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대학생이 지각한 조부모와의 관계연구

Title
대학생이 지각한 조부모와의 관계연구
Other Titles
Grand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Authors
박의순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대학생조부모친밀도가정관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병은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조부모(친조부, 친조모, 외조부, 외조모)와 손자녀 관계에서의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연구대상자의 성,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조부모의 교육수준, 연령, 건강, 조부모와의 동거유무)에 따른 조부모와의 친밀도, 부모의 태도 및 접촉량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밝히고, 나아가 부모의 태도와 조부모와의 친밀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며, 서울에 소재한 14개 대학교 1학년 2학년 재학생인 남·여대학생 429명이며, 그들의 살아계신 조부모 862명이다. 측정도구는 조부모와의 친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관련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작성한 17개 문항과 Hartshorne과 Manaster(1982)의 청년 역할개념 측정문항 10개를 번안·수정한 총 27문항 중에서 각조부모 별로 요인분석한 결과 4조부모에게 모두 공통적인 15문항만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요인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 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의 α를 산출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부모와의 친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인은 조부모에 대한 부모의 태도로 4조부모 모두에게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부모에 대한 부모의 태도가 긍정적 일수록 조부모와의 친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2. 손자녀의 성, 조부모와의 동거유무, 조부모의 연령에 따라서 조부모와 손자녀의 친밀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청년 손자녀가 가장 좋아하는 조부모는 외조모로 나타났으며, 역사적인 가계의 연속감과 영속성은 친조부를 통하여 더욱 높게 지각되고 있었다. 4. 조부모와의 접촉량에 따른 조부모와의 친밀도는 조모 (친가, 외가)에게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조모와 손자녀가 자주 만날수록 손자녀는 조모와 더욱 친밀하게 지각했다. 5. 친조부에게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외조부에게는 교육과 건강, 외조모에게는 교육수준이 조부모·손자녀 친밀도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손자녀는 친조부와 더욱 가까웁게 느끼며, 외조부의 교육수준이 높고 건강이 좋을수록 더욱 친밀하게 느끼고, 외조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손자녀는 외조모와 더욱 친밀하게 지각했다. 6. 외조모의 교육수준, 친조부와 외조부의 건강에 따라 조부모에 대한 부모의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것은 외조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외조모에 대한 부모의 태도가 긍정적이며 조부의 건강이 좋을수록 조부에 대한 부모의 태도가 긍정적이었다.;This study was to explore adolescents' grandchildren's feeling of emotional closeness toward their grandparents (paternal grand-father, paternal grandmother, maternal grandfather, maternal grand-mother). The subjects who provided data about 862 their living grandparents were 429 University students selected from 14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Factor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s α for reliability were performed for the statistical procedures of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emotional closeness between young grandchildren and their grandparents was substantially medidated by the grandchildren's parents. This result suggested that a systems perspective better accounted for the complexity of the grandparent-grandchild relationship than forcusing on the role of and emotional closeness as an individual attribute. Family perspective recognized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persons in a common kinship system. 2. Sex of the grandchildren, living arrangement with the grandparents, health condition of the grandparent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emotional closeness of the grandchildren with their grandparents. 3. Grandchildren perceived the greatest degree of emotional closeness with their maternal grandmother, followed by paternal grandfather, paternal grandmother and maternal grandfather. 4. The tie between grandparents-grandchildren differed by sex ; grandchildren derived emotional gratification from their grandmothers whereas grandfathers, especially paternal grandfathers served as a symbol of family continuity. 5. The amount of contact with grandparents was associated with grandchildren's emotional closeness more with grandmothers than with grandfathers, while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f the parents on emotional closeness of the grandchildren was greater for grandfathers than for grandmothers. 6.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ttitude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Parents, the amount of contact with the grandparents, the educational level and health condition of the grandparents had powerful impacts on the grandchildren's emotional closeness with their grandpar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