역할로 부호화 되어야하기 때문에 두 배 이상의 처리부담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년층과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관계절 내포문에서, 관계절 명사구와 핵심 명사구의 속성 일치여부와 핵심명사의 병행기능 유무에 따라 (1) 문장 이해 정확도(accuracy), (2) 문장 이해 반응시간(response time), (3) 핵심명사의 실시간 읽기시간(online reading time), (4) 주절동사의 실시간 읽기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통계적 분석은 SPSS(ver.20)을 활용하여 삼원혼합분산분석(three-way mixed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20-39세 청년층 30명(남:14명, 여:16명)과 60-79세의 노년층 30명(남:16명, 여: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은 이프라임(E-Prime 2.0)이 설치된 컴퓨터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자기조절읽기(self-paced reading) 방식으로 문장을 어절별로 읽어나갔다. 이는 컴퓨터 화면에 한 문장을 이루는 어절을 순서대로 하나씩 제시하고, 대상자가 자기 속도대로 읽고 자판을 누르면 다음 어절이 나오도록 하는 방식이다. 어절별 읽기시간(word-by-word reading time)은 밀리세컨드(ms) 단위로 측정되었다. 이후, 문장을 정확하게 이해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질문을 제시하고 ‘예’ 또는 ‘아니오’로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반응시간을 밀레세컨드(ms) 단위로 측정하였다. 또한 질문에 정반응 여부에 따라 정확도를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단, 읽기시간과 반응시간은 정반응 한 문항에 대해서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층의 문장이해 정확도가 청년층에 비해 낮았다. 관계절 명사구와 핵심 명사구의 속성이 불일치(관계절 명사구: 대명사, 핵심 명사구: 보통명사)하는 경우가 일치하는 경우(관계절 명사구: 보통명사, 핵심 명사구: 보통명사)에 비해 정확도가 높았으며, 핵심명사가 병행기능을 가질 경우가 병행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 및 병행기능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에 관한 삼차상호작용이 유의했다. 이는 명사구 속성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일치하는 경우에 비해 병행기능 유무에 따른 문장 이해 정확도의 차이를 크게 보였으며, 이것이 노년층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기 때문이었다. 둘째, 노년층의 문장이해 반응시간이 청년층에 비해 느렸다. 관계절 명사구와 핵심 명사구의 속성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일치하는 경우보다 빠른 반응시간을 보였으며, 핵심명사가 병행기능을 갖는 경우가 병행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반응시간이 빨랐다. 또한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와 집단에 대한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이는 두 집단 모두 명사구 속성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일치하는 경우에 비해 더 빠른 문장 이해 반응시간을 보였지만 그 차이가 노년층에서 더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셋째,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핵심명사 읽기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관계절 명사구와 핵심 명사구의 속성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일치하는 경우보다 짧은 읽기시간을 보였으며, 핵심명사가 병행기능을 갖는 경우가 병행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짧은 읽기시간을 보였다. 또한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와 집단에 대한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이는 두 집단 명사구 속성이 불일치하는 경우에서 일치하는 경우보다 더 짧은 읽기시간을 보였지만 그 차이가 노년층에서 더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넷째, 노년층의 청년층에 비해 주절동사 읽기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관계절 명사구와 핵심 명사구의 속성이 불일치 할 경우가 일치하는 경우보다 짧은 읽기시간을 보였다. 또한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와 병행기능에 대한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이는 관계절 명사구와 핵심 명사구의 속성이 일치하는 경우가 불일치하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병행기능 유무에 따른 주절동사의 읽기시간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집단 별로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와 ‘병행기능 유무’가 관계절 문장 이해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와 관련하여, 반응시간과 실시간 핵심명사 읽기시간을 분석한 결과에서 노년층과 청년층의 차이가 나타났다. 청년층과 노년층 모두 관계절 명사구와 핵심 명사구의 속성이 둘 다 보통명사로 일치하는 경우, 각각 대명사와 보통명사로 불일치할 경우보다 더 느린 반응시간과 긴 읽기시간을 보였다. 하지만 그 차이가 노년층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두 명사구 속성이 모두 보통명사로 일치할 경우 노년층의 반응시간과 읽기시간이 더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즉,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명사구 속성 일치로 인한 간섭효과로 정보를 처리하는데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병행기능 유무’와 관련하여서는 두 그룹 간 차이는 없었다. 노년층 역시 청년층과 마찬가지로 핵심명사가 병행기능을 가진 경우에서 병행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보다 높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즉, 청년층과 마찬가지로 병행기능 단서를 활용하기 위한 조사처리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병행기능 유무’와 같은 통사적 요인보다는 ‘명사구 속성 일치여부’와 같은 의미적 요인이 노화에 따른 문장 이해과정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보다 민감한 요인(factor)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문장 내 명사구 속성의 달리함으로써 노년층의 문장 이해력 평가와 중재를 위해 필요한 문장별 난이도위계(hierarchy of difficulty)체계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