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3 Download: 0

유아 TV 프로그램에서 Feedback 활용이 이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아 TV 프로그램에서 Feedback 활용이 이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Feedback on Comprehension in Children's TV Program
Authors
임성희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Keywords
유아TV 프로그램feedback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수
Abstract
The development of modern mass media, have made television essential factor in our daily lives. In results, people spend more time in watching TV. Especially when we consider the effect of TV program which takes an important part in modern society, the study concerning TV program and high quality of TV program production becomes very important. However, the study of production and its application of current TV program for children's education is not highly developed ye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V production for Children's education and also would be basic material for Children's education of both home and school. In order to study this idea, currently playing Children's TV program was selected and it was viewed to children. The results are studied and analyzed if feedback method using TV program had the same effect with the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 in which instructors and children interact each other. In other words, this study studied how feedback system on TV learning and other factors, sex and age, affect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n TV program they saw. -Hypothesis- 1. When children watch children program, the feedback instructors give to children would affect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2. When children watch children program, the effects of the given feedback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s. 3. When children watch children program, the effects of the given feedback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ex. 4. When children watch children program among 4 different feedback types: feedback-question, question, attention, and control, the feedback-question type has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Procedure-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rea were randomly chosen to perform the following experiment. 133 children of the three kindergartens were subject to the experiment and they are 6 or 7 year old boys and girls. The material for this experiment is "Magic Land" of the MBC program "Popopo" produced on September 25, 1989. And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contains 12 questions. Preliminary experiment was performed subject to 8 children on September 19 and was done again on September 20. 22. and 25. This experiment was preformed not only on understanding of children experimentees(subjects) but also on their parents. The questionaries about TV watching situation were given out to the parents of the children experimentees(subjects) and handed in after 8 days. The results were tested by test-retest method and this study had r=0.84 of reliability which is considered confident. Also these data from the experiment were taken by SPSS(Statistical Computer Package). The data were classified by feedback types and each types h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understanding within feedback types were tested by One Way ANOVE. Error between groups was tested by Scheffe' test and the understanding according the age and sex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T-test. Feedback type and age, and feedback type and sex were tested by Two Way ANOVA. The results of questionary given to the parents were statistically carried out by its frequency percentage. -Results- 1. Effects of Feedback type and age factor on understanding First, Age difference was significant(F=4.44, P<.05), feedback type was significant(F=7.62, P <.01) and the interaction between above two was not significant.(F=2.25, P >.05) Second, the different type of feedback significantly affects the understanding (F=7.49, P<.01). Third, the understanding was separated into categories; 1) understanding the main idea, 2) visual attention which show the understanding of certain scene or certain dialogue. In result, the feedback factor significantly affects both and main idea (F=4.76, P<.01) and visual attention (F=7.11, P <.01). Forth, the age factor significantly affect.(T=1.89, P<.05) 2. Effects of Feedback type and age factor an understanding First, sex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F=0.98, P >.05). feedback type was significant (F=0.98, P >.01). In conclusi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is affected mostly by feedback type. When feedback process in which parents and instructors interact with is supplied while TV learning children pay more attention on TV program and increas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Second, the sex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understanding. (T=1.55, P>.05) In conclusi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is affected mostly by feedback type. When feedback process in which parents or instructors interact with children is supplied while TV learning, children pay more attention on TV program and increas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현대사회에서 매스미디어의 발전은, 텔레비전을 우리 생활의 필수불가결한 존재로 만들어 왔고, 따라서 현대인들은 많은 시간을 TV 시청하는 데 보내고 있다. 특히 생활환경의 일부분이 된 TV 프로그램이 어린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양질의 TV 프로그램에 대한 제작과 TV 프로그램의 활용에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의 유아용 프로그램의 제작과 활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한 유아용 교육 TV 프로그램이 제작되고, 가정과 교육(학교)의 장에서 활용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재 방영되고 있는 유아용 교육 TV 프로그램을 연구자료로 선정하고, 프로그램을 활용시 부모나 교사가 피드백 체제를 활용하여, 교실 수업에서의 상호작용과 같은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TV 시청에의 피드백 체제의 활용과, 어린이의 연령별, 성별의 제요인이 TV 프로그램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유아용 교육 TV 프로그램 시청시,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은 어린이의 프로그램의 이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유아용 교육 TV 프로그램 시청시 제공되는 피드백의 영향은 시청 아동의 연령별 특성에 따라 다를 것이다. 3. 유아용 교육 TV 프로그램을 시청시, 제공되는 교사의 피드백 유형인 피드백-질문, 질문, 주의집중, 통제 유형 중에서 피드백-질문 유형이, 프로그램의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세 유치원으로부터 선정된 6,7세의 남,여 어린이 133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MBC에서 제작, 방영하는 "뽀뽀뽀" 프로그램으로 1989년 9월 25일 방영된 "요술나라"를 사용하였다. "뽀뽀뽀"에 대한 이해도 측정 문항은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예비연구는 9월 19일에 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본 연구는 9월 20일, 22일, 25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드백 유형에 따른 어린이의 이해도의 연구와 함께, 피험아동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TV 시청상황에 대해 설문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배포된 8일 후에 재검사법에 의해 신뢰도를 측정하여 γ=0.84로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팩키지에 의하여 처리되고 분석되었다. "뽀뽀뽀"에 대한 어린이의 이해도는 피드백 유형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피드백 유형간의 이해도는 일원변량분석에 의해 처리하고 집단간의 유의차를 Scheffe' Test로 검증하였다. "뽀뽀뽀"에 대한 어린이의 이해도에 피험아동과 연령, 성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T-test로 비교분석하였고, 프로그램의 이해도에 관한 피드백 유형변인과 연령, 성별변인의 영향은 이원변량분석에 의해 처리되었다. 설문지는 빈도와 퍼센트를 구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뽀뽀뽀" 이해도에 있어서, 피드백 유형변인, 연령별변인 및 미치는 영향 1) "뽀뽀뽀"의 이해도에 있어, 연령변인은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F=4.44, P<.05), 피드백 유형변인도 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7.62, P>.01) 또한 두 변인간의 상호작용은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2.25, P>.05) 2) 피드백 유형 집단간의 "뽀뽀뽀" 프로그램의 이해도에 있어서, 피드백 변인은 피험아동의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7.49, P<.01) 3) 피험아동의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내용중심의 이해와 특정 장면이나 대사의 이해정도를 알아보는 시청각적 주의집중의 이해로 분리하여, 피드백 변인의 영향을 알아본 결과, 피드백 변인은 내용이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F=4.76, P<.01), 또한 시청각적 주의집중 이해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F=7.11 : P<.01) 4) 피험아동의 이해에, 연령의 차이는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1.89, P<.05) 즉 연령의 차이는 어린이의 이해에 영향을 미쳤다. 2. "뽀뽀뽀" 이해도에 있어서 피드백 유형변인, 성별변인이 미치는 영향 1) "뽀뽀뽀"의 이해도에 있어 성별변인은 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F=0.98, P>.01) 피드백 유형변인은 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6.90, P>.01) 그리고, 두 변인간의 상호작용은 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98, P<.01) 프로그램의 이해에는 피드백 유형변인이 가장 뚜렷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나 교사가 어린이의 TV 시청시, 일련의 상호작용적인 피드백 과정이 제공될 때, 어린이의 TV 프로그램에 대한 주의를 집중시키고, 나아가서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2) 피험아동의 이해에, 성별의 차이는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T=1.55, P>.01) 즉 성별의 차이는 어린이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