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8 Download: 0

시설노인의 음식관련 생활만족도, 급식서비스 품질 인식 및 삶의 질의 관계

Title
시설노인의 음식관련 생활만족도, 급식서비스 품질 인식 및 삶의 질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food related life, food service quality and quality of life
Authors
정지혜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선희
Abstract
우리나라는 산업의 발달과 식생활의 풍족함, 의료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있고, 이에 따른 노인 인구의 성장은 우리나라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의 의식도 변화하여 노년기의 생활을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인 생활을 원하고 있다. 이러한 의식과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는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이용 욕구가 급증하고 있고,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노인복지시설의 확충과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이 요구되고, 노인복지시설 입소노인의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 할 수 있는 체제가 요구된다. 식생활은 인간의 기본생활로서, 건강한 삶의 기본조건이다. 노인에게 있어서 음식은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노인복지시설 거주노인의 경우, 모든 끼니를 시설에서 제공하는 음식에 의존하므로, 노인의 건강한 생활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설에서 제공되는 급식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노인의 건강상태와 기호에 맞는 음식을 제공하여 음식과 관련된 생활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노인의 음식관련 생활만족도, 급식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인식,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조사하고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서울, 인천시에 있는 노인복지시설 9곳을 임의 표집한 후 노인복지시설 거주자 243명 (남자 83명, 여자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노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도움을 받아 만 65세 이상, 청각에 장애가 없는 자,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치매가 없는 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노인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각 시설에서 이루어 졌으며, 본 연구자와 1:1 개별 면담을 통해 실시되었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238명 (남자 80명, 여자 158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점수에 따라 0~19점을 도움 필요 군, 20점을 도움 필요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음식관련 생활만족도, 급식서비스 품질 인식, 삶의 질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음식관련 생활만족도와 삶의 질 요인인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생활환경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관련 생활만족도(t=-2.452, p<0.05), 사회적 심리적 요인(t=-3.164, p<0.01), 신체적 요인(t=-5.422, p<0.001), 생활환경 요인(t=-5.422, p<0.001) 모두 도움 필요 군이 도움필요하지 않은 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음식관련 생활만족도, 급식서비스 품질 인식,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 결과, 음식관련 생활만족도, 급식서비스 품질 인식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관련 생활만족도는 급식서비스 품질 인식과 삶의 질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의 크기는 음식관련 생활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직접효과 보다 작았고, 급식서비스 품질 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는 크게 나타났다. 급식서비스 품질 인식과 삶의 질의 관계와 음식관련 생활만족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음식관련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고, 노인복지시설 급식서비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노인의 건강상태에 맞는 식사를 제공하고 음식과 관련된 생활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음식과 관련된 생활만족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다양한 노인메뉴의 제공과 주기적인 기호도 조사 및 욕구조사를 통해 노인들의 기호도와 욕구를 파악하여 식단에 반영함으로써 급식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음식에 대한 만족을 높이고, 직원들을 대상으로 친절교육 및 서비스교육을 실시하여 더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급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with food related life, food service qua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to find a way to improve of quality of lif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243 elderly who are elderly without dementia, can communicate, do not have hearing problems, over 65 years in elderly welfare facility in Seoul & Incheon, Korea. A total 238 questionnaires(male 80, female 158 peopl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insincere responses were excepted.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student's t-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rect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test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9.0 and AMOS 18.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atisfaction with food related life, food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with food related life had a indirect effect between food service quality and quality of life. As for the moderating effect, activities of daily living proved to be not effective in satisfaction with food related life and quality of life, food service quality and quality of life. Our result indicated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food related life, quality of life is high. Also, the higher food service quality, quality of life is high.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nage satisfaction with food related life, food quality and service quality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Previous research that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with food related life are incomplete at domestic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in the future, more research of systematic and variety should be d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