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수-
dc.contributor.author신혜경-
dc.creator신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6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6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nd analyze major trends i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from 1980 to 1993, and to provide a basic resource for futur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its direction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investigates and analyzes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ECTJ , ETRGD, Educational Technology, BJET , Educational Technology, Journal of Education, Educational Development , faculty research report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and several other domestic universities, and chronically categorize these results into 12 different research area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 foreig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trend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1. The most noticeable aspect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since 1980 is a prevailence of researches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After recognizing limitations of behavioral psychology-based researches, this cognitive psychology has been providing a great impact on educational technology. 2. The role of computer related research has been increased in educational technology. Recent proliferation of fast, cheap personal computers accelerates this new research trend. 3. Constructivism has become one of the most actively studied areas in early nineties. Constructivism is investigated as a good paradigm for providing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4.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es on systems design of education or school restructuring have been widely investigated in early nineties. These studies are closely related to a demand for new education systems like "America 2000" for modern information society. 5. In early nineties, hypermedia, multimedi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en actively studied. These computer technologies provide powerful tools for an interactiv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6. In the United Kingdom, studies on distance education are quite active as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or Korea mainly due to Open University, which is one of the best research institutes for distance education in Englan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 domestic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trend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1. Since 1980, new trends for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from United States has been widely adopted. 2. The 12 major research areas categorized in this paper, are well studied in Korea as in other foreign countries. But, active research in educational technology administration area i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3. Instead of having experimental studies and qualitative research, most studies are dependent on literature re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uggest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1. To improve learner's higher level problem solving ability, application of technology based 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studied. 2. For future use of hypermedia and multimedia, integration of various research results on conventional audio-visual media should be studied. 3. In the school restructuring,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to change the roles of learners and teachers, and t o change classroom organization should be studied. 4. Mor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are necessary. 5. Microscopic aspects of educational technology also should be extensively studied. More in-depth studies and anlyses on specific areas like computer based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are required. 6.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ers should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other researchers in psychology, social science,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cognitive science, and engineering. Also, more active publication, information exchanges, and adaptation of foriegn research results. are neccessary.;20세기 이후, 현대 산업사회는 정보화 사회로의 대전환기를 맞게 되었고, 교육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두된 교육공학은 인정된 학문 분야로서 미국에서 40주년을 맞았으며, 교육공학 분야의 연구는 70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다(Ross, Sullivan, and Tennyson, 1992: Wilkinson, 1980). 이러한 시점에서 교육공학 분야의 연구가 교육연구에 대한 기대와 요구를 얼마나 충족시키고 있는가에 대한 회고와 반성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으며, 더우기, 연구가 양적으로 얼마나 이루어져 왔으며, 또한 어떤 경향성을 띠고 있는지에 대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이 방면의 연구는 아주 미비하여 앞으로 교육공학 분야의 연구실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1980년부터 1993년에 걸쳐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교육공학 연구가 어떤 영역에서 얼마나 이루어졌는가를 양적으로 조사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교육공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동향을 고찰하고, 나아가서는 앞으로의 연구실시와 교육공학 연구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외의 경우, 미국과 영국의 교육공학 연구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ECTJ, ETR&D, Educational Technology, BJET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국내의 경우에는, 교육공학 분야의 유일한 전문 학술지인 『교육 공학연구』와 그 밖의 교육학 관련 학술지인 『교육학연구』, 『교육개발』, 및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그리고 기타 여러 대학의 논문집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연구지에 게재된 교육공학 분야의 연구물들을 교육공학 분야의 12개의 하위주제영역별과 연도별로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외국의 교육공학 연구동향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980년대 이후 교육공학 연구동향의 두드러진 특징은 인지심리학을 기반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점이다. 과거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던 행동주의의 한계가 지적되면서 인지심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인지심리학의 성장은 교육공학 분야의 이론적 배경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2. 교육공학 분야 중에서는 컴퓨터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에 마이크로컴퓨터의 보급으로 컴퓨터와 관련된 연구가 12개의 하위 주제영역 중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또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3. 1980년대 말부터 구성주의가 대두되어 1990년대 초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 말부터 인지심리학의 발견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철학과 접근 방법으로서 대두된 구성주의는 공학의 발달과 학습자 중심의 학습환경 설계에 대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었다. 4. 미국에서는 1990년대 초에 교육체제 설계에 관한 연구가 다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정보사회로 들어선 현대 학교교육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분적인 개혁이 아니라 교육 체제 전체를 바꾸는 개혁이 필요하다는 요구와 함께 'America 2000'운동과 관련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었다. 5. 1990년대 초에는 하이퍼미디아 및 멀티미디아 연구와 인공지능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컴퓨터에 의해 통제되는 상호작용적인 정보환경인 하이퍼미디아와 멀티미디아는 컴퓨터 공학의 발달에 힘입어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실현할 수 있는 강력한 매체로 대두되고 있었다. 또한, 인공지능에 관한 연구도 공학의 발달과 교육공학 배경이론 분야의 패러다임 변화를 토대로 학습자 중심의 학습환경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관점에서 실시되고 있었다. 6. 영국의 교육공학의 특징은 미국이나 국내에 비해 원격교육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영국의 개방대학이 세계적인 원격교육 기관이며, 이 개방대학을 중심으로 원격교육과 관련된 교육공학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국내 교육공학의 연구동향을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980년대 이후 국내 교육공학 연구는 미국의 교육공학 이론과 방법들이 적극적으로 도입,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에 있어서는 미국의 교육공학 이론과 방법 등을 소개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국내 현실에 맞는 구체적인 현장 적용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육공학의 하위 주제영역별 연구에 있어서 국내 교육공학의 연구동향은 미국이나 영국과 같이 컴퓨터 분야의 연구가 많은 점 등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다만 국내에서는 교육공학 행정 분야의 연구가 많이 실시된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3. 연구방법에 있어서 국내 교육공학 연구는 주로 문헌 연구에 의존하고 있으며, 실험 연구는 미흡하고, 더우기 질적인 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교육공학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학습자의 고차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학 기반 환경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보화 사회의 교육환경에서는 학습자를 더이상 자극에 단순히 반응하는 존재로 보아서는 안된다. 따라서 앞으로의 교육공학 연구는 학습자를 학습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문제해결 중심의 환경을 설계하는데 공학의 발달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2. 다양한 매체를 통합하는 하이퍼미디아 및 멀티미디아 연구를 위한 토대로서 오디오, 정사진, 비디오, 필름을 비롯하여 컴퓨터 기반학습 연구로부터 나온 결과들을 활용하는 통합적 연구가 요청된다. 3. 미국의 'America 2000'운동과 같이 국내의 '21세기 한국교육' 운동 등이 실시되어, 교육체제설계에 있어서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과 교실의 조직을 변화시키기 위한 교육공학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 질적인 연구 방법의 활용이 요청된다. 행동주의에 기반한 기존의 교육공학 연구에서 주로 활용된 실험 위주의 양적 연구 방법은 인지주의 및 구성주의로의 전환에 있어서 많은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양적 연구 방법론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대안적 방법으로써 자연주의적 탐구와 같은 질적 연구 방법론의 활용에 관한 논의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5. 본 연구에서는 교육공학 연구 동향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였는데 앞으로의 연구는 미시적인 관점에서의 교육공학 하위 영역별 연구 동향에 관한 심층적인 조사, 분석이 요청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반 학습 분야나 교수설계 분야 등과 같은 한가지 주제영역에서의 연구동향을 미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분야의 연구를 반성하고 발전을 위한 토대로 삼을 수 있는 깊이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6. 특히 국내 교육공학 분야의 활발한 연구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노력이 요청된다. 첫째, 교육공학은 심리학, 사회과학,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보공학, 경영학, 인지과학, 기술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활발한 교류를 해야함은 물론, 타학문 분야와의 관계정립을 새롭게 하여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위치를 찾아야 한다. 둘째, 교육공학 분야의 활발한 국제교류와 전문 학회 활동 등을 통해, 국제적인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국내의 우수한 연구를 소개하여 알려야 하며, 또한 외국의 새로운 연구결과를 국내 현실에 맞게 적용하려는 현장 연구가 산·학·연 협동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 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교육공학연구의 개념 = 8 B. 교육공학 연구의 역사 및 발달 = 9 C. 교육공학 연구의 문제점 = 21 D. 관련 선행 연구 고찰 = 23 Ⅲ. 국내외 교육공학 연구의 최근 동향에 관한 조사 = 30 A. 연구 대상 = 30 B. 연구 방법 = 33 C. 연구 절차 = 38 D. 자료 처리 방법 = 39 Ⅳ. 연구의 결과 및 분석 = 40 A. 외국 교육공학의 연구 동향 = 40 B. 국내 교육공학의 연구 동향 = 94 Ⅴ. 결론 및 제언 = 109 참고문헌 = 114 ABSTRACT =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381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내-
dc.subject국외-
dc.subject교육공학-
dc.subject국내외-
dc.subject.ddc300-
dc.title국내 외 교육공학 연구의 최근동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80년부터 1993년까지-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cent Trends i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From 1980 To 1993-
dc.creator.othernameShin, Hye Kyoung-
dc.format.pagexi, 1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