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전문대졸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 및 일자리 경험 분석

Title
전문대졸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 및 일자리 경험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female college graduates' achievements and experiences in the labor market
Authors
조희숙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안나
Abstract
여성의 고등교육기관 진학률의 급격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는 남성에 비해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대학에 진학하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지만, 대학 유형별로 살펴보면 여성들은 전문대학에 보다 많이 진학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대졸 여성들은 노동시장에서 학력과 성별에 의한 이중적인 차별을 경험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전문대졸 여성들은 고학력 여성의 노동 시장 성과에 대한 연구에서 그다지 관심을 받지 못하였고, 교육정책이나 노동정책에서도 소극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는 전문대졸 여성들의 노동시장 성과와 경험을 분석하여 학력과 성별에 의해 위계화된 노동시장에서 전문대졸 여성들이 낮은 직업지위로 이동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노동시장의 불평등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우선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졸자 중에서도 대학과 전문대학 간, 그리고 남성과 여성 간의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노동시장에서 전문대졸 여성들의 구조적 위치를 살펴보기 위해 대학졸업자의 첫 직장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대학특성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문대졸 여성들의 임금, 직장규모, 고용형태와 같은 고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이어서 계량적 분석에서 잘 드러나지 않는 전문대졸 여성의 일자리 경험과 적응방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과 성별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는 대학졸업자들 간에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전문대졸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전문대졸 여성의 일자리 경험과 적응방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특성이 전문대학 교육과 노동시장 현실의 개선을 위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이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대졸자의 첫 직장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특성 요인들을 살펴 본 결과, 대학요인보다는 개인요인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개인요인 중에서는 성별, 소득, 학점, 일자리경험과 직업훈련, 어학연수, 전공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그 중에서도 전공계열과 성별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특성 변인 중에서는 대학유형, 소재지, 취업률이 첫 직장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대학을 졸업한 여성들이 4년제 일반대학 졸업자에 비해, 그리고 남성에 비해 낮은 임금을 받고 있고 전공에 따라 편차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유형과 성별에 따라 임금구조가 다르다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졸 여성만을 대상으로 이들의 고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우선 임금은 전공계열과 대학의 소재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구분한 고용형태에 있어서는 입학당시 아버지 소득과 학력, 전공계열이, 사업체 규모는 아버지 학력, 전공계열, 대학의 설립유형과 소재지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경우 개별 대학 간의 특성의 차이는 적지만 소재지의 영향은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졸업생을 수용할 일정 규모 이상의 일자리가 지역별로 다르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전공계열의 영향력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전문대졸 여성들에 대한 수요가 높은 분야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셋째, 전문대졸 여성의 일자리 경험 및 적응방식의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전문대졸 여성들은 진로를 선택할 때 취업 가능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며, 진로에 대한 목표 의식이 뚜렷할수록 취업에 대한 태도가 적극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전문대졸 여성들은 남성과의 경쟁이 치열한 일자리 보다는 판매서비스, 보건 및 간호, 하위사무직 등 여성들이 집중되어 있는 소위 여성 일자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들과 달리 출산과 육아와 같은 여성들의 생애주기의 특성은 취업기회와 근속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전문대졸 여성들은 경우에 따라 이러한 제약이 적은 소규모, 비정규직을 의도적으로 선택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졸 여성들은 고용형태 상의 성별 분리를 인식하고 있으나 이를 비판적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당연한 현실로 받아들여 스스로 극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임금과 고용형태 등 고용의 질에 있어서 4년제 일반대학 졸업자나 남성들에 비해 전문대졸 여성들은 불리한 근로조건에 직면하고 있으나 개인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진로계획을 수립하고 진취적인 직업의식을 확립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대학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진로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취업을 지원해야 하며, 산학연계 등을 통한 지역 간 산업 불균형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는 고학력 여성 인력의 활용 차원에서 전문대졸 여성을 위한 실효성 있는 인력 정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전문대졸 여성을 포함한 여성 인력의 적극적인 활용은 앞으로 우리 경제가 성장하기 위한 전제조건이다. 전문대학 여성의 취업 의지를 지원하고 이들의 고용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과 국가정책 및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In spite of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women entering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omen are performing less than men in the labor market. Although more women are enrolling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an men, a high proportion of women go to colleges rather than universit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female college graduates experience two discriminations attributed respectively to education level and gender in the labor market. Nevertheless, female college graduates have not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researchers who study highly-educated women's achievements in the labor market, not being considered an important group when making educational or labor policies. Aware of this problem, the researcher aimed at offering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abor market unfavorable to female college graduates by analyzing the graduates' achievements and experiences in the labor market and examining their degradation to lower positions in the labor market hierarchized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gender. For the above, this study carried out quantitative analysis in parallel with qualitative analysis. First of all,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ce in labor market outcomes between university and college among the college graduates, and between men and women by using panel data of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panel data, and made analysis on individual and college characteristics factors that exercise influence on the wage at the first job of college graduate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female college graduates' structural position in labor market. And this study also inquired into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such as wage, workplace scale and employment status of female college graduates. Following the foregoing,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investigate female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experience and method of adaption which remained underrepresented in statistical analysis. First, How are the differences in labor market outcomes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 and gender distinguished among college graduates? Second, What are the factors affecting female college graduates' labor market outcomes? Third, what are the features of female college graduates' work experiences and their methods to adjust to employment? And what suggestions do the features give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education and the labor market condition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s were found out.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individual and college characteristics factors affecting the wages at the first job of college graduates, this study revealed that individual factors are more influential than college factors. Of the individual factors, gender, income, grade, employment experience, vocational training, language study abroad and majority field are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and among others, influence of majority field and gender turned out to be higher. And among the college characteristics, college type, location and employment rate affect the wages at the first job. The results mean that female college graduates are receiving lower wages as compared to the female who graduated general four-year colleges and male, and wages vary according to majority field as wel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employment targeting only female college graduates the basis of analysis result that wage structure differs depending on college type and gender, this study found that wages are affected by the majority field and location of college. As for the employment status classified by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father’s income and academic background at the time of entering college and majority field, and father‘s academic background, majority field, foundation type and location of college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In the case of college,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between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lleges, but the influence of location is meaningfully shown, which is assumed that jobs over a certain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graduates are distributed differently by regional groups. And majority field has influence on common area showing the feature of industry fields that are in high demand for female college graduates. Third,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experience and method of adaption, and found that female college graduates consider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as top priority when selecting future career and the more they have clear sense of object for career, their attitude toward finding a job become more active. This study also found that female college graduates prefer so-called jobs for women where women are concentrated such as sales service, health nursing and low-ranked office job rather than the one that competition with men is fierce. Unlike men, characteristics of women‘s life cycle such as childbirth and childcare are exerting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ir employment opportunity and continuous service, and female college graduates, as the case may be, intentionally select a small scaled company or non-regular position where the foregoing are less restricted. Although female college graduates are aware of the difference in employment status according to genders, they appeared to face the reality and overcome the situation rather than thinking it critic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emale college graduates are receiving lower wages as compared to the female who graduated general four-year colleges and male, and wages vary according to majority field as well. But female college graduates establish strategic career plans and to have aspiration for career. In order to facilitate this change, colleges should aggressively support career education, seek connections with communities and enterprises. Finally, in order to utilize highly education female workforce, the government should come up with effective manpower policies for female college graduates and provide them specialized support programs. Colleges'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aggressively use women workforce are expected to raise the achievement of higher education and boost economic growth by taking advantage of highly educated women workforce. the nation should make efforts to eradicate the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college graduat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related polices and syst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