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동물실험에 의한 한국산 海藻食品의 消化率에 관한연구

Title
동물실험에 의한 한국산 海藻食品의 消化率에 관한연구
Authors
강명희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瑞來
Abstract
In order to elucidate the digestibility ana caloric values of layer, tangle and green layer among edible seaweeds in Korea, chemical analysis and animal experiment were performed, and calorie was calculated, therefrom. In the animal experiment, 24 albino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fed on the following diets: Group I : Basal diet, mainly consisting of polished rice Group II : Basal diet + 530% laver Group III : Basal diet + 30% tangle Group IV : Basal diet + 30% green laver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each diet was examined, by index method, and digestibility of each seaweed, was calculated from the results. 1. Chemical analysis of seaweeds Crude protein of seaweeds showed high levels ranging 25-35% the highest (36.65%) in laver. Green laver contained much more crude ash (24.41%) than other seaweeds, and generally high levels of crude fiber (2-6%) were found. The amount of nitrogen free extract was 40-45%, in which alginic acid, laminarin and mannitol were also determined, seperately. In tangle, alginic acid. content was 3-4 times higher than that in other seaweeds and the content of laminarin known to be abundant in brown algae was quite low. The variation in alginic acid, laminarin and. mannitol contents may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s in their collecting seasons, growing places, and. growing conditions of the seaweeds. 2. Weight gain and feed intake by experimental animal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each group shoved normal growth with respect to the weight gain and feed intake. Only in tangle diet group, average weight gain was a bit lover than others, but not significantly (P < 0.01) and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weight gain among basal, laver and green laver diet groups. In average feed intak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aver diet group as compared with basal diet group, but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 level (P < 0.01) in tangle and green laver diet groups. 3. Digestibility of mixed diet The digestibility of diets containing 30% seaweeds was calculated, by proximate analysis and Cr_2O_3 determination of diet and feces of each group. The results shoved much lower values than digestibility of basal diet group. The digestibilities of crude protein, crude ash and carbohydrate in tangle diet group, crude fat in laver diet group and crude ash in green laver diet group were quite low. 4. Digestibility of seaweeds The digestibilities of nutrients of laver were calculated as follows: crude protein 42.20 ± 11.74%, crude ash 8.68 ± 9.13%, carbohydrate 61.50±7.16?% and crude fat, none. It is considered that indigestion of crude fat in laver might be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indigestible carbohydrates in laver. The digestibilities of nutrients in tangle were calculated as follows : crude protein 10.38±7.16%, crude fat 40.15±15%, carbohydrate 39.85 ± 2.4%, and crude ash, none. The low protein digestibility could, give problems to the attempts of development of tangle as food. resources by supplementing staple foods. Also seaweeds as an iodine source should be reconsidered because of the low digestibility of crude ash. The digestibilities of nutrients of green laver were as follows: crude protein 37.52± 8.29%, crude fat 58.97±21.46%, carbohydrate 66.23±12.91% and crude ash, none. The amount of crude ash in green laver was about twice as much as others, but it was not digested at all. The fact gives problems to utilize it as a mineral source. 5. Calorie calculation of seaweeds. To compare the calories customarily obtained, by Atwater's coefficient, calorie values on the basis of digestibility were assessed to be only 52% in laver, 32% in tangle and 59% in green layer. As a matter of fact, the value of seaweeds as staple foods should, not be overemphasized, because of the poor digestibility. It is required that seaweeds as food resource by supplementing staple foods should be reconsidered.;한국산 食用 海藻類중 우리나라 사람들이 기호식품으로서 널리 섭취하는 김, 미역, 파래의 消化率을 조사하고 나아가 해당 식품의 熱量價를 계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 분석을 행하였고 동물실험에 의한 소화율을 알아 보았으며 열량가 계산을 시도하였다. 동물실험에 있어서는 흰쥐 24마리를 4 group으로 나누어 백미를 주로한 기본 사료, 30% 김 사료, 30% 미역 사료, 30% 파래 사료를 給餌함으로써 각 group의 소화율을 조사 하였다. 소화율 계산에는 Index method를 썼고, 기본사료에 해조가 30% 첨가되었을 때의 혼합사료 소화율에서 各個 해조류의 소화율을 계산하였다. 1. 해조의 화학성분 해조분의 조단백은 20~35%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특히 김에 있어서 조단백이 많았다.(35.65%). 조회분은 파래속에 특히 다량(24.41%) 함유되어 있었고 조섬유도 2~6%로써 일반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가용성 무질소물은 40~45%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alginic acid, laminarin, mannitol등의 탄수화물에 대한 분별 정량을 행하였다. Alginic acid는 갈조류인 미역에 다른 해조의 3~4배나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반면 갈조류에서 많이 볼 수 있는 laminarin은 미역에서 제일 적은 함량을 보였다. 이는 해조 특히 갈조중의 alginic acid나 laminarin, mannitol의 함량은 채취시기, 생육장소, 생육조건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2. 실험동물의 체중증가와 사료섭취량 실험기간 동안 흰쥐의 체중 증가량과 사료 섭취량을 보면 각 群 모두 정상적으로 양호하게 자란것을 볼 수 있었다. 다만 미역 사료群에서 평균 체중 증가량의 수치가 조금 낮았으나 有意的(P<0.01)은 아니었고 다른 사료群은 다 비슷했으며 사료 섭취량은 기본 사료群에 비해 김 사료群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미역, 파래 사료群은 有意的으로 높았다(P<0.01). 3. 혼합 食餌의 소화율 각 群의 사료와 便에 대한 일반성분을 분석하고 그 중에 함유되어 있는Cr_(2)O_(3)의 비율을 알아내어 30% 해조 첨가 사료의 소화율을 계산한 결과 기본 사료群에 비해서 해조 첨가 사교群의 소화율이 크게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미역 사료群은 조단백, 조회분, 탄수화물의 소화율이 나빴으며, 김 사료群은 조지방의 소화율이 크게 나빴고 파래 사료群에 있어서도 역시 조회분의 흡수율이 떨어졌다. 4. 해조류의 소화율 해조류만의 소화율을 계산해 본 결과 김에 각 영양소의 소화율은 조단백이 42.20±11.74%, 조지방은 전혀 소화되지 않았으며 조회분이 8.68±9.13%, 탄수화물이 61.50±7.06%로 나타났다. 김의 조지방의 소화가 나쁜것은 김 속의 비소화성 탄수화물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미역의 소화율을 보면 단백질 10.38±7.16%, 조지방이 40.15±15%였고 회분은 전혀 흡수되지 않았으며 탄수화물은 39.85±2.45%였다.단백질의 소화율이 이렇게 낮은것은 앞으로 미역을 主食에 첨가시켜 食糧資源貨하려는 시도에 문제점을 주고 있으며, 무기질이 풍부한 미역의 회분이 전혀 흡수되지 않은 것도 특히 요오드의 이용에서 볼 때 앞으로 추시될 문제라고 생각된다. 파래를 보면 단백질 소화율이 37.52±8.29%, 조지방이 58.97±21.46였고 회분은 전혀 흡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수화물의 소화율은 66.23±12.91%였다. 회분의 함량이 다른 해조의 2배 가량이었던 파래에 있어서 전혀 흡수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주목할 일이며, 역시 무기질의 이용에 문제점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5. 해조류의 열량가 계산 관례적으로 행하는 Atwater계수에 의한 열량가에 비하여, 이상의 소화율을 감안하여 열량가를 계산한 결과를 보면 김이 52%, 미역이 32%, 파래가 59%에 불과 하였다. 이와같이 낮은 소화흡수율을 보이는 해조류에 대해 主食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기는 곤란하며 해조류를 主食에 첨가하여 식량자원화 하는 문제도 다시검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해조류에 대해 영양효과를 기대하기 보다는 소량 사용으로 生理的인 效果 즉 便通을 좋게 한다든가 整腸作用을 한다든가 하는 效果를 기대해 볼 수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