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3 Download: 0

교장, 교사, 전문상담교사의 인식 분석에 기초한 전문상담교사 역할 모형 탐색

Title
교장, 교사, 전문상담교사의 인식 분석에 기초한 전문상담교사 역할 모형 탐색
Other Titles
Exploratory research on the model of a school counselor's roles based on the analysis of a principal's, teacher's, and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Authors
이지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Since 2005, full-time school counselor system based on 'Act on prevention and measure of school violence' has been implemented. It is a milestone in school counseling in Korea. School counselors have been assigned to each school as well as local education office since 2007. Since 2008, Ministry of Education have pushed forward the 'Wee project' which is a counseling system to help students and it promoted rapid growth of school counseling. Now, setting up role of a school counselor is urgent and essential step forward for qualitative development beyond quantitative growth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school counseling in Korea.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s of school counselors who are main agents of school counseling and principals, teachers who are important collaborators for establishing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and suggested the model of a school counselor's roles based on their percep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how principals, teachers, and school counselors perceive roles of secondary school counselors and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ree perspectives using concept mapping methodology. In the initial stage, the focus question was developed and selected based on preliminary interviews. After, total of 25 participants comprising of 8 principals, 8 teachers, and 9 school counselors were interviewed one by one about the roles of secondary school counselors and 372 statements were initially produced. In the second stage, research team including 3 experts synthesized and edited 372 statements which were collected from 25 interviewee using concept mapping methodology. As a result, 47 statements were finally identified. During the third phase, 24 principals, 25 teachers, and 25 school counselors sorted statements into piles based on similarities of meaning and rated importance. The result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wo dimensions, 'direct service vs. indirect service' and 'focus on clients vs. focus on base of counsel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howed ten clusters : 'promotion of counseling environment',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referral and collaboration', 'specialty improvement', 'counseling specialty advocacy',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eachers', 'assessment', 'preventive activity', 'counseling students', and 'counseling parents'. Participants gave the highest importance to 'promotion of counseling environment'. Next in the order of importance were 'counseling students', 'referral and collaboration', ‘assessment', and 'specialty improvement'.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preventive activity' were evaluated low order of importance. Each group perceived roles of school counselors in two dimensions, 'direct service vs. indirect service' and ' focus on clients vs. focus on base of counseling'. All groups rated 'promotion of counseling environment' as being the most important. Next, principals gave high importance to 'counseling students', ‘assessment' and teachers evaluated 'referral and collaboration', 'counseling students' more important, and school counselors gave priority to 'specialty improvement', 'counseling students'. Among the clusters, school counselors rated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pecialty improvement' and 'counseling specialty advocacy'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principals and teachers did. Teachers evaluated 'referral and collaboration',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eachers' and principals perceived ‘assessment' more important than other groups. Based on the result of concept map and cluster analysis, the model of a school counselor's roles is suggested. The model can be subsumed under just three broad categories which are direct service, indirect service, and counseling foundation constru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sed empirical data and it explored the roles of a school counselor from the viewpoints of three stakeholders, who are principals, teachers and school counselo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background data for standard model of secondary school counselor's role in Korea. Also, it can provide useful data for the school counselor training program, evaluation, and policy establishment.;2004년 초․중등교육법 개정과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2004. 1. 19 제정)에 근거하여 2005년 9월에 수업시수가 없이 학교상담업무만을 전담으로 하는 전문상담교사제도가 시행되었고, 이것은 학교상담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획기적인 변화라고 볼 수 있다. 2007년부터는 교육청 뿐 아니라 중․고등학교에도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되었고, 2008년부터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국가적 예산을 투입하여 Wee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학교상담은 급격하게 성장하여 활성화 되었다. 학교상담의 성공적 정착과 발전을 위해서는 양적인 성장과 더불어 학교상담관련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전문상담교사 역할모형 정립을 통하여 질적으로 성장하는 것이 시급하고 필수적인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상담의 주체인 전문상담교사와 중요한 협력자인 교장, 교사의 인식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의 방법을 활용하여 교장, 교사,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을 무엇이라고 인식하는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해 어떤 다른 인식을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와 절차를 단계별로 살펴보면, 첫 번째 단계에서는 초점질문을 개발하고 예비연구를 통해 인터뷰 질문을 결정하였다. 이후 교장 8명, 교사 8명, 전문상담교사 9명, 총 25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여 전문상담교사 역할에 대한 372개의 아이디어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자를 포함한 학교상담전문가 3인이 팀을 이루어 개념도 방법의 문항축약절차에 따라 진술문을 종합, 편집하였다. 그 결과 아이디어 진술문 47개가 채택되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교장 24명, 교사 25명, 전문상담교사 25명, 총 74명이 최종 선정된 47개 진술문을 유사성에 근거하여 분류하고 중요도에 따라 평정하였다. 전체 집단의 유사성 평정자료를 가지고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접적 서비스-간접적 서비스’, ‘상담대상 초점-상담기반 초점’의 두 개 차원이 확인되었다. 군집분석을 통해서는 ‘상담 환경 및 분위기 조성’, ‘행정 및 관리’, ‘외부기관 의뢰 및 협력’, ‘전문성 향상’, ‘상담 전문성 옹호’, ‘교사자문 및 협력’, ‘심리검사’, ‘예방 활동’, ‘학생상담’, ‘학부모 상담’ 총 10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군집별 중요도를 살펴보면, ‘상담 환경 및 분위기 조성’ 군집의 중요도 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학생상담’ ‘외부기관 의뢰’, ‘심리검사’, ‘전문성 향상’ 순이었으며, 중요도가 낮은 것은 '행정 및 관리‘, ’예방 활동‘이었다. 교장, 교사, 전문상담교사 각각의 세 집단도 전체 집단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직접적 서비스-간접적 서비스’, ‘상담대상 초점-상담기반 초점’의 두 개 차원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을 인식하고 있었다. 개념도 상에서 교장 집단은 군집에 속하는 내용들을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지각하였고, 크게 학생 및 학부모 대상 활동(학생상담, 예방 활동, 심리검사, 학부모 상담), 교사 대상 활동(교사 자문 및 협력), 상담기반 조성 활동(행정 및 관리, 외부기관 의뢰, 상담 환경 및 분위기 조성, 전문성 향상 및 옹호)으로 나누어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도 학생상담, 학부모 상담, 예방 활동, 심리검사를 직접적 서비스의 대상인 학생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역할로 보고 있었고 교사 자문 및 협력과 외부기관 의뢰를 간접적인 서비스 영역으로, 행정 및 관리, 상담환경 및 분위기 조성, 전문성 향상 및 옹호를 상담 기반 조성 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상담교사는 자문과 협력의 대상을 구분하지 않고 통합하여 인식하고 있었고, 학생 및 학부모 대상 활동(학생상담, 학부모 상담), 자문 및 협력, 예방 및 상담 기반 조성 활동(행정, 관계 형성, 예방 활동, 전문성 향상 및 옹호)으로 크게 구분하고 있었다. 세 집단의 군집별 중요도 평정 결과를 비교해보면, 세 집단 모두 ‘상담 환경 및 분위기 조성’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았고, 그 다음으로 교장의 경우 학생상담, 심리검사, 교사는 외부기관 의뢰, 학생상담, 전문상담교사는 전문성 향상, 학생상담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는 부분을 살펴보면, 전문상담교사는 다른 집단보다 행정 및 관리, 전문성 향상, 상담 전문성 옹호의 중요도를 높이 평정하였고, 교사는 외부기관 의뢰와 교사 자문 및 협력을, 교장은 심리검사를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장, 교사, 전문상담교사 전체 집단의 개념도와 군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 역할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크게 직접적 서비스, 간접적 서비스, 상담 기반 조성의 세 영역으로 나뉜다. 직접적 서비스는 전문상담교사와 학생 사이의 직접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 활동인 학생상담, 심리검사, 예방적 활동과 학부모 상담이 포함되고, 간접적 서비스에는 외부기관 의뢰 및 협력과 교사 자문 및 협력이 포함된다. 상담 기반 조성에는 상담활동을 촉진하는 상담환경 및 분위기 조성, 행정 및 관리, 전문성 향상 및 옹호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다. 각 영역이 구별되어 있기는 하지만 서로의 활동들이 연관되어 영향을 주고 받는 순환적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경험적으로 탐색한 연구이고, 전문상담교사 본인의 관점과 학교상담의 중요한 협력자인 교장, 교사의 관점을 포함하여 전문상담교사 역할을 구체화하고 이를 모형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상황에 맞는 전문상담교사 역할정립 및 학교상담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가 되며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및 연수 프로그램, 평가와 정책 설정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