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장벽이론과 공범주

Title
장벽이론과 공범주
Other Titles
Barriers and Empty Categories
Authors
姜秀美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장벽이론공범주BarriersEmpty Categorie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혁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Chomsky(1986b)에서 재정의된 공범주원리(Empty Category Principle : ECP) 가 문장구조내의 각 위치에 나타나는 공범주(Empty Category)의 분포를 적절하게 지정해 주고 있음을 보임으로써, 그것이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 UG) 을 이루고 있는 하나의 하위체계(subsystem)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일반화된 원리로의 발전과정에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공범주의 존재는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언어학습자가 그들의 존재를 매우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또 사용한다는 점에서, 인간 언어능력의 본질을 찾아내는 것을 최대 목표로 추구하고 있는 Chomsky는 그것이 인간의 선험적인 언어능력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라고 간주하고 공범주의 본질과 목표를 규명하는 데 많은 관심을 쏟아왔다. 그러한 맥락에서 공범주는 엄정지배(proper government) 되어야 한다는 공범주원리가 Chomsky(1981)에 이르러 정립된 것이다. 그러나 Chomsky(1981) 의 공범주원리에서는 그 중심개념인 엄정지배가 선행사지배(antecedent government) 와 어휘지배(lexical government)라는 임의적인 두 속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 그 원리의 적용범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등의 문제점들이 자주 지적되어 왔다. 이에 대해 Chomsky(1996b)에서, Lasnik & Saito(1984)의 제안을 받아들여 논함(argument)의 흔적은 S-구조에서, 부가어(adjunct)의 흔적은 LF에서 ECP의 적용을 받는다는 가정하에, "비대명사적 공범주(a non-pronominal empty category)는 엄정지배되어야 한다"고 공범주원리를 수정하고 선행사지배조건만으로 엄정지배를 재정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통사적 이동(syntactic movement)과 LF-이동(LF-movement)을 나누고 통사적 이동을 다시 □-이동과 A-이동으로 나누어, 연쇄(chain) 의 고리(link)를 이루는 요소들간에 선행사지배의 관계가 이루어질 경우 엄정지배되는 것으로 수정된 공범주원리에 의해, 그들 각각이 남긴 흔적들의 분포가 적절히 지정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Chomsky (1986b)에서 수정된 지배의 개념을 바탕으로 재정립된 공범주원리가 Chomsky(1981)의 엄정지배정의에 있어서의 임의성 문제를 해결하고 그 적용범위의 모호성을 없앤 보다 체계적이고 일반화원 원리임을 보이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at the Empty Category Principle(ECP), modified in Chomsky(1986b), is on its way to a more systematic and more generalized principle as a subsystem of Universal Grammar(UG), by showing that it can properly specify the distribution of empty categories appearing in syntactic structures. Chomsky, pursuing as his primary concern the nature of the human linguistic capacity, has taken an interest in identifying the nature and distribution of empty categories; he regards empty categories as a good evidence showing the innate linguistic capacity of human beings in that language learners acquire and use them very systematically, even though their existence cannot be confirmed. In this context, the ECP, "an empty category must be properly governed," was formulated in Chomsky(1981). It has often been pointed out, however, that its central notion, proper government, was composed of two arbitrary properties, antecedent government and lexical government, and that the extent of application was not clear. In that respect, the ECP was modified to "a nonpronominal empty category must be properly governed" in Chomsky(1986b) on the assumption that traces of arguments are subject to the ECP at S-Structure and those of adjuncts, at LF, accepting the proposals in Lasnik and Saito(1984). In this thesis, I divide movements into syntactic movement and LF-movement, and then, the former into A ̄-movement and A-movement; then I proceed to show that the distribution of traces each movement leaves behind is specified properly by the modified ECP which states that a trace is properly governed in the case of antecedent government that is satisfied between the elements composing a link of a chain; thereby, I hope to prove that the modified ECP based on the reformulated definition of government is a more systematic and more generalized principle which solves the problem of arbitrariness in the definition of proper government and that of obscurity in the extent of its appl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