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1 Download: 0

한국형 패션비즈니스 전략 제안

Title
한국형 패션비즈니스 전략 제안
Other Titles
Fashion Business Strategy Tailored to Korean Environment : Mainly on Review of SPA System
Authors
윤미연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재경
Abstract
With the thriving textile manufacturing of 1960s ~ 1970s, Korean fashion business has grown into the base industry, which created national wealth. However, it deteriorated with the crisis of the Korean economy under IMF program. Since then, the fashion business has not regained its momentum soon, in spite of the recovering economy. In Korea,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brought the high-wage era, and textile manufacturing, which is a labor intensive and low-wage industry, shifted from Korea to lower labor cost countries such as China or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Korean fashion business has weaker platform for high quality products, in respect of design and fabric, thus it has not yet fully prepared for competing with leading countries in fashion business. Also its price competitiveness is rather weaker than the lower wage countries. As a result, the product lines for textile fashion goods become less and less favored in Korea. The distribution and other fashion business related system is another weaker point than leading countries, except in only a few large companies. Against this backdrop, new strategy for Korean fashion business is now emerging.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fashion business, and analyzed the weaknesses, in order to explore improving method and to suggest a new strategy for Korean fashion business model. As the strategy, e-business system and distribution system were studied, focusing on the business renovation in fashion business area. This thesis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SPA(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system, which is not yet familiar to Korean fashion industries, introducing new direction for Korean fashion business. SPA system is divided into Maker type and Retail type. Both of the two types can efficiently manage the production, planning, distribution and logistics according to the consumer response. The former SPA type demands a lot of initial and maintenance cost, which is its weak point. Its response to consumer, however, could be more sensitive than the latter. The latter is a system in which general retailers develop original goods and sell them, meaning procurement from outsourcing. Retail type SPA is wide range of distribution, including department stores, specialty stores, select shop, internet shopping, nonstore retailing and etc. Inditex Group, a Spain fashion company, is an example of the former, and Gap group from U.S. represents the latter. This study researched these two companies. Korean fashion industries are usually small or medium sized enterprises, so Retail type SPA is recommended, for minimizing the cost and hardware base of production,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and at the same time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outsourcing. The thriving IT busines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e-business, gives a bright prospect for Korean textile & fashion business. To make the Korean fashion business taking a leap, suggestions for invigorating e-business in B2B system were made. I hop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strategy building in fashion business, as a basic research.;한국의 패션 산업은 60, 70년대 섬유 제조 산업의 발전으로 국가의 부를 창출한 기반산업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경제위기 상황이었던 IMF체제 이후 경기 침체와 더불어 쇠퇴하게 되었고, 그 후 경기가 호전된 상황에도 불구하고 산업의 활성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국 사회는 급속한 경제 발전 과정으로 고임금 현상을 초래하였고, 노동집약적 저임금 체제의 섬유 제조 산업은 한국이 아닌 중국 또는 동남아시아 등의 저임금 국가로 이전하게 되었다. 한국의 패션 산업은 디자인과 소재면에 있어서 고품질 제품 생산 기반이 취약해서 패션 선진국과 경쟁하기에는 미흡한 상황이고, 가격 경쟁력이 저임금 국가들에 비해 낮기 때문에 섬유 패션 상품의 생산 라인은 한국에서 점점 그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또한 선진국에 비해 유통체계와 패션 관련 시스템은 몇몇 대기업을 제외하고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 패션 비즈니스의 활로를 찾기 위한 새로운 전략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패션 산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취약점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한국형 패션 비즈니스 기업모델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략 방안으로서 패션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비즈니스 혁신을 중심으로, e-business 체제와 유통시스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아직 한국 패션기업에게는 보편화 되지 않은 SPA(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형 시스템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여 한국 패션 산업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SPA형 시스템은 Maker형과 Retail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두 유형은 생산, 기획, 유통, 물류의 상황을 소비자의 반응에 따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공통점이다. 전자의 SPA(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시스템은 초기 비용과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는 큰 단점이 있다. 그러나 후자에 비해 소비자의 반응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후자의 경우는 일반 유통점이 오리지널 상품을 개발해 판매하는 형태로 아웃소싱을 통해 상품을 공급받는 형태를 의미한다. Retail형 SPA는 백화점, 전문점, 셀렉트 샵(select shop), 인터넷, 무점포 판매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유통 형태를 말한다. 이를 토대로 전자에 해당하는 패션 기업인 스페인 패션회사 Inditex Group와 후자에 해당하는 미국 패션 회사 Gap Group 의 사례를 벤치마킹하였다. 한국의 패션 기업의 규모는 중소형 또는 영세형 기업이므로 Retail형 SPA시스템을 추구하여 비용 부담과 생산, 물류, 운송 등 하드웨어적 기반을 최소화하고 아웃소싱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e-business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IT산업의 발전은 한국의 섬유패션비즈니스에 밝은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패션비즈니스 발전의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 B2B 체제 안에서 e- business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향후 업계의 발전적 전략 수립에 미약하나마 기초 연구로 기여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