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숙-
dc.contributor.author장혜영-
dc.creator장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9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6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9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61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Clements & Keyser(1983)에 의해 제시된 CV 이론을 기초로 한국어의 음운현상을 살펴보고, 특히 불규칙용언 활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에 CV-층이 존재함을 보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의 불규칙용언의 불규칙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기저형(UR) 에 CV-층을 설정하였다. 즉 불규칙용연의 경우에 용언의 어간말 음절의 음절말자음(coda)에 불규칙성을 유발하는 어떠한 문제가 있음을 화자(speaker)가 심리적으로(Psychologically) 인지하고 있다고 보고, 음절말자음(coda)에서 일어나는 불규칙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CV-층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규칙용언과 불규칙용언의 기저형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고자 한다.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여기서 불규칙용언 어간말의 C-자리(slot) 아래있는 밑줄('-')은 화자(speaker)가 심리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음절말자음(coda)에서 일어나는 불규칙성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로서, 규칙용언과 불규칙용언의 이러한 기저형의 차이는 이미 어휘부(lexicon)에 정해져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규칙용언과 불규칙용언의 기저형을 분절음층(segmental tier) 에서는 그 표지 (representation)를 똑같이 설정하고 CV-층에서 차이를 둠으로써 추상성(abstractness)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보다 간단히 설명된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같이 기저형을 설정하여 ㅂㅡ , ㄷㅡ, ㅅㅡ , ㅎㅡ불규칙용언의 활용을 분석하고자 했다. ㅂㅡ불규칙용언의 경우는 '곱다', '고와', '고우니 ' 와 같이 그 변하는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과정이 /p/ 가 /w/로 /w/가 /u/로 변하는 규칙에 의해 설명되며, ㄷㅡ불규칙용언의 경우에는 '듣다', '들어'의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변화를 용언의 어간말 자음 /t/가 /l/로 교체되는 규칙에 의해 설명한다. ㅅㅡ불규칙용언은 '낫다', '나으니' 와 같이 어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간말 음절의 음절말 자음(coda) /s/가 모음앞에서 탈락되므로 /s/가 모음앞에서 탈락되는 규칙에 의해 설명된다. 특히 ㅎㅡ불규칙용언에서는 /h/를 한국어의 음소로 인정하지 않고 CV-층 위에 자율분절음층(autosegmental tier)을 설정하여 [+aspirated] 자질을 용언의 어간말 음절의 음절말자음(coda) 과 연결시켜서 그 기저형을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 '낳ㅡ' )와 같이 설정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ㅎㅡ불규칙용언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기음화(aspiration) 현상이 명확히 설명됨을 보인다. 이와같이 본 논문에서는 CV이론에 의해 한국어의 음운현상이 적절히 설명됨을 보이기 위해 한국어의 4개의 불규칙용언의 활용을 살펴보았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that the CV-tier is necessary in describing and analysing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in Korean. I analyzed irregular conjugations of verbs in Korean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underlying representations (UR) of the verb stems of irregular conjugations and regular one should be distinguished in the lexicon. Because of the speaker´s cognizance of the irregularity of the irregular verbs, which appears always in the coda position of the stem final syllable, the speaker´s psychological information should be reflected on the UR. The URs of the regular and the irregular verbs are as follows: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The diacritical mark of the underlying in ´C´ is the device to represent this fact. The ´C´ in the UR of the irregular verbs is interpreted as [-syllabic] feature, a timing unit, as well as the speaker´s intuition about the irregular conjugation. Furthermore, the ´C´ means the speaker´s psychological reality of the cognition of the irregularity which appears in coda position of the syllable verbs. In the lexicon the UR of the irregular verb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gular ones in the CV-tier, not in the segmental tier. So that no abstractness problem of segments in the UR occurs. In this thesis, I analyze Korean p-, t-, s-, h- irregular verb conjugation. In the case of the p-irregular verbs, the alternation of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and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is explained by the rules which show the process of the changes, ´p→w→u´. In the case of the t-irregular verbs, the alternation of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and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is explained by the rule showing the change, ´t→l´. In s-irregular verbs, stem final /s/ is deleted before a vowel segment, such as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and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This process is explained by the s-deletion rul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h-irregular verbs, I set up the feature [+aspirated] in the autosegmental tier in place of the segment /h/. By analyzing /h/ as a feature rather than a segment, there is of great advantage to economize one segment from the phonemic inventory of Korean, and to explain the h-irregular verb conjugation as well as the phenomenon of aspiration in Korean. As mentioned above, we can see the existence of the CV-tier in Korean phonological representation by examining the irregular conjug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CV 이론의 개관 = 3 A. CV 이론의 중심개념 = 3 B. 음절화 (syllabification) = 5 C. CV -층 존재의 증거 = 9 Ⅲ. 불규칙용언 활용에의 CV-층 도입의 필요성 = 13 Ⅳ. CV-층과 한국어의 불규칙용언 = 18 A. ㅂ- 불규칙용언 = 18 B. ㄷ-불규칙용언 = 34 C. ㅅ-불규칙용언 = 46 D. ㅎ-불규칙용언 = 55 Ⅴ. 결론 = 73 참고문헌 = 75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151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CV이론-
dc.subject불규칙활용-
dc.subject영문학-
dc.subject.ddc800-
dc.titleCV이론에 의한 불규칙활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rregular Conjugation based on the CV-theory-
dc.format.pagev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