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51 Download: 0

국내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른 색조화장품 시장 트렌드 변화 연구

Title
국내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른 색조화장품 시장 트렌드 변화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changes of color make up market trend based on the domestic spending trend : Based on product color and advertising
Authors
정은애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식
Abstract
Despite today's society-wide economic recession, the consumption of color cosmetics is increasing steadily. Color cosmetics tend to be affected by various conditions and factors and are susceptible to fashion. The tendency affect the spending pattern of consumers who do not want to be left behind groups, having correlation with consumer sentiment. The research of this study was performed by two main systematic analysis regarding the changes of color cosmetics market trend according to trends in domestic consumption. First, large flow of consumption trends were organized by keyword, and the impact of consumption trend in changes in color cosmetics market tren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he colors of top 1 and 2 color cosmetic brands in 2011 through 2013 were analyzed. The specific method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tudy the domestic consumption trends, we derived the trend keyword of 2011 through 2013 on the basis of an analysis of the trends in 2010, and analyzed the impact of consumption trends in color cosmetics trends. Second, we analyzed the trend of copies and commercial images appealing to consumers on the color cosmetics ads, and found out the brand images that companies want to show through commercial models of color cosmetics by sorting keyword of each model as image adjectives. Third, NCS color analysis was conducted by organizing color changes in accordance with color cosmetic consumption trends of domestic top 1 and 2 companies in 2011 through 2013. In order to determine the flow of domestic consumption trend of 2011-2013, the repeated trend keyword were derived referring to recent trends from Samsung, LG, Hyundai, Hankyoreh Economic Research Institute and other various related newspapers, magazines, literature, etc. In addition, we drew the keyword with the Text mining analysis on ATL, BTL commercial copies of 22 domestic color cosmetics brands, and analyzed the trends read by the commercial images and keywor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ose trends, PESTEL analysi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consumption trends, we estimated the trends of color cosmetics market of 2014 and 2015 by dividing each cosmetics brands into groups with similar points. As for the color analysis, it was conducted with the color cosmetics of 15 color cosmetic brands of Amore Pacific which is the number 1 domestic color cosmetics brand and LG household & Health Care which is the number 2 brand in 2011 through 2013. And the color cosmetics for this study included lip color cosmetics(lipstick, lip gloss, lip tint, colored lip balms, etc), eye color cosmetics(eye shadow, eye liner, etc), skin color cosmetics(blusher, high-lighter, shedding blusher), and nail color cosmetics(nail liner, nail polish). As for the method of color measurement,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flows of annual color distribution with an aspect of color and tone,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bution on chromaticity coordinates of the NCS system of Sweden Color Research Institut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we could not measure various textures and effects with NCS analysis when measuring colors of color cosmetics, and it was also difficult to measure colors of some items that change their colors the second they touch skin. As to the issue, we approached it as an effect or phenomenon of trend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time flow of color cosmetics. Therethrough, consumers in 2011 through 2013 are interested in buying products that provide curiosity and pleasure for themselves while they became so smart that they compare prices and product quality and buy products through social commerce or overseas direct purchase. Thus, lip color cosmetics made significant progress to stimulate customer's wanna be consumer sentiment, and consumption curiosity launching various new products such as changing-color lip products from transparent or other colors to another color, or DIY lip products using unusual colors of black, white, yellow, etc that customers blend colors themselves to make their own favorite colors. As the growing interest in retro culture and nature is rooted as a social culture, the retro makeup of high saturation on eyes and lips or the eco makeup with natural colors that look like original skins attracted people's attention. In times of economic recession, consumers tend to enjoy a wide variety of color feast and pursue daily fun with low-cost. These phenomena has created a various of colors for color cosmetics and products of high-saturated, vivid and intense tone of colors. Due to the ongoing consumption trend phenomen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textures or designs and brilliant colors providing new experiences and effects will be more popular, and concerns for the environment and customer's needs of technical development for companies will further increase.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end keyword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consumption trend on color cosmetics trends and the colors of color cosmetics. Above all, since the consumption trends are keep changing due to political, social, cultural, economic, environmental change factors, it would be helpful to offer the colors of cosmetics that fits the best for customers' needs in accordance with the future changes of consumption trends if we keep eyes on the tendency of color cosmetics trend.;오늘날 사회 전반에 걸친 경제 불황에도 색조 화장품의 소비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색조 화장품은 여러 상황과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기 쉬운 성향을 지니며 유행에 민감하다. 이러한 성향은 소비 심리와 상관관계를 가지게 되고 집단을 벗어나고 싶지 않아 하는 모방 심리를 가진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국내 소비 트렌드에 따른 색조 화장품 시장 트렌드 변화에 관한 체계적이고 동향적인 분석으로 크게 두가지 분석으로 진행이 된다. 먼저 소비트렌드의 큰 흐름을 키워드를 통해 정리 하고 소비 트렌드가 색조 화장품 시장 트렌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1, 2위 화장품 기업의 색조 화장품 브랜드 컬러 분석을 진행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방법은 첫째, 국내 소비 트렌드 분석을 위해 2010년도의 트렌드 분석을 토대로 2011년에서 2013년까지의 트렌드 키워드를 도출하고 소비 트렌드가 색조 화장품 트렌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다. 둘째, 색조 화장품 광고에서 소비자들에게 소구하고자 하는 카피, 광고 이미지 트렌드를 분석하고 기업이 색조 화장품 광고 모델을 통해 보여주고 싶어 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모델별 이미지 형용사로 키워드 정리를 통해 알아본다. 셋째, 2011년부터 2013년도 국내 대표 1, 2위 기업의 색조 화장품 소비 트렌드에 따른 컬러 변화에 대한 정리를 NCS 컬러 분석을 통해 진행 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범위는 2011-2013년의 국내 소비 트렌드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삼성, LG, 현대, 한겨레 경제 연구소 등과 각종 트렌드 관련 신문과 잡지, 문헌 등에서 최근 트렌드 동향을 참고하여 중복되는 트렌드 키워드를 도출 하였다. 또한 국내 색조 화장품 22개의 브랜드들의 ATL, BTL 광고 카피를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분석으로 키워드를 도출하고 광고 이미지와 키워드에서 읽혀지는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트렌드 분석을 토대로 하여 PESTEL분석을 진행하였고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따라 각 색조 화장품 브랜드들이 영역별로 어떤 부분에 포인트를 두는지에 대해 구분하여 향후 2014년, 2015년 색조 화장품 시장 동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색채 분석에는 국내 색조 화장품 대표 1위 기업인 아모레퍼시픽과 2위 기업인 LG생활건강의 색조 화장품이 포함되어 있는 브랜드 15개의 2011부터 2013년 색조 화장품 컬러 분석으로 진행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색조 화장품이라고 지정한 범위인 입술 색조 화장품(립스틱, 립글로스, 립틴트, 색이 있는 립밤 등), 눈 색조 화장품(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등), 피부 색조 화장품(블러셔, 하이라이터, 쉐딩 블러셔), 손톱 색조 화장품(손톱라이너, 매니큐어)이 포함되었다. 측색 방법으로는 스웨덴 색채 연구소의 NCS체계의 색좌표에 분포시켰으며 결과에 따라 색상, 색조 측면에서 연도별 컬러 분포 특성과 흐름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소비자들은 가격과 제품 퀄리티를 비교하고 소셜 커머스나 해외 직구 등을 통해 제품을 구매할 정도로 스마트해진 반면 나를 위한 소비를 아끼지 않고 호기심과 즐거움을 주는 제품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따라서 입술 색조 화장품은 투명한 제형 또는 다른 컬러에서 바르면 그 컬러가 변하는 제형이나 Black과 White, Yellow, Green계열 등과 같은 기존에는 쉽게 접하기 힘들었던 컬러들을 DIY하여 직접 전문가처럼 섞어 쓸 수 있도록 출시되어 소비자들의 워너비 소비 심리, 호기심 소비 를 자극하였다. 복고 문화나 자연에 대한 관심이 점점 사회 문화로 자리 잡게 되면서 눈과 입술에 컬러 채도가 높은 복고 메이크업이나 내 피부처럼 자연스럽게 보이는 자연 컬러의 에코 메이크업이 관심을 끌었다. 경제 불황의 시대에 소비자들은 색조 화장품의 다양한 컬러 향연을 즐기고 저렴한 비용으로 일상의 재미를 추구하는 성향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들은 더욱 더 색조 화장품 컬러를 다양하게 만들었으며 점점 더 화려하고 강렬한 톤, 채도가 높은 비비드 컬러를 출시하게 되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소비 트렌드 현상으로 인해 새로운 경험과 효과를 경험 할 수 있는 텍스쳐나 디자인, 화려한 컬러들이 유행할 것으로 보여지며 환경에 대한 관심과 기업들의 기술 개발 니즈 또한 더욱 증가 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소비 트렌드의 변화가 색조 화장품 트렌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키워드를 도출하고 이러한 트렌드 키워드들이 색조 화장품 컬러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함에 있다. 무엇보다 정치, 사회, 문화 ,경제, 환경 등의 변화 요인으로 소비 트렌드가 변화하고 그에 따른 색조 화장품의 컬러 트렌드 동향을 분석 하는 것은 향후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른 소비자 니즈에 가장 잘 부합하는 색조 화장품의 컬러를 제안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