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韓國人의 敎育觀 硏究

Title
韓國人의 敎育觀 硏究
Authors
박준희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1. The Object of the Study The establishment of the sense of value has been of constant concern among the intellectuals in Korea and people of some sense feel that something must be done toward the ideal realization of it in Korea society for fear that the nation should be led astray by the conflicting senses of value. Since the disorder of the sense of value naturally leads to the disorder of the view of education, which is part of the former, it necessarily follows that the latter must also be definite. It is of general agreement that the view of education is in the state of disorder and conflict in Korea. It differs by the regions, ages, and religious backgrounds of each individual. What, then, 몬 brought it to such a state and what is the nature of it? The view of education of both parents and children, especially that of parents toward their children, is determined chiefly by parents’ value system, which has in turn been formed by the historical as well as cultural background of each individual parent. Thus, it often happens that the educational line of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view of education often clash with each other. This presents one of the gravest problems not only to the education in Korea but also to the future of the nation. Such a problematic concept of education needs to be investigated and dealt with. It needs investigating both from the factual and theoretical view points. Thu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flicting view of education in Korea ad to contribute to and provide for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view of education. 2. The view-points of the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proposed object of the study successfully, the view-points of the study must be settled prior to the method.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and the background of it depends upon how we approach them, the perfect study being impossible in practice. This is to say that there is a limit or restriction to any study. The following is the statement of the three principal view-points of the present study. a. The sense of value is resistant to change and is to be understood as that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us and piled up for generations of time in our deep mind. To state in terms of culture, it is the production of a series of unconscious processes unaffected either by external stimuli or influences. The sense of value viewed in this way really dies hard. b. There are the type of the senses of value or views of education which is unconsciously permeated into our mind and stays there and this type has nothing to do with either reason or intelligence and is to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custom or some special inner drive. Logically speaking, there is no room for and kind of superstition. Yet it has always occupied a part of our mind and sometimes prevents us from thinking or acting logically and this is to be understood from deep psychological or psyco-analytical point of view. With this assumption in mind the problem has been attacked in the study. c. A third type of the sense of value has something to do with anthropology and especially with cultural anthropology. The impossibilities in terms of rational and intellectual judgement sometimes turnes out to be possible in our daily lives. A Christian frequenting fortunetellers is an instance of this type. On the assumptions stated above, the main emphasis of the present study has been laid on the treatment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sources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parent’s way of thinking senses and their senses of value, character, attitude, and the view of education has been of more concern than the study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3. The Methods of the Study To attain the object stated previously, the problem has been approached in three ways. First, on the assumption that our sense of value is based on the historical tradition and logical thinking, the main points of educational trends and ideas have been traced in the hope of determining the inevitable consequence of our view of education. Secondly, a group both of urban and rural people were questionaired periodically for the past ten years to find out their view of education and also to study the trend of their mental processes of change. This was necessar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our assumption that the sense of value is resistant to change is true or not. Thirdly, the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were also questionaired to obtain the information for the deep psychological and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from the cross-cultural point of view. This was necessary to fine out the processes of the formation of the view of education both in the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cultural environments. Thus it took ten years for the present study to be completed. 4.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writer hesitates to claim that Korea culture h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ny systematic higher religion. The original cultural background may be traced back to Shamanism. Geographically situated among the Asian Powers, we have always been preoccupied in how to preserve the status quo and how to live peacefully free from the attacks of the neighboring Powers rather than trying to expand ourselves beyond our boundaries. This situation has naturally rendered the nationalistic character to be obedient to the Nature and the behavior of the people tends to be gentle and obedient. Climatically belonging to the cold-temperate zone, Korea has clear divisions in the four seasons and the varied experiences with the four seasons has led the national character to be artistic and fanciful. Korean language reflects the feudalistic class system and has such a varied forms of speech ranging from the honorific to the humble forms. This may, in turn, be said to have contributed to the class consciousness of the people and, consequently, to the longevity of the particular social system.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duced the national character to enjoy the static rather than the dynamic. The subsequent introduction of Confucianism preached the virtue of feudalistic ethical code. The latter did much for the firm establishment of Yangban system while contributing little to the national progress, which requires a daring and united spirit. It also caused the national character to be disinclined to change rather than rendering them to be initiative, adaptive rather than self-assertive, family-centered rather than community-minded and submissive rather than daring. Much more recent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added confusion to the value sense of the people. Politically, the occasional reformation by the different dynasties brought about the social unrest. It so often happened that the political ruler had religion under their control also that a different religion was forced upon the whole people by a different ruler. The state of unrest occasionally subjected the nation to foreign invasions and drove it to the brink of losing the land. In view of all these factors, we can locate the source of difficulty in keeping on a consistent line of the sense of value and, consequently, the value of education in Korea. We are at a loss to define Korean culture as distinct from any other culture and all those factors added up to the confusion. Such condition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our efforts to establish the sense of value as well as the view of education, which were subject to the different rulers and foreign influences and the unbroken line of constancy of which was hard to be established. Abstract qualities were placed above the concrete actions. The pattern of behavior and actions tended to be formal and unreasonable instead of having a direct bearing on the economic progress and natural conditions. 5. The Factual Study In order to support the theoretical basis, sample groups both of the major urban and rural people were questionaired for the years 1963-1973, the result of which was of utmost significance for the study. a. In comparing the questionaired data collected from the major cities ten years ago with those collected during the subsequent years, we could gather little or no evidence of change in the view of education during the years. The question item which turned out the highest per centage of responses in the 1960’s was “to bring up an adaptive person in any situation”. So was the response in the early ’70’s. the second highest response in the 1960’s was “to bring up a useful man,” and so was the response in the early ’70’s. b. From among the sub-items under “to bring up an adaptive person in any situation”, “a person of adaptive ability in any change” showed the highest response. Next came “a person of ability to cope with problems as they arise”. The result in the early ’70’s was the same. c. Farmers’ response was different from that of urban people, that is, there proved to be a regional difference in the view of education. While the urban people showed the highest score on the question item “ to bring up an adaptive person in any situation”, farmers highest score came on the item “to proved for the foundation on which to succeed in life”. d. The item with the highest score was less than 20 percent of the total number of responses and some 10 per cent on both sides, the result of which may well be interpreted that there is no representative current of the view of education. e. On the whole, the conflicting view of education was apparent in cities as well as in the country, and our assumption that the senses of value and education are still in the state of turmoil proved to be true. f. Generally speaking, the view of education reflects family-centered egoism of the people, and nationalism or the spirit of public service seems to be made light of. Yet the statistical survey shows farmers to be more nationalistic and public-minded than city dwellers. g. Korean people both in cities and in the country show a strong tendency to be realistic and adaptive. h. Though there appears to be a slightly different views by the different age groups the difference is not clear-cut. j. The female sex tends to be more positive than the male sex. Yet, the view of education shows no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xes. g.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the view of education among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s, but the traditional culture rather than the religion seems to have a decisive effect on the view. k.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view by different vocational backgrounds but they are not decisive factors either. 6. Cross-Cultural Study In an effort to clearly define and understand Korean view of education, the views of education of Japanese, Chinese and Indians, who are said to have a common cultural heritage as we have, were compared with that of Koreans. Furthermore, American view of education was compared with that of Koreans in an effort to find out some contrasting points since America belongs to a heterogeneous cultural zone. Above study revealed some significant points to us. First, Japanese view of education is similar to that of ours except that their per centage of responses was slightly more concentrated on one item than ours. Chinese view is also similar to our view and their per centage of responses showed a slightly higher concentration on one item, which is to be attributable to Confucianism, their native ethical code, and the consequent enforcement of the ethical standard. Indians, for all the predominancy of Buddhism and Hinduism, over the vest nation, are also inarticulate in the view and are similar to Koreans, Japanese, and Chinese in this respect. Diversities of the local languages or dialects may be attributable to their mental disunity. Secondly, American people showed a contrast in that their response tended to concentrate on one item of each question, which means that they have a definite system of the view. 7. Conclusion There is no denying the fact that Korean view of education is still in a diversified and conflicting state, which both the theoretical study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the factual investigation has made clear. On the whole Korean people tend to be not only family-centered, egoistic, adaptive but also realistic, while they lack in the cooperative sprit and are less public-minded and still less nationalistic. The sense of value which has been deeply rooted in the mind is hard to change once it has settled and ample support to the assumption has been given both in theory and with factual data. In conclusion, th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basic sense of value and view of education cannot be hoped for without the help of the deep psych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tudy. Moreover, cultural backgrounds play a decisive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sense of value and view of education and in order to trace the cultural tradition, both historical and cross-cultural study is imperative. Sinc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cultural tradition is the religion native to a country, it is to be emphasized that we should have a spiritual guide for our future education. ; 1. 硏究目的 韓國社會에서 價値觀의 定立은 知性있는 사람의 重要한 關心事가 되어 있다. 그것은 價値觀의 混亂은 하루라도 速히 그리고 바람직한 方向에서 定立을 要求한다고 認識되기 때문이다. 價値觀의 混亂은 그 一部인 敎育觀의 混亂도 前提할 수 있게 하여 준다. 그러므로 敎育觀의 混亂은 敎育觀의 定立을 必要로 한다. 또한 지금 敎育觀이 混亂을 빚고 있다는 것은 世論이 되었다. 이같은 敎育觀의 混亂은 地域間에서도 認定될 수 있고 年齡이나 性差나 宗敎的 背景에 따라서도 다같이 認定될 수 있다. 그러면 敎育觀의 混亂의 背景이 무엇이며 어떤 形態로 나타나고 있는가 한편 特히 父母→子女關係에 있어서의 父母의 敎育觀이 法律上으로 定해진 一般的 敎育理念과는 直結되지 않고서 이른바 歷史·文化的 背景에서 形成된 父母의 敎育觀이 決定的인 子女에 對한 影響을 미치면서 混亂을 빚고 있다는 것이 많은 사람에 依하여 觀察되고 있는 現象이라면 그것은 오늘의 韓國敎育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國家의 將來를 위해서도 重要한 問題가 아닐 수 없다. 이같은 問題意識은 되도록 바람직한 方向에서 學問的으로 究明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그 狀況이 實證的으로도 把握되어야 하지만 理論的으로도 說明되어야 한다. 이와같은 問題意識밑에 그 狀況의 當爲性 與否에 關聯하여 이것을 理論的 및 實際的인 側面에서 敎育觀混亂의 具體的인 狀況을 把握함으로서 敎育觀의 定立을 위한 理論的인 背景을 求해두자는 것이 本 硏究의 基本目的이다. 2. 硏究의 觀点 上記의 目的을 最小限度라도 達成하기 위해서는 硏究方法에 앞서 觀点이 確定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그 方向에 따라서 狀況과 背景이 合理的으로 把握될 수 있고 完全無缺한 硏究와 理解는 事實上 不可能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角度를 달리하면 硏究에는 限界 또는 制限点이 있다는 것을 意味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点에서 本 硏究의 基本觀点은 다음 세가지이다 가. 價値觀은 쉽게 變化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價値觀이라고 하는 것은 오랫동안에 걸쳐서 쌓이고 이어 받아지고 深層心理속에 숨어 있는 그러한 것을 말한다. 그리고 文化的으로는 지금 어떤 外部的인 刺戟이나 影響에 의해서가 아니고 옛적부터 無意識中에 그리고 不知不識間에 形成된 것을 뜻한다. 그와같은 價値觀은 原因이 무엇이던 變化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나. 價値觀이나 敎育觀가운데에는 마음속에 自身도 모르게 숨어 있어서 간직되고 있는 것이 있다. 論理나 知性으로가 아니라 實習이나 어떤 特殊한 契機가 原因이 되어서 潛在勢力으로 形成되어 있는 것이 있다고 前提하고 그런 觀点에서 理解해 보려는 것이다. 論理的으로는 迷信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無意識中에 非合理的인 것이 自身의 마음속에 潛在할 수가 있다. 이것이 自身의 論理的인 思考나 行爲를 論理的이 되지 않게 하는 것이 된다면 그것이 바로 深層心理的 또는 精神分析學的인 意味를 주는 것이다. 다. 人類學的 特히 文化人類學的인 意味를 찾아 보자는 것이다. 現代的인 合理主義的 知性에만 依하면 到底히 있을 수 없거나 不必要한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實際에 있어서는 그렇게 믿거나 行爲하는 것을 韓國人이 行動속에서는 자주 찾아볼 수 있는 것이 있다. 極端的인 경우에는 基督敎信者이지만 卜術家를 찾는 경우와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父母→子女關係에 있어서의 現代的關係自體보다도 父母의 思考와 價値觀, 性格, 態度, 敎育觀이 形成되게된 歷史·文化的 背景과 그 源泉을 찾아 보는데에 硏究의 重点이 있다. 3. 硏究方法 따라서 이같은 目的을 達成하기 위한 觀点에서 特히 세가지 方法을 가지고 接近해 보았다. 하나는 歷史的 理論的으로 韓國文化의 性格을 究明하여 거기에 根據를 두었다고 前提하고 韓國人의 價値觀을 考察할 뿐 아니라 오랫동안에 걸쳐 나타난 敎育思想과 理念의 줄거리를 整理하여 韓國人의 敎育觀이 果然 이럴 수 밖에 없다고 생각되는 背景을 考察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簡單한 質問紙를 作成하여 都市人과 農民에 十年間에 걸쳐서 調査하여 現實的으로 어떤 狀態에 있는지를 觀察하고 果然 十年間에 어떤 變化가 있는지의 與否를 觀察함으로서 狀況을 把握하는 同時에 價値觀이 쉽게 變化하지 않는다는 假定이 立證되는지를 알아 보는 것이다. 셋째는 같은 調査를 韓國人外의 外國人에게도 實施하여 比較文化的 考察을 通하여 敎育觀의 階層心理學理解와 人類學的理解를 異質的 및 同質的인 文化圈에 있어서의 敎育觀形成의 過程과 意味를 찾아 보려는 것이다. 따라서 本 硏究를 위해서 十年의 期間이 所要되었다. 4. 理論的考察 무엇보다도 韓國文化는 體系的인 高等宗敎가 없이 發達된 것이다. 샤아마니즘的 巫敎가 中心이 되어서 出發한 말하자면 原始宗敎的인 背景을 가진 것이 韓國文化의 基本的 背景이다. 다음으로 地理的으로 强大國의 사이에 기어 있어서 밖으로 發展해 나아가기 보다는 오히려 그들로부터 苦難을 받지 않고 살아 보려는 平和的인 努力을 하는데에 힘쓰게 되고 自然에 順應함으로서 큰 탈이 없이 지낼 수 있는 方向으로 생각하며 行動하려 하는 態度가 形成되게 되었다. 氣候도 大體로 冷溫帶에 屬해서 겨우 겨우 견딜 수 있으며 四季節이 分明해서 자연 “멋”을 多樣하게 經驗하게 하는데 좋다. 셋째 言語는 封建的인 바탕 위에 發達하여 甚한 階層意識으로 封建的 社會制度를 構成하는데에 알맞고 그것이 社會秩序의 維持의 重要한 原理가 되게 되어 있다. 넷째 後에 外來宗敎인 佛敎가 들어와 活動的이기 보다는 靜的인 것을 즐기게 하고 다시 계속해서 儒敎가 들어와 封建的인 生活倫理를 堅持하여 國家發展을 위한 開發意識과 共同體意識보다는 現實과 形式과 體面과 權威를 維持하며 兩班制度로서 社會維持의 原理를 삼아 어느 모로보나 現實主義的이고 適應主義的이 되고 家族爲主主義的이 되게 하고 있어서 크게 團結하기 보다는 事大하기 쉽고 協同하기 어려운 基督敎 等의 外來文化를 背景으로 하는 宗敎가 들어와 더욱 계속해서 갈피를 잡기 어려운 程度로 混亂을 免하기 어렵게 하였다. 다섯째 政治的으로는 易性革命의 原理가 中心이 되어 起伏이 있었고, 종종 政權은 宗敎마저 左右할 수 있어서 綿綿히 同一宗敎를 지니고 살 수도 어렵게 되었고, 그러는 동안 크게 國內的으로 統一한 때도 있었지만 外勢에 依해서 自我를 喪失하게 되는 일도 있었다. 여기서 價値意識이나 敎育觀이 一連의 體系를 지니기 어렵게 된 源泉을 찾을 수가 있다. 果然 韓國의 固有한 文化가 무엇인지 조차 찾기가 어려울 程度의 外來的인 것과의 混在 또는 混存을 不可避하게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와같은 狀況은 價値觀形成만이 아니라 敎育思想과 理念을 定立하려는 努力에도 影響을 주었다. 基本的으로는 所謂 統治權者가 바뀌던 外勢가 들어 오던 그것과 關係없이 維持되는 무엇이 있고 다만 狀況에 따라서 形式이 바뀌어 나아갈 程度로 그치지 않았다. 그리고 具體的이기 보다는 너무나 抽象的이고 自然과의 關係 經濟生活의 發展과는 거의 關係가 적은 非合理的이거나 形式的인 姿勢와 行爲가 中心이었다. 그러므로 如前히 混亂속에서 個人主義와 現實主義와 家族主義的이면서 進取的이기 보다는 順應的 防禦的이기만한 것으로 기울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지극히 平和的이기는 하였다. 5. 實證的 考察 實證的으로도 그와같은 現象이 나타나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同一質問紙로 1963年부터 1973年까지 十年間에 걸쳐 全國的으로 各主要都市人, 農民에 對해서 實施한 調査結果는 重要한 意味를 提供해 주었다. 가. 十年前에 全國都市를 一括해서 調査한 結果와 그後 繼續해서 各主要都市別로 間隔을 두고 調査한 結果는 1960年代와 1970年代사이에 基本的으로는 이렇다할 變化를 찾아볼 수가 없었다. 1960年代에도 「항상 부딪치는 環境에 適應할 수 있는 힘을 기른다」가 第一 높은 應答率을 보인 것이었고 1970年代에도 그랬다. 第二의 높은 應答率을 보인 것도 1960年代에도 「쓸모있는 사람으로 기른다」이었고 1970年代도 그랬다. 나. 「항상 부딪치는 環境에 適應할 수 있는 힘을 기른다」의 뜻에 있어서도 1960年代에 第一 높은 應答率을 보인 것이 「모든 變化에 잘 맞추어 나아가는 힘」이었고 둘째로 높은 것이 「自己 必要에 따라 問題를 處理하는 힘」이었는데 1970年代에도 마찬가지이었다. 다. 農民과 都市人사이에는 差異가 認定되었다. 卽 居住地域間이 農村이냐 都市냐에 따라서 差異가 認定되었다. 都市人이 第一 높은 應答率을 보인 것은 「항상 부딪치는 環境에 適應할 수 있는 힘을 기른다」고는 適應主義이었는데 對해서 農民이 第一 높은 應答率를 보인 것은 「出世할 수 잇는 基礎를 닦아 준다」는 出世主義로 果然 다른 点을 보여 주었다. 라. 都市人이나 農民이 第一 높은 應答率을 보인 것이 언제나 20%未滿이었고 10%以上의 應答率을 보인 것이 몇 개씩은 있었다. 그리하여 「이것이 韓國都市人의 敎育觀이다」 또는 「이것이 韓國農民의 敎育觀이다」라고 할만한 主流를 이룬 것이 없다는 点에서는 共通的이었다. 마. 뿐만 아니라 全體的으로 보아 1960年代의 都市人에게서나 1970年代의 都市人에게서나 敎育觀이 混亂狀態를 벗어 나지는 못하는 形便이었다. 이 点에 있어서는 農民의 경우도 마찬가지이었다. 그러므로 韓國人의 價値觀이 混亂狀態를 빚어내고 있다는 말과 敎育觀이 混亂狀態를 빚어내고 있다는 말은 肯定的으로 받아 들일 수 밖에 없다. 바. 全體的으로 보아 韓國人의 敎育觀은 都市人이나 農民이나 家族爲主의 所謂 個人主義가 中心을 이루고 國家主義와 奉仕主義는 지극히 弱하다. 그러나 農民이 都市人보다는 國家主義와 奉仕主義가 多少 强한 便이다. 사. 農民이나 都市人이나 現實主義的이고 適應主義的인 傾向이 濃厚하다. 아. 年齡差가 全然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個人主義的이라던가, 混亂狀態를 빚고 있다던가 主流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意味에 있어서의 基本的인 敎育觀에는 이렇다할 差異가 나타나지 않는다. 자. 性差는 女子가 男子보다 多少 積極的인 便이다. 그러나 여기서도 基本的인 敎育觀의 差異로서 이렇다할 것은 認定할 수가 없다. 차. 宗敎的인 背景에 따른 差異가 全然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러한 宗敎的인것 보다는 韓國文化가 뒷받침하는 것이 더욱 決定的인 役割을 하는 것 같다. 여기서도 基本的인 敎育觀에 이렇다할 差異를 認定할만한 것을 發見할 수가 없다. 카. 職業的 背景의 경우에도 같은 現象이다. 卽 職業的인 背景에 따라서 多少의 差異가 있는 것은 事實이나 基本的인 敎育觀에는 意味있는 差異를 認定할 수가 없다. 6. 比較文化的考察 韓國人의 敎育觀을 보다 뚜렷하게 浮刻시키고 確實하게 理解하기 위해서 東洋이라는 点에서 類似한 文化的 背景을 가지고 있는 日本人, 中國人 그리고 印度人의 敎育觀과 比較하고 나아가 文化的 背景이 異質的이라고 보여지는 西洋文化圈內의 美國人의 敎育觀을 比較하였다. 여기서 重要한 것을 發見하였다. 첫째, 韓國人과 가장 類似한 狀況을 이루고 있는 일본인의 敎育觀은 한가지 問項에 集中하는 比率이 若干 높은 便이기는 하지만 韓國人의 그것과 거의 비슷한 狀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中國人도 類似한 것이 事實이다. 그러나 儒敎가 元來부터 宗敎라기 보다는 現實의 生活倫理에 重点을 두는 것이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中國人의 경우는 韓國人이나 日本人보다는 한가지 問項에 集中하는 比率이 조금 더 높은 便이다. 印度人의 경우에 있어서도 佛敎의 發祥地이며 힌두敎가 支配的인 곳이지만 北部에서는 힌두어, 南部에서는 타밀語가 主要言語이면서 많은 方言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基本的인 흐름이 韓國人, 日本人 그리고 中國人과 類似한 点을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둘째 美國人의 경우는 問項內容이 무엇이냐는 別問題로 하고 어떤 집중방향이 있음으로 主流를 가지고 있으며 混亂狀態를 이루지는 않고 있어서 東洋人과의 分明한 差異를 認定할 수가 있을것 같다. 7. 結語 韓國人의 敎育觀이 主流를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混亂狀態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歷史를 通한 理論的 考察에서나 實證的考察에서나 함께 認定할 수가 있다. 그러면서 一般的으로는 家族的個人主義와 適應主義的인 傾向과 아울러 實現主義的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고 共同體意識을 바탕으로 하는 奉仕主義的인 傾向이 弱한 便이고 國家主義的 傾向은 더욱 弱하다. 한편 價値觀이 그리 쉽게 變化할 수 없는 것이라는 事實을 理論的으로나 實證的으로나 立證할 수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基本的인 價値觀이나 敎育觀의 理解는 深層心理學的 및 人類學的인 뒷받침이 없이는 完璧한 것을 期待할 수 없다는 것도 確信할 수 있게 된 셈이다. 뿐만아니라 比較文化的 考察을 通해서 볼 때에 歷史的인 觀点, 特히 文化人類學的인 觀点에서 文化的 背景의 差異는 곧 價値觀과 敎育觀形成에 있어서의 決定的인 要因인 同時에 體系있는 固有의 宗敎를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의 與否가 絶對的인 役割을 하는 것임을 理解할 수 있다. 여기서 韓國敎育의 來日을 위하여 지극히 重要한 課題가 있다는 것을 自覺해야 할 것 같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