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家事勞動 能率化를 위한 부엌設備에 關한 硏究

Title
家事勞動 能率化를 위한 부엌設備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On An Improved Kitchen Arrangement for more Effective Housework Management
Authors
임정빈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張明郁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guide to develope a practical as well as functional arrangement of kitchen, one of the main workplace of homemakers. Previous surveys on Korean home-life would point out that kitchen facilities prevailingly applied in many urban house-holds are designed in conventional ways with low floor or with worktables and storages inconvenient to body mechanic so that housewives can hardly avoid needless fatigue and frustration. Even in some western-built homes those equipments and their sizes derived from investigations on ideal kitchen preparation are found to be less suitable for Korean women's body structure than they should be, i.e., unnecessary work trips and ineffective space management makes any housewife get tense, frustrated and irritable in the performence of her homework. In reality kitchen planning has been left to house planners who presume this "atelier" a mere physical part of house. On her conscious experience as a housewife and on her deliberate investigation as a student, it is the writer's basic thought that kitchen planning be done by a home planner with a strong intention to ease housework and to give pleasure as well through improved facilities and their proper placement on the standpoint of Home Economics. To demonstrate a possible development of a more balanced work-place than used to be in general city household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regard to: 1) The least surface area and shape of the work-tables as well as their layout for preparation of ordinary Korean meals. 2) Possible change in the storage structure that diverse shapes of work tables demand. 3) Size and structure of work-tables and storage applicable to Korean women's motion and disposition. The procedure taken in the experiment is to observe, keep record and to analyze usual cooking process of four common menus in two ways: on one L-shaped surface comprising prepare center - sink center - mix center - comer counter - range - serving center, and again on the other L-shaped tables of prepare center - sink center - corner counter - range line respectively. Cooking was exercised by a well-experienced housewife while three assistants kept on watching and recording on the spot.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uggests that: When the work surface is comparatively long, the rear part of the table would be left unused &s the front surface is easily available for wide use, and with a shorter work surface on the contrary the whole space of the table can be occupied in full use. In this respect, shorter surface without serving center might be preferable for convenience with less area required, expecially when preparing Korean dishes that would be brought in many cases from range to mix center for recooking or served in slice-cut. Corner counter with a diagonal front surface is considered to be most functional as it allows the largest surface available when the worker does not move, while it demands the least direction change during the work process. At the same time storages set in parallel to the diagonal line of the surface will help keep the work motion more flexible. When the upper storages are set in so low aa to make smaller angle between the body trunk and upper arms, muscle may be protected from tension and fatigue, with work surface little interrupted. In this case a few horizontal shelves may as well be added into the storage with regard to the eye height of the "chef". Under- storage built-in for more use of upper part makes it possible to minimize bending the trunk: for example, drawers are set only on upper part of the storage with lower part having some vertical partitions for easy take-out. The structure of storage varies with the shape of work surface. With a separate serving center dishes and spoons are placed on it for easy service. Storage may be modified into several useful horizontal sections from lower part to upward, lest wares and spoons should be laid scattered on the corner counter. This design concept is recognized to be very functional as it brings less fatigue on a relatively short work surface. It is also recommended to classfy the equipments on separate shelves according to their specific service. As for working posture, it, is desirable to take least bending of upper arms to forward, and then even hard work with tensed arms while standing results in a perpendicular state of upper and fore arms. The right working height depends on the stature and elbow of the worker. For example, on cutting, the balance of elbow height minus the vertical distance from elbow to the knife blade edge and again minus from the blade to cooking block (Korean Do-ma) shall be the right height ofthhe work surface. The average elbow height of a 158-centimeter tall-Korean woman is reported to-be 2 centimeter shorter than that of a European woman of same height. Therefore work tables of 82-centimeter high might be most applicable to Korean women. The water sink is to be adjusted on average 17-centimeters deep from the upper height of work tables. In conclusion, the writer proposes that. the height of ready-made work tables for sale be controlled so as to meet physical condition of Korean women. The structure of storage should be also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dimension of work surfaces, so as to be appropriate to long surface and to deep area respectively. Interior design of kitchen, not only doors and windows but pipings of water inlet and outlet deserves also to be considered with great care from the beginning of house planning, especially when setting in a L-shaped work surface. For an efficient house work management homemakers are asked to improve their work flows by themselves and to develope functional structure and size of workplace for themselves. ;이 硏究의 目的은 女性의 主作業場인 부엌의 設備를 科學的으로 할 수 있는 몇가지 점에 대하여 硏究檢討하려는 것이다. 調査에 依하면, 우리나라에는 서울의 경우에도 아직 在來式부엌의 形態가 많아서, 바닥이 낮은 부엌에서 作業할때 體力의 消耗가 크고, 作業臺나 수납장의 規格이 人體構造에 맞지 않게 設置되어 있어 作業時 疲勞가 크게 된다. 改良된 부엌인 경우라 하드라도 모든 設備의 配列이나 値數가 韓國女子體格에 適合한가에 대한 基本的硏究 없이 造作되어 있다. 따라서 作業時 動線의 浪費가 많고 空間利用의 效率性이 缺如되어 있으며 作業姿勢가 좋지않게 되어 必要없는 疲勞를 가져오게 된다. 科學技術이 高度로 發達하여 生活의 科學化를 實現하려는 지금, 女性의 主作業場이요, 家族의 食生活을 計劃하고 準備하는 부엌設備의 科學化는 매우 緊要한 일이다. 先進國에서는 부엌設備에 대한 많은 硏究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硏究結果가 우리나라 부엌에 그대로 適用될 수 있는지, 그리고 韓國女子體格에도 適合한 것인가에 대하여는 硏究 檢討된바 없다. 그리하여 本 硏究에서는 다음과 같은 內容을 實驗하고 分析하였다. 1. 우리나라의 一般都市家庭에서 平常時 食事準備를 能率的으로 하기 위한 作業臺의 適合한 넓이와 作業面의 形態, 그리고 그에 따르는 作業臺配列의 變化. 2. 作業臺形態와 길이의 變化에 따르는 수납장構造의 變化. 3. 韓國女子體格에 맞는 作業臺와 수납장의 値數와 構造. 實驗方法은 2種의 作業臺形態, 卽 L型으로서 준비대-개수대-조리대-코너대-화덕-배선대 : Ⅰ型으로 하고, 같은 L型ㅇ로 준비대-개수대-코너대-화덕 : Ⅱ型에서 4가지 각기 다른 食單을 實際로 調理過程을 거쳐 記錄, 觀察, 檢討하였다. 結果를 分析해 보면, 作業面積이 큰 경우는 作業面의 앞부분을 主로 많이 使用하므로 뒷부분이 많이 남고 作業面積이 작은 경우는 全體面을 고루 使用한다. 그러므로 부엌面積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便利하게 作業하려면 II型이 좋다. 더구나 韓國料理는 화덕에서 다시 조리대로 가져다가 再調味하거나 썰어서 상에 놓는것이 많기 때문이다. 코너대 앞부분은 對角線으로한 것이 매우 效率的인 것으로서 한 자리에 서서 가장 넓은 作業面을 使用할 수 있다. 따라서 作業進行中 심한 方向轉換이 없으므로 좋다. 上·下수납장도 여기에 맞추어 作業面의 對角線과 平行이 되도록 하면 使用하기에 편리하다. 上部수납장은 작업면사용에 不便이 없을 程度로 낮게 한다. 왜냐하면 上體와 上?의 角度가 클수록 筋肉이 緊張되어 疲勞하므로 높으면 불편하다. 또한 身長이 158cm인 경우 눈의 높이는 약 148cm이므로 눈으로 볼 수 있는 칸을 두칸정도 만들도록 한다. 下部수납장은 몸을 굽히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윗부분을 많이 사용하도록 한다. 卽 설합은 위에만 두고 아래장은 세로로된 설합을 만드는 것이 좋다. 수납장의 構造는 作業面의 形態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배선대가 따로 있는 경우는 食器와 수저등 상차리기에 必要한 것이 배선대에 備置되어야 하나, 배선대가 따로 없는 경우는 食器類가 코너대 위에 있게 되므로 上部수납장은 낮은 높이에서부터 칸을 적절히 만들고 윗부분까지 利用하게 된다. 이러한 構造는 作業面이 긴것보다 便利하므로 比較的 좁은 作業面에서 效率的으로 作業할 수 있다. 수납장에 備置하는 器具는 같은 種類라 하드라도 그 用途에 따라 각기 適合한 場所에 두는것이 便利하다. 卽 도마, 쟁반, 칼등의 경우, 準備에 必要한 것은 準備臺와 개수대 근처에 두고, 상차리기에 必要한 것은 배선대나 조리대에 둔다. 作業姿勢에서, 서서하는 作業의 경우 上?의 앞으로의 屈折은 最小限으로 하고 손에 힘을 많이 加하여 作業할때는 上?과 下?이 直角이 되는 것이 좋다. 그리하여 作業臺높이는 팔굼치높이로부터 14.5cm인 약 82cm가 적당하다. 이것은 같은 身長의 歐美女子에게 맞는 作業臺높이에 比하면 낮은 것이며 그이유는 韓國女子의 팔굼치높이가 약 2cm 낮기 때문이다. 다시말하면 作業臺의 적당한 높이는 身長과 더불어 팔굼치높이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반죽하기, 접시닦기, 썰기등 作業의 種類에 따라 適合한 높이가 각각 다르나, 隣接한 作業臺의 높이는 같아야 하므로, 作業臺는 약 82cm, 개수대 깊이는 作業臺높이에서 약 17cm 아래이면 適合하다. 끝으로 提言하고저 하는 것은 作業臺의 規格은 一律的으로 할 것이 아니라 作業者의 身長과 팔굼치높이에 따라 調節이 필요하다. 수납장의 構造는 作業臺 形態와 길이에 따라 달라지므로 작업면이 긴 경우와 짧은 경우에 각각 適合한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L型의 一連으로 이어지는 作業臺를 設置하기 위해서는 부엌의 出入門과 窓門의 位置, 그리고 上·下水道管의 配線에 대한 考慮가 있어야 하므로 부엌內部設計는 住宅을 처음 設計하는 始初부터 竝行되어야 한다. 또한 主婦自身은 人體에 負擔을 가장 적게 주는 作業方法과 부엌設備를 科學的으로 하려는 認識을 갖고 일의 能率을 올리도록 努力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