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수은으로 오염된 환경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영양섭취 실태와 건강 상태에 관한 연구

Title
수은으로 오염된 환경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영양섭취 실태와 건강 상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Food Intake and the Health Status of Worker in Mercury Vapor Inhalation
Authors
鄭惠汀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Keywords
수은근로자영양섭취건강상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숙희
Abstract
본 연구는 근로자의 영양 섭취 실태와 수은증기 흡입시의 체내 수은량과의 상호 관계를 알아보고자 인천시에 위치하는 모 형광등 제조공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무 형태와 연령별로(정상근무-20대 6명, 정상근무-30대 11명, 교대근무-주간-20대 9명, 교대근무-주간-30대 5명, 교대근무-야간-20대 7명, 교대근무-야간-30대 7명) 행해졌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통해 일반 환경을 조사하고, 1일 영양소별 섭취량과 식품군별 섭취량을 산출하였으며, 체위, 혈액, 뇨 검사를 통해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영양 섭취 실태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 환경 조사에서, 수면 시간은 연령에 관계없이 근무 형태에 따른 평균 수면 시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수면 시간 변동은 교대근무 - 야간군이 정상근무군과 교대근무-주간군 보다 크게 나타났다. 식사의 규칙성은 교대근무군이 정상근무군 보다 유의적으로 불규칙하였다. 2. 신장, 체중, BMI는 평균이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없이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3. 1인 1일 영양소 평균 섭취량은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없이 권장량의 수준을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조사대상자 전체적으로 Vit A, Vit B_(1)과 탄수화물, 지방의 섭취량이 부족하였고 열량의 섭취가 2151 Kcal로 권장량의 86.0%였다. 4. Hemoglobin, hematocrit과 혈청 glucose, total protein, albumin, albumin/globuli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함량은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없이 평균이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5. 수은 중독시의 자각증상 발현률과 증상수는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영양 섭취, 근무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조사대상자 전체적으로 볼 때, 64,4%가 피로를 쉽게 느끼고, 26.7%가 체중감소, 37.8% 소화불량, 44.4% 정신집중 저하, 46.7% 기억력 저하, 51.1% 불면, 28.9% 불안·우울, 24 4% 손떨림, 4.4% 걸음걸이 이상, 22.2%가 관절 이상의 증상을 느끼고 있었다. 6. 뇨내 urobilinogen, glucose, ketones, bilirubin, protein, blood함량과 PH는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없이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7. 뇨중 수은량은 근무 형태-연령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영양 섭취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배기대 작업과 배기대외 작업의 근무 부서에 따라서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 배기대 작업자들의 경우 평균이 105.2±64.0 ㎍/l였고 개인차도 커 230.0 ㎍/l 검출된 사람도 있었다. 8.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지하수에서는 수은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배기대에서 사용하고 난 후 공장 부지 내에 버려지는 폐수에서는 2.77~20.10ppm의 수은이 검출되었다.;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ood intake and the health status in Mercury vapor inhalation by comparing the types of work(normal/shift), work time(day/night) and age(20's/30's). These were 6 in normal-20's, 11 in normal-30's, 9in shift-day-20's, 5 in shift-day-30's, 7 in shift-night-20's, and 7 in shift-night-30'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the workers of a fluorescent lamp manufacturer in Incheon. General environment and nutrient intake per day were surveyed by interview and the amount of food intake in different food groups were calculated. Health status was examined by body size, blood analysis and urine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1. General environment survey shows that average sleeping hour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type of work regardless of age, but daily steeping hours in the shift/night group was very different with the normal or the shift/day group. Regularity of meal ti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2. Height, weight and BMI(K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t 1 groups and those were in normal range. 3. Average daily nutrient intakes were not different in al1 groups. As a whole, most of the nutriente intake was in the RDA, but Vit A, Vit B_(1), CHO, fat intake were below than RDA and average calorie intake was 2151 Kcal( 86% of RDA ). 4. Blood Hemoglobin, Hematacrit and serum Glucose, Total protein, Albumin, Albumin/Globuli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evel wewe not different and those were in normal range. 5. Expression rates and numbers of self-recognizing symptoms in Mercury toxic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nutrient intake and type of work, but many interviewees appealed fatigue(64.4k), indigestion(37.8%), deranged mental function(44.4%), impaired memory (26.7), insomnia(51.1%), depression(28.9), abnormal stance(4.4%), trembling(24.4) 6, In urine, urobilinogen, glucose, ketones, billirubin, protein, blood, p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al1 was in nomal range. 7. Urinary Mercur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rrespective of type of work, age,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ocate of workers. The workers near ventilation shaft had relatively higher level of uniary Mecury( 105.2±64.0 ug/l ) and the highest was 230.0 ug/l. 8. There was no Mercury in underground water which was used for drinking water, but 2.77∼20.10 ppm of Mercury was detected in discarded water which was used near ventilation shaf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