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가정경영에 대한 노인의 의사결정권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경영에 대한 노인의 의사결정권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ecision-Making Power of the Elderly to Home Management on the Life Satisfaction
Authors
송주은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가정경영노인생활만족도의사결정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숙재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활동 이론과 교환이론에 근거하여 가정경영에 대한 여자노인의 의사결정권과 생활만족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가정관리적 시각에서 여자노인의 생활만족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측정도구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조사의 대상은 유의적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자녀와 함께 동거하고 있는 서울시 여자노인 273명을 선정하였고 설문지와 개별면접조사를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일원분산분석(ANOVA), F-test, t-test,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의 통계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가정경영에 대한 의사결정권은 개인적 변인과 가족 환경적 변인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는데 노인의 연령이 낮을수록, 배우자가 있으며, 건강이 좋을수록, 경제적인 능력이 있고 자녀와의 유대관계가 좋을수록 노인 중심의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가정경영 의사결정권에 대한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소득이 있고 연령이 낮을수록, 자녀유대관계가 좋을수록 노인 중심의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노인의 소득이었으며, 다음은 자녀유대관계, 노인의 연령순이었다. 세째,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개인적 변인과 가족 환경적 변인, 의사결정권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노인중심의 의사결정인 경우 생활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노인 생활만족의 요인인 개인적 변인, 가족 환경적 변인과 더불어 노인의 의사결정권이 생활만족을 좌우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네째,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노인 중심으로 가정경영에 대한 의사결정권이 행사되며, 자녀유대관계가 좋을수록, 건강할수록, 동거기간이 길수록,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자녀의 필요에 의해 동거하며, 배우자와 함께 동거하고, 배우자가 직업이 있는 노인의 경우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노부모와 자녀와의 관계에서 노부모의 경제적 자원이 일종의 권력으로 작용하여 가정경영에 대한 중요한 의사결정권을 좌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의사결정권이 의사결정영역의 각 항목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전반적으로 노인 자신이 경제적 자원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 상대적으로 노인 중심의 의사결정권이 나타난다는 결과를 부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교환자원을 많이 소유할수록 자신의 생활에 만족한다고 가정한 교환이론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교환자원은 권력과 교환되는 자원을 의미하며 이러한 권력은 가정경영에 대한 노인의 의사결정권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이는 가정경영에 대한 노인의 의사결정권이 생활만족도의 증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노인의 가정경영에 대한 의사결정권이 기존의 각 변인과 생활만족도를 연결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파악하였다. 그러므로 노인의 생활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가정관리적 차원에서 노인이 가정경영에 대한 의사결정을 반영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의사결정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함은 물론 사회적 차원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인의 잠재능력과 가능성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의사결정은 가족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자녀에게도 현대, 생활양식에 맞는 자녀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접근방법의 변화에 대한 교육의 실행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더불어 노부모와 자녀가 함께 학습할 수 있는 의사소통, 의사결정에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통한 두세대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학습은 노인의 생활만족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임을 시사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of decision-making power of the elderly to ho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by applying a social behavior theory and exchange theory and to find out the device, which improve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at the home management view. The methods, which are us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cision-making power of the elderly to home management according to individual and family-environment variables? 2. How much are the effects related variables on the decision-making power of the ederly to home management? 3. A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and family-environment, decision-making power variables? 4. How much are the effects related vaiables on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For these pruposes, theori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by literature review and applied to an empirical test.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aire and interview those respondents were 273 woman elderly living with one of their married children in Seoul. It was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ANOVA, F-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Decision-making power of the elderly to home managemen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ll of the variables except for religion, job status of the elderly and education, income of the children. 2. Decision-making power of the elderly to home management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he variables such as income of the elderly, solidarity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age of the elderly. The most influencial factor was income of the elderly. 3. Elderly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ll of the variables except for age, job status of the elderly and education, income of the children, inmate children. 4.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the most influencial factor was decision-making power to home management and the explanary power of those variables for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was 56.2%.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ttributed to identify importance of decision-making power of the elderly to home management through social behavior theory and exchange theory, so to improve elderly life satisf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