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김현아-
dc.creator김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8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1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in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differences of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IT), the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according to IT experiences among preservic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so that the guide for developing preservice education program in school of Education can be provided. The major areas for research are as follows: 1. What kinds of the IT experiences do preservic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have? 2. What are the use of IT, the level of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among preservic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3. Are there a relationship among the IT experiences, the use of IT, the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each pair among preservic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4. Does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grade and the use of IT, the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5. Does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 or grade and the use of IT, the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6. Does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years of IT experiences and the use of IT, the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7. Does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 between whether preservice teacher took courses related to IT or not and the use of IT, the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consisted of preservice teachers who are the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at E University in 1999. Survey instrument, which is divided into four part: 1) the instruction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ime required, the promise to keep the secret and so on, 2)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definition of IT, the IT experiences and the use of IT, 3) the IT Literacy, 4)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is generated by the researcher. Finally, 143 samples out of 226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firstly the calculation of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use of IT, the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Secondly, t-test or Mann-Whitney Analysis was applie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different grade groups and the existence of IT courses, taken by preservice teachers. Finally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or Kruskal-Wallis Analysis was used to study the differences of mean score among subgroups, divided by major and grade, and the years of IT experiences, then Post hoc Comparison Analysis was followed.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after the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years of IT experiences, over 50% of them distributed from 6 months to 1 year(28.0%) to 1 year to 2 years(36.4%). Most of them didn’t take a course, related to IT(81.1%), and neither did,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79.0%). But the large percentages of them took or are taking course which used Internet since the programs of Cyber University were opened to the students in E University. Seco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used word processor and Internet searching the most frequently. In the same manner, the highest IT Literacy was the ability of word processing, and next was the operation of IT, the setup of equipment, maintenance and troubleshooting and the competency of using presentation program. However, another use of IT and IT literacy were very low or average level. On the other hand, the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was quite positive. This means that in spite of they have positive the view on the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in order to designing the instruction, integrating IT into it and teaching with it, they illiterate. Thir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IT experiences, the use of IT, the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among preservic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specially, there are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use of IT and the IT Literacy, and between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use of IT, and those toward personal use of IT too. There a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nother variables. It means that there are interactions among variables. Forth, third year students marked higher mean score on the use of IT and the IT Literacy than second year students. The possible reason wh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ird year students and second year students is that third year students had more IT experiences than second year students. Fifth,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among subgroups by major and grade in the use of IT, IT Literacy and attitude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groups of the major in second year students. Ye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groups of the major in third year students. Sixth,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years of IT experiences, and the use of IT, the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The longer they used IT, the more frequently they used. Also the more literate they were, and the more positiv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they had. Fin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dentified between the variable whether preservice teacher took courses, related to IT or not and the use of IT, the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Therefor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IT, the IT Literacy,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and personal use of IT according to the IT experiences among preservic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 사회전반에 영향을 미친 컴퓨터와 텔레커뮤니케이션 발달을 바탕으로 한 Information Technology(IT)의 발달은 교육에 까지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 무한한 정보에 접근하고 처리하기 위해서 IT가 하나의 혁신으로 도입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의 교육정보화 노력과 발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교육부 주도하에 교육정보화, 교단 선진화, 교원정보소양 인증제도입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IT를 국가적 차원에서 학교에 도입하고 활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현장에서 IT를 받아들이는 최일선에는 교사가 있다. 미래 교사들의 교수 및 행정활동은 IT 능력을 바탕으로 IT를 얼마만큼 유능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와 직결될 것이다(Loyd & Loyd, 1985). 따라서 교사들로 하여금 교수활동에서 IT를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IT의 활용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김철주, 1994), 더 나아가서 현직교사뿐만 아니라 예비교사에게도 각 교과교육에서 IT의 활용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Thomas, 1997). 5.31 교육개혁안에서도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예비교사들이 나중에 교사가 되어 가르칠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보았다(한국 교육개혁위원회, 1995). 예비교사의 IT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나라 사범대학의 예비교사들의 IT 능력과 실제 수업현장에서 IT가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전공교과, 기타 교육이나 강좌에서의 IT에 대한 경험에 준해 교과교육에서의 IT의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하여 예비교사교육프로그램이 예비교사들에게 어떤 유형의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가를 제시하기 위한 사전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IT에 대한 경험에 따른 IT 활용 및 능력(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또는 Technology Competencies)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IT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교육에서의 IT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 및 IT의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으로 나누고 IT에 대한 경험이 이러한 두 가지 태도와 인식의 차이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회과 예비교사의 IT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 2. 사회과 예비교사의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인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은 어떠한가? 3. 사회과 예비교사의 IT에 대한 경험, IT활용, IT능력 및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4. 사회과 예비교사의 학년에 따라서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5. 사회과 예비교사의 학년별 전공에 따라서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6. 사회과 예비교사의 IT 사용기간에 따라서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7. 사회과 예비교사의 IT 과목 수강경험에 따라서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검중하기 위하여 1)연구의 목적과 소요시간, 비밀보장, 설문방법 등을 기록한 안내문, 2)신상정보, 주요용어 정의, IT에 대한 경험, IT활용, 3)IT능력, 4)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고 E대학 사회생활학과 2학년, 3학년을 대상으로 배포하여 14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가 사용되었으며 변수간의 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 r(단순적률상관계수)을 이용한 상관분석을 하였다. 학년과 IT과목 수강경험에 따라 나누어진 집단비교는 등분간가정이 충족된 경우, 두 독립표본t 검증과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모수통계기법으로 Mann-Whitney 검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사회, 지리, 역사로 나누어진 학년별 전공과, IT 사용기간에 따라서 나누어진 집단비교는 등분산 가정이 충족될 경우,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과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모수통계기법 중 Kruskal-Wallis 검증을 사용하였다. 분산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온 경우, 사후비교분석(Post Hoc Comparison Analysis)을 실시하여 구체적으로 어느 집단 간의 차이에 의해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김아영, 김태련, 1998; 성태제, 1996; 성태제,1997; 성태제 1998; 정충영, 최이규, 1998; 채서일, 1998; Gall, Borg&Gall, 1996). 본 연구의 통계 처리를 위하여 SPSS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상정된 연구문제를 다양한 자료 분석방법을 실시하여 검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의 IT 사용기간을 분석해 본 결과 대개 6개월-1년(28.0%), 1년-2년(36.4%)에 50%이상이 집중되어 있었다. 그리고 IT에 대해 가르치는 과목은 거의 수강한 경험이 없었으며 IT를 활용한 수업계획방법을 학습한 경험도 마찬가지로 거의 없었다. 반면에 E 대학에서는 가상대학을 개설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 강의 수강 경험이 있는 예비교사들이 많았다. 둘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IT 중에서 과제를 제출하기 위해서 워드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자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인터넷 정보검색을 활발히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맥을 같이하여 능력이 높은 IT항목도 워드프로세싱 능력이었으며 기본적인 컴퓨터 작동과 장비의 설치, 관리와 문제해결 능력과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능력이 다음으로 높은 편이었다. 그 외의 다른 IT활용과 IT능력은 거의 없거나 보통 수준에 머물렀다. 반면에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은 상당히 긍정적이었다. 이것은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IT에 대한 태도와 인식은 긍정적이지만 그러한 태도와 인식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뒷받침이 될 수 있는 능력과 실제 활용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IT에 대한 경험,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은 각각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IT활용과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과 IT의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은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요인들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각 요인들은 상호간에 형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3학년이 2학년보다 IT활용과 IT능력이 높았다. 그 원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하나의 요인은, 높은 학년, 즉 3학년이 IT에 대한 경험이 더 많기 때문이다. 표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3학년은 IT 사용기간이 대부분 1년-2년(44.1%), 2년 이상(35.6%)이었으며 1과목이상 수강한 IT과목경험도 많았다. 뿐만 아니라 3학년은 IT를 활용한 수업계획방법을 35.6%가 학습한 경험이 있었다. 다섯째, 학년별 전공에 따른 차이 비교에서 2학년 전공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 원인은 2학년이 전공이 구분되어 있기는 하지만 공통사회전공으로 모든 학생들이 같은 과목을 듣기 때문에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3학년은 전공에 따라서 IT활용과 IT능력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난 IT활용과 IT능력뿐만 아니라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서 지리전공에서 평균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IT에 대한 경험을 비교해보면, 지리 전공이 높은 원인을 찾지 못했다. 다만 3학년이 되면서 본격적으로 교과 특성에 따라서 교육이 이루어지며, 세 전공 중에 지리 전공이 다른 전공보다 GIS 등 전공에 필요한 IT가 많이 발달되어 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IT를 많이 활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여섯째, IT 사용기간이 사회과 예비교사의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것은 IT 사용기간이 길수록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곱째, IT 수강경험 또한 IT사용기간과 마찬가지로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로써 IT사용기간과 IT수강경험으로 구분되었던 IT에 대한 경험이 사회과 예비교사의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된 IT에 대한 경험을 사회과 예비교사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교사 양성 기관 교수들의 강의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교사양성 기관에 재직하는 교수들은 자신들의 강의 시간에, 필요한 경우 컴퓨터, 인터넷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수업 장비를 기꺼이 사용하려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박승배, 1998). 예비교사 시절에는 전혀 접해 보지 못했던 기계들을 현직에 나가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교원들이 활발하게 IT를 활용함으로써 긍정적인 모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예비교사의 활용을 높임으로써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궁극적으로는 교사가 되었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인터넷 강의 등의 IT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그들이 IT에 대한 경험, IT활용과 IT능력이 부족하며 태도와 인식은 높다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져야 한다. 셋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을 위하여 IT소양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활용과 능력이 떨어지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IT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에게 1과목 이상의 IT 소양과목 수강하도록 독려해야 한다. 다섯째, 현재 대부분 교직 선택으로 제공되고 있는 교육공학관련 과목을 예비교사에게 필수과목으로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IT를 통합하여 수업계획을 세우고 IT를 활용한 교재를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여섯째, 사범대학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의 변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장비, 기술, 시설의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예비교사의 IT활용과 그에 대한 태도에 관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IT가 통합된 예비교사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해서 예비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IT소양 교육프로그램 개발, 교육공학관련 교육프로그램에 IT를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교수설계 방안에 대한 연구를 해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태도변화 측면에서 검증을 시도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셋째, 예비교사의 모델이 되는 사범대학 교원의 IT활용과 능력, 태도와 인식 등을 연구하고 그것이 그들이 실제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사범대학의 교원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연구해야 한다. 넷째, 좀 더 긴 안목으로 예비교사의 태도가 교사가 되었을 때 교수활동에 IT활용이라는 행동으로 옮겨가는지에 대한 종단적 연구를 함으로써 태도변화의 중요성을 입증할 수 있는 연구가 요청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A. 정보사회(Information Society)와 information Technology = 7 1. information Technology의 정의 = 8 2. information Technology(IT)와 IT능력(Literacy) = 10 3. information Technology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 14 B. information Technology와 교육환경의 변화 = 15 C. information Technology와 교사의 역할과 능력 = 18 D. 예비교사의 information Technology(IT)교육 = 20 E. information Technology에 대한 제도와 인식 = 25 F. 관련 선행연구 = 34 Ⅲ. 연구방법 A. 연구대상 = 39 B. 연구절차 = 39 C. 연구도구 = 40 D. 연구 문제 및 자료분석방법 = 43 Ⅳ. 연구결과 A. 연구대상자의 특성 = 46 B. IT에 대한 경험,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 = 50 C. 학년에 따른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차이 = 55 D. 학년별 전공에 따른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차이 = 59 E. IT에 대한 경험에 따른 IT활용, IT능력, 교육에서의 IT활용과 개인적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차이 = 67 Ⅴ. 결론 및 제언 A. 결론 및 논의 = 83 B. 연구의 제한점 = 87 C. 제언 = 88 참고문헌 = 89 부록 = 98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335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회과 예비교사의 Information Technology(IT)에 대한 경험에 따른 IT의 활용, 능력 및 태도와 인식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