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7 Download: 0

중도장애 아동을 위한 가족중심 AAC 중재가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도장애 아동을 위한 가족중심 AAC 중재가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Family-centered AAC Intervention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Families
Authors
김경양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장애아동 가족이란 장애가 있는 구성원이 포함된 가족으로, 과거에 가족을 장애의 원인 제공자로 바라보던 관점에서 최근에는 장애아동 교육 및 중재의 주체로 관점이 변화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장애아동 가족은 비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것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장애아동 교육의 주체이기 보다는 수동적 서비스 대상으로 간주된다. 특히 중도장애 아동은 아동 자체만으로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중도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편견은 양육의 어려움을 가중시켜 중도장애 아동의 가족 구성원 전체에게 생애 주기에 걸쳐 지속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중도장애 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장애아동 교육, 제한된 의사소통 능력, 문제행동 등 여러 가지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가족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중도장애 아동과 그 가족들을 위해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에 대한 훈련과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가족의 역량을 강화하여 중도장애 아동과 가족의 긍정적인 관계와 경험을 증진을 지원할 수 있다. AAC의 적용은 이미 많은 연구들을 통해 중도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문제에 대해 효과적이었음이 입증되고 있고 최근에는 지역사회, 학교, 가정과 같은 자연적인 의사소통 환경에서 AAC 중재에 대한 연구들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중도장애 아동 가족이 갖는 독특한 가족 특성과 배경, AAC 도구 비용 및 사용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국내외의 AAC 연구에서 가족이 참여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에 직접 방문하여 가족 구성원을 전체를 대상으로 가족중심 AAC 중재를 실시하여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고 기존에 AAC 도구를 사용한 경험이 없는 중도장애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복지관에서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모집하였다. 이들을 각각 연령, 장애 정도, AAC 사용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짝짓기 기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6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가족중심 AAC 중재를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기존의 언어치료를 계속하였다. 실험은 약 3개월 간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가족중심 AAC 중재를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의 가정을 방문하여 놀이활동과 식사활동에서 부모와 중도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상호작용을 비디오로 10분간 촬영하였다. 중재가 실시 된 후에는 아동 의사소통 발달 및 AAC 이해교육, 협력적 AAC 진단, 개별화된 AAC 체계 구현, AAC 의사소통 전략 훈련, 개별화된 가족 지원, 가족 상호교환 피드백을 포함하며, 지원단계 및 실행단계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총 12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총 12회의 회기는 7회의 소그룹 교육과 5회의 개별 가정방문으로 구성되었다. 중재가 종료 된 후에는 사전검사와 동일한 상황에서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중심 AAC 중재가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와 사전, 사후 검사 단일집단 설계가 사용되었다.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과 사후에 설문 평가를 실시하였고 평균 점수의 사전, 사후 차이에 대해 맨 위트니 유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행동과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에 비디오 분석을 실시하였고 사전과 사후 점수 차에 대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중심 AAC 중재를 받은 실험집단이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부모와 아동 간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험집단에서는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여 중재가 효과적이었음이 나타났다. 둘째, 가족중심 AAC 중재는 실험집단에서 부모의 의사소통 사용 전략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었다. 실험집단은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특히 요구하기 중심에서 반응하기와 모델링 사용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가족중심 AAC 중재는 실험집단 아동의 의사소통 발생 비율에서 유의미한 차이에 영향을 주었다. 아동의 의사소통 활동 참여도 및 의사소통 발생 비율은 증가하였고, 대화 주고받기는 간식활동과 놀이활동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간식활동에서는 주로 시도하기가 증가하였고 놀이활동에서는 반응하기가 증가하였다. 의사소통 형태는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AAC를 사용하면서 제스처의 사용이 감소한 반면 발성과 말이 비슷한 수준이거나 증가하였다. 의사소통 시도 효율성은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높아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가족중심 중재가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개별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AAC 중재를 가족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고, 가족이 의사 결정의 중심이 되어 전문가와 AAC 중재 전반에서 협력한 중재로써 의의를 갖는다.;Communication is one of social behaviors that manifests between at least two persons and is most basic component of human life. However, many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limited in locutionary communication techniques such as verbal communication of language; therefore, they respond and communicate with illocutionary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gestures and phonation.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subject to various problems such as problem behavior and restricted social interaction due to limited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use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should be considered. AAC is an alternative method wherein speech is augmented for students who are unable to communicate. Many previous studies have proved that AAC application is effective to improve communication problems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Nevertheless, the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and closest communication partne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face with many problems due to limited communication abilities. Although AAC has been suggested as an effective supporting application for these cases, only few researches have studied the effectiveness of AAC intervention in home settings with involvement of family members. Training family members to expect, recognize, and respond to the communication of their children using an AAC device is crucial (Romski & Sevcik, 2005). However, family stress created by the usage of the AAC device that leads to family involvement and training results the AAC device abandonment (Angelo, 2000)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 family efficiency to increase their competence for using AAC at home with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ree effects of family-centered AAC intervention such as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the children, communication strategies of the parents, and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divided into 6-perso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rough a pairing process based on gender, type of disability, and grade level.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family-centered AAC interven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approximately 3 months, in the order of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12 sessions of the program divided into ① the education phases, consisting of language development and overall AAC introduction including the necessity and the concepts of AAC, kinds of AAC device and program, ② the collaborative AAC assessment phase, consisting of assessment of the children's cognition, 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parents ③ the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AAC system, using the pc-based AAC program ④ the AAC communication strategies training using AAC device: modeling, demanding, waiting, structured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responding ⑤ the individualized family support and inter-family feedback.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family-centered AAC intervention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children language interaction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ith an increase in interaction behaviors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Children initiation was increased during snack activities, and parent initiation was increased during play activities. Second, study has shown the increase in use of communication strategies by parents, especially the use of responding and modeling. Third, improvements of communication involvement and communication trials were observed to th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snack activities and play activities during communication turn taking. As for the mode of communication, the use of AAC resulted in decrease in the use of gestures, whereas the use of speech remained the same or increased. As a result, communication effectiveness was increased in post-treatment rather in pre-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mily-centered intervention can be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parent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home visiting has been done individually, all family members were included as targets for AAC intervention, family members made the main decisions in AAC system, and family members cooperate with experts throughout AAC interv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aboration with parents is crucial and effective in AAC family intervention. Second, focusing on family needs in AAC programming and device selection is emphasized. Third, home visits are good at rapport building and family involvement. Finally, individualized family support is important component for AAC suc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