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6 Download: 0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선행조직자의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선행조직자의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Advance Organizer in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Instruction
Authors
韓信福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Keywords
중학교 과학수업선행조직자교육공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신자
Abstract
In school instruction, students often appear to have no knowledge about a topic and instructional designer or instructor has interest in how to introduce a topic in ways which can help the students to remember and to transfer the knowledge they may have about the new topic. The advance organizer is one of the cognitive strategies which has the capability of having students t o recall what they know and to transfer that knowledge to new topics. It is like a bridge which can be constructed and used with material presented in written and oral form. The advance organizer is a brief prose passage. usually about one paragraph in length which introduce a lesson or a unit of instruction before the main body of presenta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dozens of research efforts, some experimenters has found that advance organizers do improve learning and have found that advance organizers do no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vance organizer on learning and student individual variabl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2) In experimental group,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intelligence ? (3) In experimental group,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core ? (4) In experimental group,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sex ? The subject of study are 102 students 7th grade at N.Middle school in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50 for experimental group and 52 f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with the advance organizer presented before the instruction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without it.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group at the end of experiment. After instruction, post-test was given to both groups. T-test was utilized to compare the mean scores of two groups of on post-test.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 of the t-test.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than control group(t=2.03. p<0.05).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instruct ion with advance organizer was more effective than conventional type of instruction.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 of the post-test according to intelligence in experimental group(F=.044. P<0.05).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 of the post-test according to score in experimental group(F=.0539. P>0.05).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 of the post-test according to sex in experimental group(t=1.86, P>0.05). In addition, the student favored the advance organizer as a way of effective learning.;Ⅰ. 서론 우리의 학교수업은 수업에 제시될 교과내용의 범위, 교과내용을 제시하는 순서나 방법, 그리고 학습평가 등 수업에 관한 전반적인 계획이 주로 교사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수업시간에 배울 교과서 범위의 내용을 교사가 일방적인 설명에 의해서 전달하는 설명식 수업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설명식 수업상황에서, 학습자는 교사의 설명을 듣고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존재로 머물게 되고, 수업시간에 배울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구조(structure)를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지식을 새로운 학습내용과 연관시키지 못한 채, 단지 새롭게 제시되는 내용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인지구조에 보태는 기계적인 암기학습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어려움을 느끼고 학습을 성취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런 기계적인 암기학습을 극복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습자가 지니고 있는 기존의 지식과 새롭게 제시되는 학습내용을 관련시키고, 기억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인지전략(cognitive stratege)의 활용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지전략의 하나로서 선행조직자(advance organizer)를 활용할 수 있다. 이전에 이루어진 연구들은, 주로 읽기교재의 학습에서 다양한 유형의 선행 조직자를 구성하여, 교재의 학습에 앞서 제공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였고, 실제 수업상황에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중학교 과학교과의 설명식 수업에서, 수업에 앞서 진행될 수업의 목표와 수업내용에 관한 개요로 구성된 선행조직자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실험, 검증하고 이와함께, 학습자의 개인 변인(지능, 성적, 성별)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우리 학교의 실제 설명식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선행조직자의 구성과 개발을 위한 절차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Ⅱ. 연구 문제 및 가설 A. 연구 문제 1. 수업에서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선행조직자를 제공하지 않고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의 학업 성취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 2.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에서 지능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 3.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에서 성적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 4.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에서 성별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 B. 가설 1.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이 선행조직자를 제공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높은 학업 성취도를 나타낼 것이다. 2.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에서 지능이 높은 상위수준의 학습자가 높은 학업 성취도를 나타낼 것이다. 3.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에서 성적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4.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에서 성별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A. 실험 대상 본 연구의 실험을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N 중학교(남녀공학) 1학년 두 학급의 102명을 대상으로 정하였다. 이 중 한 학급은 수업시간에 제시될 수업내용에 대한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후, 수업을 진행하는 실험집단으로 정하였고, 다른 한 학급은 선행조직자의 제공없이 종래대로 수업을 진행하는 통제집단으로 정하였다. B. 실험 도구 1. 선행조직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 학년 과학교과의 내용 중, 대단원 Ⅱ.주변의 생물, 중단원 2.동물의 생활, 소단원 (1) 주변의 동물 중 대합의 생활, 지렁이의 생활, 플라나리아의 생활, 히드라의 생활, 짚신벌레의 생활 부분을 정하여 이들 총 4 차시에 해당하는 수업에 대해, 각각의 수업목표와 수업시간에 제시될 수업내용에 대한 개요를 포함하는 선행조직자를 진술문의 형태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구성된 선행조직자는 수업에 앞서 학습자에게 교과담당 교사가 3분정도에 걸쳐 구두로 제공해주었다. (부록I 참조) 2. 사전 검사지 본 연구에서는 각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부록Ⅱ 참조) 3. 사후 검사지 실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부록Ⅲ 참조) 4. 의견 조사지 사후검사 실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수업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서 본 연구자가 의견 조사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부록Ⅳ 참조) C. 실험 방법 및 절차 본 실험의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이 중, 실험수업은 11월 첫째 주부터 11월 넷째 주까지 1 개월간 매주 1 차시(45분)씩, 총 4 차시에 대해서 각 집단 모두 동일한 교사에 의해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은 수업에 앞서 수업내용에 대한 선행조직자를 구두로 제공하고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선행조직자의 제공없이 종래대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D. 자료 처리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학업 성취도의 비교 검증에는 t- test를 사용하였다. 2. 실험집단에서 지능, 성적에 따른 학업 성취도의 차이 검증에는 일원 변량 분석(one way ANOVA)을 사용하였고, 성별에 따른 학업 성취도의 차이 검증에는 t- test를 사용하였다. 지능과 성적 간의 상호작용 검증에는 이원 변량 분석(two way ANOVA)을 사용하였다. 3.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의견조사는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Ⅳ. 결과 1.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선행조직자를 제공하지 않고 종래대로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의 학업 성취도 간에는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미한 차를 보였다(t= 2.03, p< 0.05). 따라서,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수업(M=3.58)이 선행조직자를 제공하지 않고 종래대로 실시한 수업(M=2.83)보다 학업 성취도 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2.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에서, 지능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 유의수준 0.05 에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F=.044, P< 0.05). 상위수준(M=8.34)과 하위수준(M=6.20), 그리고 중위수준(M=8.40)과 하위수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에서. 성적수준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 유의수준 0.05 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0539, P> 0.05). 4.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실험집단에서, 성별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86, P> 0.05). 5. 실험집단에서 실시한 의견조사의 결과 수업에 앞서 배울 내용에 대한 선행조직자를 제공하는 것이 학습자가 수업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