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1 Download: 0

이러닝과 연계된 모바일러닝 환경에서 사이버대학생의 목표지향성,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접근방식 간의 구조적 관계

Title
이러닝과 연계된 모바일러닝 환경에서 사이버대학생의 목표지향성,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접근방식 간의 구조적 관계
Other Titles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yber University Students' Goal Orientatio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Approaches
Authors
함유경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영주
Abstract
In the past, the mobile learning has been valued on its flexibility and mobility. However, as the online learning has been diffused rapidly, it has to offer high-quality learning experience to learners and help them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effectively(Kwon, 2011a). Recently, most of Korean cyber universities build smart learning system and based on this system they offer mobile learning service, which is linked to regular e-Learning cour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obile learning in university,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take high dimensional learning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s of learning approaches and suggest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yber university students’ enhancing quality of learning. Thus, this study will verify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approach goal, performance-approach goal, social presence, deep approach and surface approach.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 mastery-approach goal,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social presence have effects on deep approach? 2. Do mastery-approach goal,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social presence have effects on surface approach?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25 students in W cyber university, which is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These students took courses, which is opened at the second semester of 2013 and provided mobile learning service linked to e-Learning course.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administrated. After tha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stery-approach goal and social presence had positive effects on deep approach. Second, mastery-approach goal and social presence had negative effects on surface approach. However, performance-approach goal did not have effects on both deep approach and surface approac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ubjects in this study are 225 students in W cyber university. Follow-up study needs to apply this research to other different cyber educational institutes or organization where mobile learning is provided.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goal orientation and social presence on learning approaches. Therefore we suggest that future study can examine the impact of learning approaches on learning outcome variables such as learning satisfaction and student achievement. Thir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linked to regular e-Learning courses. Thus it will be meaningful for follow-up research to verify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in an education environment which exclusively offers mobile learning.;과거에 온라인교육의 가치는 주로 편의성과 유용성에 중점을 두고 평가되어왔다. 그러나 온라인 교육이 급속도로 확산됨에 따라 이제 온라인 교육은 학습자에게 질 높은 학습경험을 제공하여 만족도를 높이고, 의도한 목표와 성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기여해야 한다(권성연, 2011a). 최근 국내 대부분의 사이버대학에서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이러닝과정과 연계하여 모바일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학에서 제공되는 모바일러닝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모바일러닝 학습시 고차원적인 학습접근방식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학습접근방식은 학습자가 갖는 불변의 속성이 아니라, 동기 수준이나 선행지식, 학습환경, 평가방식 등에 영향을 받는 개념이다. 특히 성인학습자는 다양한 목적과 동기를 가지고 학습에 참여하며 이러한 목적과 동기에 따라 학습접근방식이 결정된다(이정희, 윤명희, 윤소정, 2007). 또한 학습자가 인지적, 감성적으로 고립감을 느낄 수 있는 사이버교육 환경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것이 학습과정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주영주, 하영자, 유지원, 김은경,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갖는 목표지향성과 이러닝과 연계된 모바일러닝 환경에서의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접근방식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과 연계된 모바일러닝 환경에서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접근방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질 높은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실천적인 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습접근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 사회적 실재감을 상정하였으며, 학습접근방식은 심층학습과 피상학습접근으로 분류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숙달접근목표지향성, 수행접근목표지향성, 사회적 실재감, 심층학습접근, 피상학습접근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 사회적 실재감은 사이버대학생의 심층학습접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1>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은 심층학습접근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2>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심층학습접근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3> 사회적 실재감은 심층학습접근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2]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 사회적 실재감은 사이버대학생의 피상학습접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1>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은 피상학습접근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2>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피상학습접근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3> 사회적 실재감은 피상학습접근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W사이버대학에서 2013학년도 2학기에 웰빙건강학부와 한국문화학부, 실용복지학부의 전공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 225명을 대상으로 기말고사 종료 전 2주간 웹서베이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를 통해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를 사용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하여 각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에 따른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실재감은 심층학습접근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심층학습접근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실재감은 피상학습접근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피상학습접근에 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 W사이버대학교에서 모바일러닝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목을 수강한 22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므로, 후속연구는 연구대상의 폭을 넓혀 다른 사이버교육기관이나 모바일러닝이 가능한 기업 및 일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접근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면, 후속연구는 학습접근방식이 학습만족도나 학업성취도와 같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이러닝과 연계되어 모바일러닝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이버대학교에서 진행되었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는 순수하게 모바일러닝 서비스만 제공되는 환경에 이를 적용하여 추가적으로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