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자원제약에 따른 가정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Title
자원제약에 따른 가정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ousehold Production Activities under Resource Constraint
Authors
김은희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자원제약가정생산활동가정관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숙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constraint variables, household labor and the expectancy level of household labor among housewives by applying a household production activity model. The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lementing way of household labor according to constraint variables? And how much are the related variables' effects on the implementing way of household labor?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labor according to constraint variables and the implementing way of household labor? And how much are the related variables'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labor?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ctancy of household labor according to constraint variables, the implementing way of household labor and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labor? And how much are the related variables' effects on the expectancy of household labor? 4.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mplementing way of household labor and the expectancy of household labor? For these issues, systematic theoritical framework is developed by literature review. And then it is applied to an empirical test. The data i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aire those respondents were 357 housewies in Seoul. It is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ANOVA, F-test, t-test.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lementing way of household labor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family size, paid/unpaid assistant for household labor, income, cost of living, total asset, home ownership, household labor time, household labor time by helper, employment status, perception of energy constraint, and perception of budget constraint. Among all of these variables affecting the implementing way of household labor, the most influencial variable is household labor time by helper and the next are income, existence of dependent family, family size, education, total asset, perception of budget constraint, and perception of time constraint in order.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labor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age, family size, paid/unpaid assistant for household labor, income, cost of living, total asset, home ownership, supporting time for family, perception of energy constraint, perception of budget constraint, perception of time constraint, and the implementing way of household labor. The most influencial variable is perception of energy constraint and the next are perception of time constraint, age in order.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ctancy of household labor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existence of dependent family, paid/unpaid assistant for household labor, the type of housing, income, income source, total asset, employment status, working time, perception of budget constraint, and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labor. Among these variables affecting the expectancy of household labor, education is the highest and the next are perception of energy constraint, perception of budget constraint, household labor time by helper, total asset, existence of dependent family, and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labor in order.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mplementing way of household labor and the expectancy of household labor according to age. In general, the expectancy of household labor is shown in market dependence oriented. This facts implies that the market dependence oriented would be continued in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ttributed to develop the efficient implementing way of household labor and to explore the ways of households' we1fare progress.;본 연구는 개별가정의 자원제약에 따른 가정생산활동의 차이를 가정생산활동체계의 관점에서 규명함으로써, 자원계약에 직면한 개별가정의 효용극대화를 위한 가사노동 수행방식과 미래의 가사노동 기대수준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미래 가정의 가정생산활동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자원제약요인에 따른 가사노동 수행방식의 차이는 어떠하며,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둘째, 가정의 자원제약요인 및 가사노동 수행방식에 따른 가사노동 만족도의 차이는 어떠하며,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세째, 가정의 자원제약요인, 가사노동수행방식, 가사노동 만족도에 따른 가사노동 기대수준은 어떠하며, 관련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 네째, 가사노동 수행방식과 가사노동 기대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측정도구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검정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조사의 연구대상은 유의적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가정주부 357명을 선정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일원분산분석, F-test, t-test, Scheffe`'s test,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및 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및 논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가사노동 수행방식은 대체로 자급자족형이었으며, 연령, 학력, 가족크기, 가사노동보조원, 가정소득, 생활비, 총자산, 주택소유유형, 가사노동시간, 가사노동보조시간, 직업유형, 에너지제약지각, 예산제약지각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사노동 보조시간이 많을수록, 가정소득이 높을수록,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가족크기가 작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총자산이 적을수록, 예산제약지각이 낮을수록, 시간제약지각이 높을수록 용역·시장의존형 수행방식을 보였다. 또한 가사노동 수행방식에 대해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가사노동보조시간이었으며, 다음은 가정소득, 부양가족유무, 가족크기, 학력, 총자산, 예산제약지각, 시간제약지각의 순이었다. 둘째, 가사노동 만족도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연령, 가족크기, 가사노동보조원, 가정소득, 생활비, 총자산, 주택소유유형, 부양시간, 에너지계약지각, 예산제약지각, 시간제약지각, 가사노동수행방식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에너지제약지각이 낮을수록, 시간제약지각이 낮을수록, 연령이 증가할수록 가사노동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가사노동 만족도에 대해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에너지제약지각이었고 그 다음은 시간계약지각, 연령의 순이었다. 세째, 가사노동에 대한 기대는 대체로 용역형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학력, 부양가족, 가사노동보조원, 주택형태, 가정소득, 소득원천, 총자산, 직업유형, 취업시간, 예산제약지각, 가사노동 만족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에너지제약지각이 높을수록, 예산제약지각이 낮을수록, 가사노동 보조시간이 적을수록, 총자산이 적을수록,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가사노동 만족도가 낮을수록 가사노동 기대수준은 용역형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 기대수준에 대해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학력이었으며 다음으로 에너지제약지각, 예산제약지각, 가사노동보조시간, 총자산, 부양가족유무, 가사노동 만족도의 순이었다. 네째, 미래 가정의 가정생산활동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가사노동 수행방식과 가사노동 기대수준의 차이를 연령별로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대체로 가사노동 기대수준이 수행방식보다 시장의존적 형태를 나타냈다. 특히 가사노동 수행방식의 경우 20, 60, 50, 30, 40대의 순으로 용역·시장의존적 형태를 보였고 기대수준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시장의존적 형태를 띄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의 가사노동수행의 시장의존이 계속될 것임을 시사해 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개별가정의 가정생산활동은 시간, 예산, 에너지자원계약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자원에 대한 주관적 제약지각변인과 예산제약변인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들은 가사노동이 계속 시장의존적으로 수행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게 해 주므로 미래의 가사노동수행은 가정의 금전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기업에서는 가격이 낮은 시장재화 및 서비스뿐만 아니라 제품차별화를 통한 다양한 가격의 상품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편 자원제약에 직면한 가정의 효용극대화가 개별가정에 적합한 수행방식의 선택에 있음을 인식하고, 이러한 능력개발을 위한 지식과 정보가 정부 및 사회단체를 통해 주부들에게 끊임없이 제공되어져야 한다. 특히 가사노동을 위한 기구나 설비, 인적에너지의 부족을 많이 느낄수록 시장의존적인 경향이 나타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미래의 가정을 위한 가정과 사회, 기업, 정부차원에서의 관심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