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9 Download: 0

수용어휘 수준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및 구문 오류 특성 연구

Title
수용어휘 수준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및 구문 오류 특성 연구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Errors in Expressive Vocabulary and Grammar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Ordinary Families in Relation to Their Receptive Vocabulary Level
Authors
배승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semantic and grammatical 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errors in expressive vocabulary of children from nulticultural families and ordinary families in relation to their receptive vocabulary level. Forty eight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1) 12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with high receptive vocabulary level, (2) 12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with low receptive vocabulary level, (3) 12 children from ordinary family with high receptive vocabulary level, and (4) 12 children from ordinary family with low receptive vocabulary level. Picture naming task and spontaneous speech task used. Rate and type of errors in naming task and spontaneous speech task were analysed. ANCOVA was utilized to measure main effect of between-receptive vocabulary level and culture. And two-way ANOVA was utilized to measure main effect of between-group, within-group and interaction effect. The principal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in correct answer number of expressive vocabulary,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of between-culture; (2) error-category analysis in expressive vocabulary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 of within-group. That is related err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unrelated errors. But there were not main effect of between-group and interaction effect; (3) error-subtypes analysis in expressive vocabulary showed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produced association error most frequently, and children from ordinary family produced circumlocution error most frequently; (4) in error rate of grammar, there were not significant main effect of between-receptive vocabulary level; (5) error-category analysis in grammar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 of within-group. That is grammatical morphemes errors were produced most frequently, and grammar-cohesion component errors followed, and syntactic structure errors were produced least frequently. But there were not main effect of between-group and interaction effect; and (6) error-subtypes analysis in grammar, children of all group produced postposition error most frequently. The result suggest: (1)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ulture in correct answer number of expressive vocabulary; (2)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receptive vocabulary level in error rate of grammar; and (3) there is a difference among appearance ratio of each error-category in semantic and syntactic error.;최근 우리나라는 국제결혼이 증가하고 외국인 근로자들의 국내 체류가 확대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아동들은 주로 어머니와 언어적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모국어의 기본적인 구조와 틀을 습득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는 아동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어휘 및 구문 발달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있지만, 단순비교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실제 어휘 및 구문 과제에서의 반응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봄으로써 오류유형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시도한 연구에 비해 수용어휘 수준을 고려한 특성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용어휘 수준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및 구문 오류 특성을 일반가정 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의 의미발달 및 구문발달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생활연령 5∼9세의 보통 수용어휘 수준의 다문화가정 아동 12명, 낮은 수용어휘 수준의 다문화가정 아동 12명, 보통 수용어휘 수준의 일반가정 아동 12명, 낮은 수용어휘 수준의 일반가정 아동 12명, 총 48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어휘 정반응 빈도 및 오류 특성에서는 1) 표현어휘 정반응 빈도에서 가정의 문화배경에 대한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가정 집단의 정반응 빈도가 다문화가정 집단의 정반응 빈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수용어휘 수준에 대한 주효과 및 수용어휘 수준과 가정의 문화배경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표현어휘 오류범주별 출현율에서 오류범주에 따라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미적 오류가 비의미적 오류에 비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과 오류범주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3) 표현어휘 세부오류유형별 출현율에서 다문화가정 집단에서는 연관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일반가정 집단에서는 의미적 에두르기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구문 오류 특성에서는 1) 구문 오류율에서 수용어휘 수준에 대한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수용어휘 수준의 구문 오류율이 높은 수용어휘 수준의 구문 오류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가정 문화배경에 대한 주효과 및 수용어휘 수준과 가정의 문화배경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구문 오류범주별 출현율에서 오류범주에 따라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정 결과 문법형태소 오류, 구문응집성분 오류, 구문구조 오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의 주효과와 집단과 오류범주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3) 구문 세부오류유형별 출현율에서 네 집단 모두에서 조사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수용어휘 수준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오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정반응 빈도에서는 가정의 문화배경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하위오류유형별 출현율에서는 오류범주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구문 오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구문 오류율에서는 수용어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하위오류유형별 출현율에서는 오류범주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SES가 통제되지 못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표현어휘 정확도에서 가정 문화배경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는 점, 구문 오류율에서 수용어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는 점, 표현어휘 및 구문 오류에서 오류범주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