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이설희-
dc.creator이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6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1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672-
dc.description.abstractThe adolescence is the important period during which one’s self-identity and values are being established, and searching and preparing for making career decision is one of the primary developmental tasks of this period. Career education of adolescence is important in terms of providing the variety of opportunities and supporting to realize a clear goal that helps adolescents to recognize․explore oneself and circumstance regardless of whether having a disability or not. Adolescence career education in Korea was led by the general education until early and mid 1990s. However, the interests in and efforts for adolescence career education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Lately,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education is growing actively for the purpose to prepare students as the talented individual appropriate for the future society that requires advanced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in the general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U.S., the efforts to enhance the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have a STEM education have been made consistently. On the other hand, it is hard to see STEM education provide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STEM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meaningful in regard of the opportunities to enhance the scientific grounding relevant to career and job and understanding scientific technique in everyday life the STEM education provides.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ability of individuals is very diverse. Thus, the requirements for having a career are also different. Therefore, a caree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with various contents and methods to fi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goal. However, current care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 is limited in contents and methods in spite of its high demand.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d conducted a STEM Focus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EM focus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Identity, Knowledge and preference in STEM area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twent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f resource rooms, specia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S. Ten students are grouped and assigned in pair to each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o have a similar degree of disability, age, gender, level of intellectual capacity,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STEM focused career program of this study is organized into three phases: ‘career recognition’,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The program i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fourteen sessions. Each phase includes the elements of STEM career education,‘hands-on activities, mentoring, meeting with the professionals in STEM fields, technology use, and workplace trip.’Also, strategies, such as‘content enhancement, UDL, self-determination, utilizing technology use, and collaborative supports’are used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promote participations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verify the effects of STEM focused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two-independent samples t test i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hang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career identity, knowledge and preference in STEM,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career ident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nhancement in career ident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 to control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s from the comparison of change degree in knowledge of the STEM area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dicated that the knowledge enhancement of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bout STEM are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Third, experimental group students’preference to the STEM are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nhanc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degree of change in preference to the STEM area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nhanc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provides a program connected to career education to the youth with disabilities relatively isolated from STEM education. In this process, the professionals in the diverse fields cooperated and various strategies were utilized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to program and encourag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educated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understand the STEM principle and recognize the possibility to explore a career in a new field has significance.; 청소년기는 자아정체성과 가치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며, 진로 선택을 위한 탐색과 준비는 이 시기의 주요 발달 과업 중 하나이다. 이러한 청소년기에 이루어지는 진로교육은 장애유무를 막론하고 자신과 환경을 인식․탐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분명한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청소년기 진로교육은 1990년대 초, 중반 까지만 해도 일반교육의 주도 하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특수교육 분야에 있어서도 청소년기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최근 일반교육에서는 과학, 기술, 공학, 수학에서 더 높은 수준의 창의성과 혁신이 요구되는 미래사회에 적합한 인재 양성을 위해 학생들을 준비시키고자 하는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장애학생들에게도 STEM 교육의 기회를 증진시키고자하는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장애학생들을 위한 STEM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학생들을 위한 STEM 교육은 일상생활 속 과학기술을 이해하고 진로 및 직업과 관련된 과학적 소양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할 것이다. 지체장애 학생들의 경우 개개인이 갖는 능력이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이에 따라 진로에 대한 요구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개별 학생들의 특성과 목표에 맞는 다양한 내용과 방법의 진로교육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지체장애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내용이나 방법의 측면에서 제한적인 진로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학생들을 위한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S시에 위치한 중, 고등학교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20명의 지체장애 학생들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의 성별, 연령, 장애등급 및 지적능력, 읽기․쓰기, 구어 의사소통 수준이 유사하도록 짝지어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진로 인식’, ‘진로 탐색’, ‘진로 준비’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총 14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각 단계에는 STEM 진로교육의 요소인 ‘체험활동, 멘토링, 전문가와의 만남, 테크놀로지 활용, 직업현장 방문’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지체장애 학생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여 ‘내용향상 전략, UDL, 자기결정, 테크놀로지 활용, 협력적 지원’과 같은 전략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정체감,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서의 변화 차이를 두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 간 진로정체감의 변화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의 진로정체감 향상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 간 STEM 영역 지식의 변화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의 STEM 영역 지식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 간 STEM 영역 선호의 변화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의 STEM 영역 선호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 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변화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STEM 교육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온 장애 청소년에게 진로교육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이 이루어졌으며 지체장애 학생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생들이 일상생활 속 STEM 원리를 이해하고 새로운 분야의 진로에 대한 가능성을 인식하게 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 정의 6 1.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 6 2. 진로정체감 6 3.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6 Ⅱ. 이론적 배경 8 A. 장애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8 1. 진로교육의 개념 8 2. 특수교육에서 진로교육의 의의 11 3.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15 4. 장애학생의 진로교육 현황 및 성과 17 B. STEM 교육 20 1. STEM 교육 개관 20 2. 장애학생을 위한 STEM 교육 25 3. STEM 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 30 Ⅲ. 연구방법 35 A. 연구 참여자 35 B. 실험 장소 37 C. 실험 기간 37 D. 독립변인 38 1. STEM 분야 진학 및 취업 프로그램 분석 39 2.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40 3.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 45 E. 종속변인 측정 50 1. 진로정체감 50 2.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51 3.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52 F. 실험설계 및 절차 53 1. 실험설계 53 2. 실험절차 54 G. 중재충실도 56 H. 사회적 타당도 57 Ⅳ. 연구결과 59 A.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59 B.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STEM 영역 지식과 선호에 미치는 영향 60 1. STEM 영역 지식 60 2. STEM 영역 선호 61 C.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62 Ⅴ. 논의 및 제언 64 A. 논의 65 1.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65 2.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STEM 영역 지식과 선호에 미치는 영향 67 3.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69 B. 연구의 제한점 72 C. 제언 74 참고문헌 76 부록 90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213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TEM Focus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Identity, Knowledge and Preference in STEM area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Lee, Seol Hee-
dc.format.pagevii, 114 p.-
dc.contributor.examiner박지연-
dc.contributor.examiner김유리-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