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6 Download: 0

고기능 자폐 아동의 집행기능과 언어 이해 능력과의 관계

Title
고기능 자폐 아동의 집행기능과 언어 이해 능력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of Executive Function and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y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 Autism
Authors
고아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each group on executive function (2)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each group on language comprehension performance(metaphor comprehension ability, phrase meaning comprehension ability), (3) to investigate correlation of executive function, age and language comprehension performance(metaphor comprehension ability, phrase meaning comprehension ability) for each group. For these purpose, 16 HFA children aged from 7 to 11 years old participated as subjects and 16 normal children. Children were tested on Kims frontal executive neuropsychological test for Children(kim, 2005) and metaphor comprehension task, KO-SECT(Korea sentenc comprehension test, KO-SEC, Pae et al., 2004) The results are summarized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cutive function between groups and significant main effects in executive function according to subtype (stroop, withdrawal efficiency, fluency) between groups. HFA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children.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metaphor comprehension ability between groups and significant main effects in metaphor comprehension according to subtype (conceptual domain: perceptual metaphors, psychological metaphors / syntactic structure: predicative metaphors, proportional metaphors) between groups. HFA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children. Thirdly, In the normal children, their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ecutive function and metaphor comprehension ability, age and KO-SECT. In the HFA children, their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taphor comprehension ability and KO-SECT. their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ecutive function and metaphor comprehension ability, KO-SECT.;뇌의 손상 부위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뇌 각각의 영역과 언어, 행동 간의 관계를 입증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방법을 통해 상위 인지 기능에 속하는 집행기능의 결함과 언어 장애와의 관계가 보고되면서 집행기능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집행기능은 하위 인지 기능을 통제, 방향을 설정하고 조정하는 역할(Barkley, 2000)을 하여 아동의 언어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어휘 습득, 정확한 구문 구조 사용 및 추상적 · 은유적 표현 이해 능력 등 언어의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집행기능의 결함은 언어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고기능 자폐 아동은 ‘집행기능 장애’라고 불릴 만큼 집행기능의 많은 영역에서 결함을 보인다. 또한 비교적 높은 지적 수준과 언어 능력으로 인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타인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는 고기능 자폐 아동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언어 능력을 갖고는 있지만 언어의 다양한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이다. 고기능 자폐 아동의 집행기능과 언어 능력 각각에 관한 연구들은 많이 있지만, 집행기능과 언어 능력과의 관계에 대해 많이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둘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고기능 자폐 아동의 집행기능과 언어 능력을 살펴보아 고기능 자폐 아동의 언어 능력을 집행기능과 연결시켜 설명하고자 한다. 집행기능은 표준화된 검사 도구인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김홍근, 2005)’의 4개의 하위 검사(스트룹, 인출 효율성, 단어 유창성, 도안 유창성)를 통해 집행기능의 하위 영역인 억제조절, 작업 기억, 인지적 유연성 수행력을 측정하여 전반적인 집행기능을 살펴보았다. 언어 능력은 ‘은유 이해 및 구문의미이해력’ 과제를 사용하여 언어 이해능력을 측정하였다. 특히 ‘은유 이해’ 과제의 경우 은유 문장을 개념적 특성(지각적 서술, 심리적 서술)과 문장 구조(서술적 구조, 비례적 구조)로 나누어서 아동의 은유 이해력을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각 집단에서 집행기능, 생활연령과 언어 이해 능력(은유 이해력, 구문의미이해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은 만 7세~11세의 고기능 자폐 아동 16명과 일반 아동 16명, 총 32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김홍근, 2005)’의 하위 검사(스트룹, 인출효율성, 유창성 과제)에 따른 두 집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하위 검사 간 차이와 집단과 하위 검사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고기능 자폐 아동은 모든 하위 검사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임으로써 집행 기능의 하위 영역(억제 조절, 작업 기억, 인지적 유연성)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집행기능에 결함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은유 이해 과제에서 은유의 개념적 특성(지각적 서술, 심리적 서술)에 따른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개념적 특성에 따른 과제 간 차이와 집단과 개념적 특성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은유 구조(서술적 구조, 비례적 구조)에 따른 두 집단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문장 구조에 따른 과제 간 차이와 집단과 문장 구조 간의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고기능 자폐 아동은 은유의 개념적 특성과 문장 구조에 따른 모든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임으로써 전반적인 은유 이해력에 결함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은유 문장을 해석할 때에는 개념적 특성 보다는 문장의 구조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도 알 수 있다. 특히 고기능 자폐 아동이 일반 아동 보다 문장 구조에 더 큰 영향을 받는데, 서술적 구조 보다는 비례적 구조의 문장을 이해할 때 더 큰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구문의미이해력 과제에서 두 집단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구문의미이해력 과제에서도 고기능 자폐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고기능 자폐 아동이 언어 이해 능력(은유 이해 및 구문의미이해)에서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각 집단에 따라 집행기능, 생활 연령과 언어 이해 능력(은유 이해력, 구문의미이해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집행기능과 은유 이해력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집행기능과 구문의미이해력 간에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에서는 구문의미이해력과 은유 이해력 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고, 집행기능과 언어 과제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고기능 자폐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집행기능 및 언어 이해 능력이 유의미하게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기능 자폐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언어 발달 시 집행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를 습득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인지 처리 기능이 요구되는데, 일반 아동에 비해 고기능 자폐 아동은 인지 기능 즉, 집행기능을 기능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고기능 자폐 아동은 비교적 높은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어 능력에 결함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고기능 자폐 아동의 언어 중재에 있어 집행기능을 기능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