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결혼초기 부부의 갈등에 관한 연구

Title
결혼초기 부부의 갈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ARITAL CONFLICT IN THE EARLY STAGE OF THE MARRIAGE
Authors
김혜경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결혼초기부부갈등CONFLIC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rital conflicts between married couples according to demographi variable. The subject were composed of 304 married couples (155 husband, 149 wife) in the early stage of the marriage. Questionaire methods were carried out for collecting data. To analize the data Pearson's correlation. ANOVA and t-test were computed.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ix sub-factors. 2. marital conflict mean score of wife is significan□ly higher than that of husband. (p〈 .05) Wife had more marital conflicts than husband in communication, in-Laws, role (p〈 .001), personality economic and sexual factors (p〈 .01) 3. For both husband and wife, there were no significant marital conflict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4. Unemployed wife had more marital conflict than employed one in communication (p〈 .001), economic, personality (p〈 .01), in-Laws and role factor. (p〈 .05) 5. Nonproffestional works have more marital conflict than the profestional and Semiprofestional in personality, in-Laws (p〈 .05) economic and role factors (p〈 .01). 6. for both husband and wife, there was no significant the marital conflict according to marriage type. 7. Wife have more significant conflict in communication (p〈 .01), Sexual, personality and role factor, the family with monthly income 400,000 - 700,000 wons had more conflict than those with lower than 400,000 wons and higher than 700,000 wons. 8. For both husband and wif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marital conflict according to number of children. But in case of conflict sub-factors, the more children both husband and wife had the more conflict they had in sexual factor (p〈 .05), role factor (p〈 .05). 9. For both husband and wif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rital conflict between nuclear family and extended family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본 연구는 결혼초기에 발생하는 불화나 갈등의 요인을 밝히고자, 교육수준, 부인의 취업유무와 종류, 월평균수입, 자녀수, 결혼형식, 가족형태에 따른 남편과 부인의 부부갈등 정도와 차이를 비교·파악하였으며, 부부갈등의 구성요인인 인척요인, 의사소통요인, 경제적요인, 성적요인, 성격요인, 역할요인들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결혼초기 5년이하의 남편(155명)과 부인(149명) 304명이었으며, 설문지조사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F-test, t-test,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부갈등과 6가지 하위요인(인척요인, 의사소통요인, 성적요인, 경제적요인, 성격요인, 역할요인)은 모두 의미있는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6가지 하위요인들 간에도 의미있는 높은 상관을 보였다. 2. 부인과 남편에 따른 부부갈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인은 남편보다 인척요인, 의사소통요인, 역할요인, 성적요인, 경제적요인, 성격요인에서 갈등이 많았다. 3. 교육수준에 따른 부부갈등은 남편과 부인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부인의 취업유무에 따른 부부갈등은 부인의 경우 비취업부인이 취업부인보다 의사소통요인, 경제적요인, 성격요인, 인척요인, 역할요인서 갈등이 많았으나, 남편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부인의 직업종류에 따른 부부갈등은 남편의 경우 생산·판매·노동직 종사자들은 전문·관리직, 사무·기술직 종사자들보다 인척요인, 성격요인, 경제적요인, 역할요인에서 갈등이 많았으나, 부인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결혼형식에 따른 (총체적)부부갈등은 남편과 부인의 경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갈등의 하위요인별로는 남편과 부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연애결혼보다 중매결혼일 경우 남편은 경제적문제에서, 부인은 성적인 문제에서 갈등이 많았다. 7. 가족수입정도에 따른 부부갈등은 부인의 경우 40-70만원 집단이 40만원이하, 70만원이상 집단보다 의사소통요인, 성적요인, 성격요인, 역할요인에서 갈등이 많았으나, 남편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8. 자녀수에 따른 (총체적)부부갈등은 남편과 부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갈등의 하위요인별로는 남편과 부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부인의 경우 자녀가 없을 때 보다 있을 때 인척요인에서 갈등을 더 겪었으며, 남편의 경우는 자녀가 많을수록 성요인, 역할요인에서 갈등이 많았다. 9. 가족형태에 따른(총체적)부부갈등은 남편과 부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갈등의 하위요인별로는 남편의 경우 핵가족형태보다 확대가족형태에서 의사소통요인의 갈등이 많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