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영어대명사 지시해석의 의미론적 분석

Title
영어대명사 지시해석의 의미론적 분석
Other Titles
(A) Semantic Analysis of the Referential Interpertation of English Pronouns
Authors
백미현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영어대명사의미론지시해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익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reat referential interpretation of English pronouns uniformly within a semantic approach. A number of theories attempting to provide a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referential meaning of English pronouns have been proposed in the past. Most of them, however, were proved to be inappropriate. Centering especially on several problematic English pronouns, this thesis critically reviews two syntactic proposals, namely, Generative Transformational Grammar and Interpretive Grammar. Then, two semantic theories-i.e., Montague's PTQ and Cooper's Definite Description Approach are examined. Finally, Hausser's Pragmatic theory is evaluated. In Chapter 2, problematic examples of English pronouns are examined in detail. They include non-anaphoric pronouns, anaphoric pronouns found in the so-called Donkey sentence, Paycheck sentence, and Prize sentence, as well as discourse anaphora, and applies them in the analyses of the problematic cases. First, transformational theory produces anaphoric pronouns on the basis of the full noun phrases on the deep structure level by the rule of "pronominalization". On the contrary, non-anaphoric pronoun is assumed to be base-generated on the level of deep structure. Thus this theory fails to provide a uniform account for the two kinds of interpretations of pronouns. Furthermore, it is observed that the problematic English pronouns cannot be explained within the transformation framework. As an alternative theory, Interpretive Grammar was introduced. But the grammar results in the similar effect of the classical TG. Second, within the framework of formal semantics, Montague's PTQ theory considers pronoun as a bound variable, adopting the classical quantificational predicate logic. It is noted that every pronoun cannot be treated as a bound variable. This theory does not provide any explanation on non-anaphoric pronouns. Neither it gives any solution to the other problematic English pronouns. Third, Cooper explains the referential interpretation of English pronouns on the basis of extended Montague theory. He translates pronoun into the definite description containing free variable S, whose semantic value is determined by a certain context of use. Consequently, his semantic framework provides a uniform treatment for anaphoric & non-anaphoric readings. This theory also suggests plausible solution to the problematic pronouns. Fourth, Hausser introduces contextual reconstruction. He attempts to explain English pronouns by formalizing the concept of the context of use, with which most of the problematic English pronouns are properly explained. His theory, however, requires even the simplest anaphoric pronoun to be interpreted through the complex context reconstruction. In fact, however, this anaphoric reading can be explained in a given sentence(i.e. linguistic infomation). Consequently, Hausser's pragmatic analysis gives rise to a conceptual burden in grammar. Chapter 4 compares Cooper's semantic theory with Hausser's and then presents a reasonable revised version of Cooper's theory. This new proposal classifies context of use into linguistic context of use: CUL_(n) and non-linguistic(i.e. extralinguistic) context of use: CUN_(n). Then it gives a restriction on the linguistic context of use: CUL_(n) In conclusion, the referential interpretation of English pronouns may be properly explained by the theory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Cooper's semantic theory.;오랫동안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던 영어 대명사의 지시 해석에 대해 그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많은 이론들이 전개되어 왔다. 본 문에서 는 특히 문제가 되어 왔던 비조응적 대명사의 지시 해석 문제, Donkey Paycheck, Prize 구문의 조응적 대명사의 지시 관계 문제, 그리고 담화 조응사의 문제들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변형 이론으로부터 화용 이론까지의 문법 체계를 통해 이들 문제가 어떻게 분석되고, 그로부터 생기는 난점들이 무엇인지 다루고 있다. 변형 이론은 심층 구조의 완전 명사구로부터 동일성 조건을 요하는 대명사화 규칙을 통해 조응적 대명사를 도출시킨다. 반면 비조응적 대명사는 선행사와 공지시를 갖는 완전 명사구에서 도출되지 않고 심층 구 조에서 직접 생성되는 것으로 다뤄진다. 이와 달리 해석 이론은 조응적/비조응적 대명사 모두가 심층 구조에서 직접 생성되어 의미부의 해석 규칙에 의해 두 해석이 예측되도록 한다. 결국 해석 이론에 의해 대명사의 지시 해석을 일반화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이론들은 앞서 제기된 문제들을 해결할 수가 없었다. 이런 통사론적 접근에 대한 대안으로써, Montague의 PTQ 이론을 도입하지만, 이 역시 모든 대명사를 묶인 변항으로 처리할 수 없기에 문제이고, 또한 비조응적 대명사에 대해서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Montague의 UG이론에서 비조응적 지시 해석의 표현은 사용 맥락에 의해 의미치가 결정되는 자유 변항으로 다뤄진다고 한다. 만일 Montague의 두 이론을 사용해서 조응적/비조응적 대명사의 지시 해석을 다루려면 초기 변형이론에서와 똑 같은 문제가 생길 것이다. Cooper는 Montages 의 의미론적 대명사 분석을 보다 확충키고, 사용 맥락의 개념을 조응적/비조응적 대명사 모두에게 적용 시키고자 한정 기술 표현의 자유 변항을 갖는 대명사 번역을 제시한다. 이로써 앞서 제기된 문제들이 적절하게 해결될 수 있었다. Hausser는 사용 맥락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형식화해서 조응적/비조응적 해석을 일관성 있게 다룰 수 있다고 했지만, 맥락 변항, 맥락 재구성 등의 개념들을 사용해서 언어 내적 정보만으로도 해석 가능한 조응적 대명사까지 복잡한 체계로 다루게 되는 부담이 있다. Cooper식이나 Hausser 식이나 모두 앞서의 문제들을 만족하게 다룰 수 있다면 굳이 복잡한 화용론적 분석 방법을 취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ooper의 의미론적 접근 방법에 있어서 다소 미비하다고 간주된 부분을 보완한 절충안을 제시한다. 즉 사용 맥락(context of use)의 개념을 언어 내적(CUL_(n)), 언어 외적(CUN_(n)) 사용 맥락으로 이분하고, 언어 내적 사용 맥락(CUL_(n))의 경우 자유 변항에 부적절한 논항이 부여되는 것을 막기 위한 장치를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보완을 통해 해석상의 문제가 있었던 대명사분 아니라 일반적 대명사의 지시 해석을 잘 설명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