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3 Download: 0

기준시료 조건들을 달리한 다양한 일·이점검사 (Duo-trio test)들과 동일-비 동일 검사 (Same-different test)의 효율성 비교

Title
기준시료 조건들을 달리한 다양한 일·이점검사 (Duo-trio test)들과 동일-비 동일 검사 (Same-different test)의 효율성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performance of the duo-trio tests with diverse reference modes and the same-different test
Authors
최윤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direct comparison of duo-trio with a reference mode to the same-different test. First, two different versions of duo-trio tests were investigated: the traditional version, duo-trio with the reference presented first (DTF) and duo-trio with reference presented twice, first and middle which is before and between the alternatives (DTFM). Second, two different constant-reference modes (a stronger reference vs. a weaker reference) were investigated in comparison to the balanced-reference mode. Third, discrimination sensitivity is affected by the strength of reference (a stronger vs. a weaker). The same-different test was used as a control of duo-trio tests. Experiment Ⅰ having two different levels of salt concentrations were discriminated by 216 consumers. And Experiment Ⅱ having two different levels of sugar concentrations were discriminated by 216 consumers. Each consumer performed 6 tests of long-version same-different, and 8 and 6 tests of DTF and DTFM, respectively under one of the three reference modes. In Experiment Ⅰand Ⅱ, the performance of both DTF and DTFM found to be superior to the same-different tests only when the reference for the duo-trio was constantly stronger stimulus. This indicates that duo-trio tests using a constantly stronger (or non- reduced) stimulus-reference might be a more sensitive consumer difference test method for discriminating reduced products. In Experiment Ⅱ, the performance of the DTFM and DTF tests was higher tend to the same-different when the reference was stronger stimulus. This indicates that duo-trio tests using a constantly sweeter (or non- reduced) stimulus-reference might be a more effective consumer difference test meth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onger constant-reference mode enhances the sensitivity of duo-trio test.;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저염·저당화를 실현하기 위한 감각적 평가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품질관리측면에서 기준시료 제시의 이점이 있는 일·이점검사 (duo-trio test)의 최적화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이점검사의 변형 요인으로는 제공되는 기준시료의 수와 위치, 기준시료의 특성 (상대적인 강도)과 반복평가에서의 기준시료 제공 조건의 차이를 연구하였고, 이들 요인들이 종합적 감각 차이식별검사방법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대조 군으로 동일-비 동일 검사 (same-different test)를 활용하여 비교 실험 하였다. 일반 일·이점검사 (the traditional version, duo-trio with the reference presented first; DTF)와 일반 일·이점검사의 기준시료 제시방법을 변형시킨 두 기준시료-일·이점검사 (duo-trio with reference presented twice, first and middle which is before and between the alternatives; DTFM), 두 종류의 일·이점검사에서 제공되는 기준시료로써 식별대상의 두 시료 중 상대적인 강도가 더 강한 시료 (stronger; S)와 더 약한 시료 (weaker; W)를 한가지로 일관되게 고정시켜 제공한 조건 (constant-reference mode)과 두 종류의 시료를 기준시료로 균형되게 제공한 조건 (balanced-reference mode)이 감각 평가방법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 Ⅰ에서는 저염화 평가 상황을 재현하기 위하여 소금 함량에 차이가 있는 토마토 주스를 사용하여 종합적 감각 차이식별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두 종류의 일·이점검사 (DTF와 DTFM) 모두 균형된 기준시료를 사용한 조건 (balanced-reference mode)이나 약한 시료 (W)를 일관되게 기준시료로 제공한 조건 (constant-weaker-reference mode)보다, 강한 시료 (S)를 일관되게 기준시료로 제공한 조건 (constant-stronger-reference mode)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효율성을 나타냈다 (p<0.05). DTF와 DTFM은 대조군인 동일-비 동일 검사의 효율성과 비교하였을 때, constant-stronger-reference mode에서만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p <0.05). 실험 Ⅱ에서는 저당화 평가 상황을 재현하기 위하여 설탕 함량에 차이가 있는 사과 주스를 사용하여 종합적 감각 차이식별검사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DTF와 DTFM은 실험 Ⅰ의 결과와 같이 constant-stronger-reference mode에서 다른 기준시료 조건들보다 평가 효율성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실험 Ⅱ에서는 DTF의 constant-stronger-reference mode와 constant-weaker-reference mode에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실험 Ⅰ의 결과와 달리 constant-stronger-reference mode의 DTF와 DTFM은 대조군인 동일-비 동일 검사의 효율성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저염·저당화를 실현하기 위한 종합적 감각 차이식별검사 평가 시, 기준시료의 상대적인 특성강도가 평가방법의 효율성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한 시료 (S)가 기준시료로 고정되어 제공되는 DTF와 DTFM이 다른 조건으로 제공되는 방법보다 높은 효율성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번 실험은 실제 농도의 차이가 있는 식품 간 감각 차이식별 평가에서 평가방법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저염·저당 식품의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