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5 Download: 0

신문식성 측면에서 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텍스트 읽기 과정 분석

Title
신문식성 측면에서 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텍스트 읽기 과정 분석
Other Titles
Exploring the Internet Text Reading Behaviors and Strategies Used by Sixth-grade Readers
Authors
한혜주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영
Abstract
Due to the rapid change in media environment, utilizing digital media already became an universal phenomenon not only for the adults but also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is swift chang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using digital media in education. Especially the Internet is the most accessible media for students in their everyday lives and its usage is expanded to school education. Despite the increased use of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Internet in school and at home, little has been studied about the reading processes and strategies that readers use for the Internet texts. Internet text reading requires completely different literary competence from the one required in the printed text reading Thus, the necessity of teaching skills and strategies for Internet text reading with printed text reading is gaining importance in schools. However, the Internet text read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not sufficiently discuss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nternet text reading behaviors and strategies used by sixth-grade readers who have diverse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chose to proceed a case study through a qualitative method for analyzing internet text reading behaviors and strategies used by sixth-grade students without any control. Also, in order to do an in-depth analysis, 16 participant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ir printed text reading abilities, computer skills, and gender. They performed two Internet text reading tasks with a goal of finding information about 1) the common topic given to them and 2) the individualized topic they cho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have higher level of competence in printed text reading showed more efficient reading behaviors and used various strategies. However, even these students have not yet acquired the additional complex skills to read Internet text properly. Second, students who have lower competence in printed text reading but have higher computer skills showed relevant reading processes and used proper strategies. They could not use various strategies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competence in printed text reading. However, they used key strategies that can help them accomplish the reading successfully. Third, gender differences in Internet text reading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opic. In case of the common topic, boys showed active behaviors in reading the Internet text. On the contrary, girls performed better in reading individualized topic. Girls were careful readers who read entire page and moved cautiously and boys were active readers who did not read carefully but made quick decisions to find relevant texts. Fourth, common characteristics of sixth-grade Internet readers are analyzed. Students relied on their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s about the Internet and applied printed text reading strategies into the Internet text reading. Also they did not consider Internet text reading activities as learning activities, so they could not concentrate on their reading tasks. With the results above, the implication for Internet text reading education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the Internet media affects their Internet text reading. If students do not understand what the Internet media is and how it works, they can not become good Internet readers. Thus, fundamental education for understanding the Internet media in schools is needed. Second, teachers should use the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 Students can learn and acquire the strategies from each other unaffectedly when they read the Internet text. Third, Internet text reading should be taught along with printed text. Printed text reading competence is highly correlated to the Internet text reading competence. Even though new approaches for education with digital technologies are now proceeding, it is important not to disregard the traditional reading. Four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der the Internet text reading as a play activity not as a reading activity and they are more likely to be distracted. Teacher should prepare the lessons with materials that can motivate students to participate and make students recognize Internet text reading as a learning activity. Although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readers, it provides new insights with the analysis of diverse readers’ Internet reading processes. Furthermore, future explorations about the Internet text read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ch as long-term Internet text reading research and developing a new research method for generalization of the Internet text reading process are needed.; 급속한 매체 환경 변화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매체 활용은 매우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다. 특히 학생들이 일상적인 삶 속에서 가장 자주 접하는 인터넷 매체는 학교 교육에서도 점차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인터넷을 활용한 학습에는 인쇄 매체의 경우와는 다른 인지적 과정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최근 들어 학교에서도 전통적 읽기 기능·전략과 더불어 인터넷 텍스트에 대한 읽기 기능·전략을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 텍스트 읽기 능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에도 이를 위한 학계와 교육계의 논의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인쇄 매체 읽기 능력과 컴퓨터 활용 능력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텍스트 읽기 행동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인쇄 매체 읽기 능력과 컴퓨터 활용 능력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텍스트 읽기 전략 활용의 특성은 무엇인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A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읽기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능력을 가진 학습자들이 인터넷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보이는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인쇄 매체 읽기 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 성별에 따른 학생들의 인터넷 텍스트 읽기 행동 및 전략 사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쇄 매체 읽기 능력이 높을수록 인터넷 읽기 능력 또한 높았다. 그러나 인쇄 매체 읽기 능력이 높은 학생일지라도 대부분의 초등학교 학생들은 전통적인 텍스트 읽기와 달리 인터넷 텍스트 읽기가 가지는 부가적인 복잡성 부분을 아직 제대로 습득하지 못하였다. 둘째, 인쇄 매체 읽기 능력이 낮더라도 컴퓨터 활용 능력이 높을 경우에는 주제에 부합하는 읽기 과정을 보이며 적절한 인터넷 읽기 전략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인쇄 매체 읽기 능력이 낮은 학생들도 인터넷 읽기 상황에서는 유의미한 내비게이션 행동을 통해 주제에 부합하는 읽기를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의 읽기는 주제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공통 주제의 읽기에서는 남학생이 활발한 내비게이션 행동을 통해 적극적인 읽기를 하였으나 개별 주제의 읽기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주제에 부합하는 읽기를 하였다. 결과적으로 여학생은 남학생들보다 신중하게 이동하며 읽기를 하려는 경향을 보였고 남학생들은 적극적으로 활동적인 읽기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인터넷 읽기 중 초등학생들이 공통적으로 보인 읽기 특성이 있었다. 먼저 선행 지식 및 경험 의존적 읽기를 하는 모습을 보이며 인쇄 매체 읽기 과정을 적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학습 상황으로의 인식이 부족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이 인터넷을 활용한 수업을 한다고 하였을 때 주어진 활동이 아닌 다른 인터넷 활동을 하는 모습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은 아래의 다섯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사전 지식이 학생들의 인터넷 텍스트 읽기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의 첫 번째 결론과 관련하여 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읽기의 경우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 상황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줄 수 있는 교사의 수업 개발 등의 촉매제가 필요하다. 인터넷 읽기가 단순히 놀이 활동으로 여겨지기 보다는 수업에서의 읽기 학습이라고 인식될 수 있도록 교사가 흥미로운 동기 유발을 개발하고 읽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강화를 개발하여 적용하여 학생들의 집중을 이끌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학습자들이 서로 도와가며 인터넷 텍스트 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협력 학습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습자가 협력하여 읽기를 수행함으로써 서로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읽기를 못하는 학생들 또한 검색어 입력의 방법 등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인터넷 매체에 대한 이해 교육이 필요하다. 학교 교실 현장에서 아무런 사전 교육 없이 인터넷을 활용한 교과 교육을 시행하기 이전에 반드시 먼저 인터넷 읽기의 기초적인 부분들에 대해서 학생들에게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인터넷 읽기 전략의 습득에 앞서 인쇄 매체 읽기 전략의 학습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스마트 교육의 시대로 나아가며 인쇄 매체 읽기에 대한 교육을 경시하고 디지털 매체에서의 새로운 교육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소리가 높으나, 인터넷 읽기는 전통적인 읽기가 기본이 되는 것임을 강조하여야 한다. 다섯째,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텍스트 읽기 활동에서 학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또는 4, 5학년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텍스트 읽기 활동에서는 학생들의 읽기 태도에 대한 중재 및 흥미 유발을 위한 단계별 교수·학습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하였던 다양한 능력을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인터넷 읽기 과정에서 각 유형별 학생들이 보이는 행동적·전략적 특징을 밝혀내고 초등학생들이 일반적으로 겪는 어려움들에 대해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16명의 학생이라는 소수를 대상으로 인터넷 읽기 과정만을 분석하였고, 수업 상황 중 두 차례의 인터넷 읽기 과정만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수업 상황이 아닌 자연스러운 상황에서의 인터넷 읽기에 대한 연구, 인터넷 읽기 수업을 여러 차시 구성하여 학생들이 하나의 주제에 대해 긴 시간 동안 읽어나가는 양상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새로운 연구 방법을 개발하여 인터넷 읽기 과정에 대한 일반화를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