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혼합형 초등영어학습에서 학습자의 성격유형, 온라인학습 참여도, 학업성취도, 언어불안 간의 관계규명

Title
혼합형 초등영어학습에서 학습자의 성격유형, 온라인학습 참여도, 학업성취도, 언어불안 간의 관계규명
Other Titles
A Research on Relationship among Learns' Personality Types,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anguage Anxiety in Blended Elementary English Learning
Authors
이지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명희
Abstract
Following 'The Policy of Private Tutoring Expense Reduction by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by Korea government, cyber home learning system which is e-learning system for self-directed learning was officially launched. Cyber home learning system can be used as it is for learning at home. But for being supposed to work and increasing its effectiveness, It is very recommendable that using cyber home learning system as a source of blended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without cyber home learning system can be expected to produce similar results. Blended learning brings outcomes through various subjects and among them this study interests in English learning as a foreign language. Prior research confirmed that participating English learning at home as a part of blended learning affects language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also personality types affects online learning particiation, language anxiety,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most of these researches participant were adult learners and it is very rare that study these four variables at once. So its effectiveness needed to be confirmed overall at elementary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include learns' personality types,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language anxiety, academic achievement to examine the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in blended elementary English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Does the proposed model include learns' character types,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anguage anxiety in blended elementary English learning be valid? 2. Are there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learns' character types,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anguage anxiety in blended elementary English Learning?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a elementary school was chosen. A blended elementary English learning was conducted for 1 month and the 163 survey responses was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an path analysis was done. Lastly,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indirect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modified model reduced ways of personality types and academic achievement,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and language anxiety was supported. Second, learns' character types had a direct effect on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and language anxiety.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Language anxiety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ndirect effects of variables. As a results, learns' personality types indirectly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different context like blended learning and English learning as a foreign language was considers and learns' personality types, online learning particip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anguage anxiety are considered overall.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to blended learning in K-12. But, the survey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specific responses so more participants like other grade and area would need to be includ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other variables which affect to academic achievement like learns' personality types in this study need to be researched for generalization.;국내 사교육 시장은 점차 커져만 가고 이에 따라 사교육과 공교육 간의 불균형이 심화됨에 따라 정부는 2004년 7월에 ‘교육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대책’을 발표하였고 이 대책의 하나로 사이버 가정학습을 출범시켰다. 사이버 가정학습은 가정에서 인터넷을 통해 교과와 관련된 내용을 개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이러닝 체제이다. 사이버 가정학습의 운영 형태는 다양하다. 그러나 다양한 운영 형태 중에서 도입 당시의 취지를 살리고 운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실학습과 연계한 혼합형 학습의 형태로 운영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 결과를 좀 더 확장하면 사이버 가정학습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온라인 가정학습을 제공하는 혼합형 학습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혼합형 학습은 다양한 과목에서 효과를 보이지만 그중에서도 본 연구에서 주목 한 과목은 영어다. 혼합형 학습을 실시하여 가정에서 영어학습에 참여했을 때 학업성취도와 언어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온라인학습 참여도, 학업성취도, 언어불안에 성격유형이 개인차 변인으로서 영향을 미친다는 것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거나,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가지는 여러 변인들의 관계를 분절적으로 파악하고 있어 그 효과성을 초등학생에까지 확대하여 종합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어를 혼합형 학습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학업성취도와 언어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성격유형과 온라인학습 참여도를 선정한 후 이들의 영향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혼합형 초등영어학습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3학년에 혼합형 영어학습을 적용할 때, 성격유형, 온라인학습 참여도, 학업성취도, 언어불안 간에는 의미 있는 구조적 관계가 성립하는가? 2. 초등학교 3학년에 혼합형 영어학습을 적용할 때, 성격유형, 온라인학습 참여도, 학업성취도, 언어불안 간에는 의미 있는 직간접 영향이 존재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구로구에 위치한 A 초등학교 3학년 7개 반 163명 학생들이다. 수집된 자료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였고 AMOS 21.0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성은 chi-square검증, CFI, TLI, RMSEA 값으로 판단하였으며, 마지막으로 Sobel 검증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상정된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성격유형과 학업성취도, 온라인학습 참여도와 언어불안의 경로를 삭제한 수정모형에서 성격유형, 온라인학습 참여도, 학업성취도, 언어불안 간에 의미 있는 구조적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문제 2의 변인 간 직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성격유형은 온라인학습 참여도와 언어불안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학습 참여도는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불안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obel 검증방법에 의한 간접효과의 검증 결과 성격유형이 학업성취도에 온라인학습 참여도를 매개로하여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성격유형이 학업성취도에 언어불안을 매개로하여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한 결론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유형은 온라인학습 참여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향적일수록 온라인학습에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도 내향적인 학습자가 교실수업보다는 온라인학습에 편안함을 느꼈고 이러한 연유로 외향적인 학습자 보다 온라인학습 참여도가 높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성격유형은 언어불안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향적일수록 언어불안을 많이 느끼는데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들이 문제 상황에서 해결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다각도로 지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온라인학습 참여도는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학습에 참여한 횟수가 많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온라인학습 등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부가적인 교수설계적 장치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언어불안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언어불안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인데 본 연구에서 설정하여 측정한 불안은 환경에 따라 변동이 가능한 상황적 불안임을 고려하여 볼 때, 편안한 상태에서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언어불안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처치들을 학습 상황에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성격유형이 온라인학습 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격유형이 언어불안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간접효과 중 유의했던 경로는 모두 성격유형에서 출발한다. 이는 내향적인 학습자와 외향적인 학습자의 각 기질에 적합한 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혼합형 학습, 영어학습 등의 다양한 맥락의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혼합형 학습을 초등학생에 적용하여 연구함으로서 연구 결과의 해석 가능성을 넓혔다. 이를 통해 향후 K-12에서의 혼합형 학습 실시에 있어 질적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학년, 다양한 지역의 학교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개인차 변인인 성격유형 외에 다양한 학습자 특성 변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인 학업성취도에 성격유형이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못하였다. 이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양하기 때문이라 해석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타 요인들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