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3 Download: 0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자기일과계획하기 교수가 지적장애청소년의 자기일과계획하기, 자기주도 활동 및 일과활동패턴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자기일과계획하기 교수가 지적장애청소년의 자기일과계획하기, 자기주도 활동 및 일과활동패턴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elf-Scheduling Intervention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on Self-Scheduling ,Self-Directed Activities and Diversity of Daily Activity Patter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안혜신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Promoting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best practice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transition services, because many research have confirmed that self-determination is related to more positive quality of life. Howev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yet to gain enough experiences or opportunities to control their lives. This is especially serious proble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a tendency to rely heavily on external control, s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ee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control time and events in their lives through the use of self-management strategies. Moreover, considering research findings tha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pend time meaninglessly engaging in just one or two activities repeatedly, it is necessary for them to learn how to develop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make better use of free time. In this respe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elf-scheduling intervention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have influence on self-scheduling, self-directed activities and diversity of daily activity pattern of thre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applied for this study with thre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structions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s in home and community settings during free time after school to teach how to make their own activity schedules, perform self-scheduled activities without reminders or prompts from other person and expand their daily activity reperto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as below: First, self-scheduling intervention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improved the performance in self-scheduling of all three participants during free time after school.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improved self-scheduling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s were maintained and generalized into free time during weekend. Second, the self-directed activities performance of all three participants was improved after intervention. All the participants initiated and completed all planned activities following activity schedules in a self-directed manner in the last 3 sessions during intervention.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ree participants was maintained and generalized to the similar level to intervention. Third, the diversity of daily activity pattern of all three participants was increased in intervention period.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more various types of daily activities during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while participants showed the limited or repetitive daily activity pattern during base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self-scheduling intervention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is useful for increasing self-scheduling, self-directed activities and diversity of daily activity patter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results suggest that self-scheduling can provid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increased opportunities to determine their schedules, and that self-management instruction can help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llow scheduled activities independently through self-managed prompts to cue desired behaviors while reducing reliance on others for direction. This results also show that the interventions expanded the participants’ awareness of daily activity options and the participants adopted an active attitude toward the use of free time adding new activities to their engagement repertoires over time.;특수교육의 궁극적 목표이기도 한 장애인들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최근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자기결정 기술은 특수교육 및 전환 서비스에서 최선의 실제로 간주되어 왔지만 장애학생들은 여전히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있는 경험과 기회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적장애학생들은 외적 통제에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부모나 교사 등 외적 중재자가 자신의 삶의 일들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환경 속에서 의존적이고 수동적인 태도를 반복하여 습득하게 된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들이 자신의 삶에 일어나는 일에 대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며, 최근의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개인의 독립적인 수행을 증가시키는 데 있어 자기관리전략의 효과성을 보고하고 있다. 자기관리전략은 자기결정 기술의 중요한 요소로서 다양한 학업적, 사회적 행동 습득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지만, 장애청소년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자연적 상황에서의 활동 수행이나 기술을 변인으로 하는 연구는 거의 발표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장애청소년들이 일상생활의 주어진 환경과 시간 속에서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활동을 수행하고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면서 삶에 대한 통제력을 증진시키는 것은 성인기의 자기결정 강화 및 삶의 질 향상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또한, 장애청소년들이 한두 가지의 제한되고 반복된 활동을 하면서 자유 시간을 무의미하게 보낸다는 여러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다양한 여가활동을 개발하고 시간을 유용하게 보내는 방법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청소년이 자율적으로 활동을 선택하여 일과를 계획하고 활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자기일과계획하기 교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일반 중ㆍ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명의 경도 지적장애청소년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및 일반화 단계에서 자기일과계획하기, 자기주도 활동 및 일과활동패턴의 다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연구 참여자 모두 기초선 기간 동안 자기일과계획하기에서 낮은 수행을 나타내었는데,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자기일과계획하기 교수를 통해 자기일과계획하기 수행이 기초선 기간 보다 향상되었다. 중재가 종료되고 3주 후 연구 참여자들은 기초선 기간보다 높은 자기일과계획하기 수행을 보이며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 기간에는 연구 참여자 모두 중재 수준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을 나타내며 주말 자유 시간에도 일반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세 명의 연구 참여자 모두 기초선 기간 동안 자기주도 활동에서 매우 낮은 수행을 나타내었는데,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자기일과계획하기 교수를 통해 자기주도 활동 수행이 기초선 기간 보다 향상되었다. 중재가 종료되고 3주 후 연구 참여자들은 중재 기간과 비슷한 수준의 자기주도 활동 수행을 보이며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 기간에는 연구 참여자 모두 자기주도 활동에서 완벽한 수행을 나타내며 주말 자유 시간에도 일반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세 명의 연구 참여자 모두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자기일과계획하기 교수가 실시되기 전에는 자신이 선호하는 한두 가지의 특정한 활동에만 집중하면서 대부분의 자유 시간을 무료하게 보냈는데, 중재 이후 학업 및 직업 준비, 여가생활, 가정관리, 건강관리라는 다양한 유형의 활동들을 통해 일과활동패턴의 다양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중재가 종료되고 3주 후 연구 참여자들은 중재 기간과 비슷한 일과활동패턴의 다양성을 보이며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 기간에는 연구 참여자 모두 일과활동패턴의 다양성이 중재 수준보다 향상되며 주말 자유 시간에도 일반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자기일과계획하기 교수가 방과 후 지적장애청소년의 자기일과계획하기와 자기주도 활동 및 일과활동패턴의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유지와 일반화에도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학생이 활동계획표를 이용하여 자신의 일과계획과 자기관리의 내용을 기록하면서 주어진 시간과 자신의 행동에 대한 통제력을 향상시켰으며, 학교와 가정 및 지역사회 환경에서 자주 경험하고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일과활동 목록의 개발을 통해 일과활동 옵션에 대한 인식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무료하고 반복된 일과활동패턴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의 지원 없이도 자기주도적으로 자유 시간을 유익하게 보낼 수 있음을 경험하면서 대상학생들이 자유 시간 활용에 보다 능동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