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보상이 아동의 내적 동기유발에 미치는 영향

Title
보상이 아동의 내적 동기유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Rewards on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Authors
한상미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보상아동내적 동기유발Reward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선인
Abstract
본 연구는 과제 수행과 결부된 보상 조건에 대한 정보를 삭제한 조건 하에서 Morgan(1983)의 절차에 의하여 제공되는 보상이 아동의 내적 동기유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밝히고자 실시되었다. 남 녀 반반으로 구성된 서울 시내 유치원 아동 102명을 물질 보상 조건, 언어보상 조건, 그리고 통제 조건에 무선적으로 배정하고, 1차 실험에서 아동에게 퍼즐1과 퍼즐2를 과제로 주어 풀게한 뒤 물질, 혹은 언어 보상 조건에 상응하게 보상을 제공하였다. 다음날 실시한 2차(자유 놀이) 실험에서 새로운 퍼즐(퍼즐 3)을 다른 놀이 기구와 함께 제시하여 아동이 퍼즐을 자발적으로 선택하여 논 시간, 그리고 퍼즐을 첫번째 놀이로서 선택하여 풀었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여 퍼즐 풀기 활동에 대한 아동의 내적 동기 수준을 측정하였다. 1차 실험에서 사용한 퍼즐2도 자유 놀이 실험에서 퍼즐3과 함께 참고로 제시되었다. 실험 결과 수집된 자료는 ANOVA와 x^(2)검증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차(자유 놀이) 실험에서 퍼즐3에 소비한 시간, 그리고 퍼즐2와 퍼즐3에 소비한 시간이 물질 보상 집단과 통제 집단에 있어서 거의 비슷하였다. 이 두 집단에 비해 언어 보상 집단이 많았으나,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2) 자유 놀이 시간을 시작하는 것으로 첫번째로 퍼즐을 선택한 피험자 수에 있어서는 물질 보상 집단이 통제 집단과 거의 비슷하였다. 언어 보상 집단은 다른 두 집단 보다 많았으나, 그 차이가 유의한 것이 못되었다. 3) ① 1차 실험에서 퍼즐 1을 푸는데 있어 유치원과 성 변인간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즉, 퍼즐 1을 푸는데 있어 유치원에 퍼즐이 없는 조건에서는 여아가 남아 보다 시간을 더 많이 소요하였으나, 반대로 유치원에 퍼즐이 있는 조건에서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시간을 훨씬 적게 소요하였다. ② 1차 실험에서, 퍼즐이 유치원에 없는 아동이 퍼즐이 유치원에 있는 아동 보다 퍼즐의 차이에 관계없이 퍼즐 풀기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다. 4) 유치원에 퍼즐이 없는 집단의 아동이 퍼즐이 있는 집단의 아동 보다 2차(자유 놀이) 실험에서 퍼즐에 소비한 시간이 더 많았다. 그 차이는 퍼즐 2에서 보다 퍼즐 3을 가지고 논 시간에서 뚜렷히 나타났다. 1차 실험에서 제시하였던 퍼즐 2를 2차 실험에서 다른 놀이 기구들과 함께 다시 제시하였을 때, 퍼즐 2를 전혀 풀지 않은 아동이 27명 있었다. 자유 놀이 시간을 시작하는 것으로 첫번째로 퍼즐 2를 선택한 아동은 통제 집단에서만 단지 두명 있었다.;Adapting the experimental procedure form Morgan(1983),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rewards on an intrinsically interesting activity of solving jigsaw puzzles in kindergartens.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tangible reward after solving puzzles. Children in the present study, however, did not receive any prior information about a reward. Thus, unlike in Morgan’s study there was no inducement of subject’s expectation of an unpleasant activity due to experimenter’s promise of a reward for the target activity. Also, unlike the previous study of Morgan the present study included an experimental group in that children received verbal rewards after performing the puzzle task. Children in the third condition,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reward upon completion of solving puzzles. Subjects in all three groups were presented with an array of play materials including puzzles and were allowed to select an activity of their choice during a free play period given on the next day. It was expected that in the absence of a prior information about a reward the tangible reward group should not show a decrement in intrinsic interest relation to the control group. It was also expected based on the availability of jigsaw puzzles in the play room of the kindergarten that subjects who had access to puzzles should show less intrinsic motivation of solving puzzles in the free play session of the present study than children who did not have access to puzzles. No specific expectation was advanced with regard to verbal reward group. A measure of free time the subject spent on solving puzzles and the number of subjects who selected solution of puzzles to commence were taken as dependent variables. As expected, it was found that the tangible reward group did not show a decrement in intrinsic interest relation to the control group on the both measured. Mean times the two groups spent on solving a new puzzle that was presented in the free play session did not differ much from each other. As to the measure of the activity that the child commenced wi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the verbal reward group spent more time than the other two groups on solution of the new puzzle, the mean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ere not significant, more subjects in the verbal reward group than subjects in the other two groups chose the target activity to commence with.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n solution of the puzzle during the play period subjects from kindergartens where jigsaw puzzles were available showed significantly less intrinsic interest than subjects from kindergartens where puzzles were not available. On the solution of puzzles presented in the initial session of the experiment subjects under the kindergarten condition where puzzles were not available needed significantly more time than subjects under the condition where puzzles were available. There was an unexpected interaction between the availability of puzzles and sex. With the first of the puzzles presented in the session of the experiment, girls required more time than boys did in solving the puzzle under the kindergarten condition in that puzzles were not available while boys required more time than girls did under the condition in that puzzles were availa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