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6 Download: 0

부부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Title
부부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ARITAL ADJUSTMENT : As Related to Wife's Employement/Unemployement
Authors
강은령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부부결혼적응취업주부비취업주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의 결혼 적응과 제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주부의 취업/비취업에 따라서 남편과 부인의 결혼적응을 조사하여, 취업주부의 결혼적응에 관련된 변인들을 밝혀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부부 126쌍으로서 취업주부의 부부 65쌍과 비취업주부의 부부 61쌍이 최종분석되었다. 부부의 결혼적응척도는 Spanier(1976)의 Dyadic Adjustment Scale을 사용하였다. 통계적인 방법은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였고, 부부의 결혼적응과 제변인간의 관계와 주부의 취업/비취업에 따른 부부의 결혼적응을 파악하기 위해서 평균, 표준편차, T-test, F-test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취업주부의 결혼적응과 제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결혼적응은 성, 종교유무, 자녀수 및 첫 자녀의 연령, 교육수준, 소득, 결혼형태, 직업종류, 성역할 태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취업주부의 결혼적응과 비취업주부의 결혼적응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그들의 남편간에도 같은 결과를 발견하였다. 세째, 취업주부의 결혼적응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취업동기, 직업만족도, 수입의존도, 남편의 지지도, 부인의 교육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부부의 결혼적응은 여러 가지 인구사회학적, 개인적, 가정배경적인 변인들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주부의 취업여부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취업주부의 결혼적응에 있어서 취업동기, 직업만족도, 수입의존도, 남편의 지지도와 같은 취업주부의 취업배경적인 변인이 가장 중요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arital adjustment and personal an demographic variables. The study included the examination of the marital adjustment of husbands and wives according to wife's employment. Also it included the determinants of employe wives' marital adjustment. The subject were 126 married couples in Seoul. They were selected to 65 dual career family and 61 one-career family. "Spanier's Dyadic Adjustment Scale" were used to gather data for the study. For data analysis, T-test, F-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Marital adjustment was influenced by sex, religion, childlessness, the number of child, the age of first child, education, income, the method of marriage, the type of job & sex-role attitud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usbands and wives in the marital adjustment according to wife's employment. 3. For the employed wives, job motivation, job satisfaction, the dependence of income, having a surpportive husbands & wife's education seeme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marital adjus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