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敎授媒體 硏究에 있어서 象徵樣式側面 硏究의 考察

Title
敎授媒體 硏究에 있어서 象徵樣式側面 硏究의 考察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search of instructional media in the view of media attributes
Authors
鄭珉雅.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시청각교육과
Keywords
교수매체감각양식상징양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elevision as a mass medium has been used to transmit to vast and widely separated audiences a great deal of information which has been appeared in succession in the present day and also used to transmit to learners certain knowledge especially on the domain of cognitive objectives. On the other hand, McLuhan in the field of media research claimed that medium itself, rather than content presented via medium, affects the cognitive style and also some researchers,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media research began to seek for inherent attributes of media which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conventional aims but for new instructional aims. In response to new demands some recent researches on the instructional television and motion pictures began to emphasize camera techniques and editing techniques and to propose that media can be used for new aims such as facilitating mental skills. As a survey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instructional media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instructional media, especially focused on cognitive effect of various techniques of television and motion pictures, this study discussed the stream of instructional media research and some theoretical problems of more recent research on the instructional television and motion pictures.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1. To investigate main issues and charecteristi s of the researches on the aspects of the sensory and symbolic modality of instructional media and to examine the concept and function of "symbol system" and camera techniques and editing techniques. 2. To review and analize the empirical findings on the learning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various camera techniques and editing techniques and to examine relations among learners, messages, tasks, and techniques of television and motion pictures, and to review main theses on the aspect of symbolic modality of instructional media research. More recently presented researches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television and motion pictures proposed a new trend in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spects. They adopted the research method of Aptitude x Treatment x Task interaction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more full via television and motion pictures focused on various techniques of those media.;대중매체(mass media)로서의 TV는, 현대에 이르러 續出되고 있는 많은 정보를 一般大衆에게 보다 신속히 傳達할 目的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敎授TV의 경우에 있어서도 특히 認知 學習目標 領域에서는, 特定 知識을 습득토록 하기 위해서, 提示되는 內容을 學習者에게 傳達할 目的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한편으로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McLuban등은 媒體에 의해 전달되는 內容이 아닌 媒體 자체의 영향에 대하여 밝혔고, 이에 뒤이어 敎授媒體 硏究分野에서도 知識의 습득보다는 좀 더 새로운 敎授目標에 적용될 수 있는 媒體 자체의 屬性을 찾기 시작했다. 이에 부응하여 최근의 一部 敎授媒體硏究家들은, 'TV 및 영화의 카메라 및 편집기술이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에 연구의 촛점을 맞춘 결과 학습자가 특정 정보를 추출해내려 할 때 필요한 여러가지 知的技能을 活性化하려는데에 TV를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本 硏究는 媒體의 屬性側面에서 본 교수매체연구에 관한 문헌연구로서, 특히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敎授TV 및 영화 硏究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실험연구 결과와 이론적 특성을 제시하고, TV가 認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근 연구물이 이론적 체계를 검토, 분석하였다. 本 論文의 硏究 內容은 다음과 같다. 1. 매체의 屬性 側面에서 본 感覺樣式과 象徵樣式 側面 硏究의 주요 이슈와 특성을 알아보았다. 특히 교수TV 및 영화 硏究에 있어서,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象徵樣式側面硏究의 이론적 핵심을 이루는 "象徵體系"와 "카메라기술 및 편집기술"의 개념 및 기능에 대해 커뮤니케이션, 기호학 및 교수매체연구분야의 견해를 조사하였다. 2. TV 및 영화의 고유한 屬性이라 볼 수 있는 카메라 및 편집기술에 관련된 1950년대에서 1978년에 이르는 실험연구물을 연구문제(research question)에 따라 분류, 분석하고, TV 및 영화의 諸 技術과 學習者, 課題 및 메시지와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象徵樣式 側面의 硏究(TV 및 영화에서 操作할 수 있는 여러技術의 認知的 영향에 관해 중점적으로 硏究하고 있는)에서 이론적 근간을 이루고 있는 "모방 및 관찰학습", "心象 및 知的 發達" "TV 및 영화의 象徵體系와 언어의 기능, 구조상의 비교"에 대해, 이러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 他 分野의 견해에 비춰, 몇 가지 차이점이나 문제점을 연구, 고찰하였다. 敎授媒體 中 특히 敎授TV에 대한 硏究에 있어, 이와 같은 최근의 硏究들은 敎授TV硏究의 이론적, 방법론적인 면에서 새로운 方向을 提示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TV의 여러 기술들을 중심으로 적성(Aptitude), 처리(treatment), 과제(task)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보다 더 완전한 個別化 授業의 可能性을 提示하고 있으며, 카메라 및 편집기술을 TV의 固有한 屬性으로 보고, 敎授TV를 硏究할 경우 이를 中心으로 考察할 것을 提案하는 한편, 과학기술의 發達에 의해 새로운 象徵體系가 生成될 수 있음을 示唆하고 있다. 그러나 TV란 媒體가 "思考"에 영향을 끼치며, "認知能力의 活性化"란 것이 實驗에 의해 밝혀졌다고 해서 授業에 무조건 適用한다는 것은 敎育이란 더 넓은 맥락에서 생각해 볼 때 몇가지 문제점이 있으리라 본다. 따라서 TV의 諸 技術을 活用한 프로그램을 수업에 사용할 경우에는 學習者 및 課題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후 實施해야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