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結婚滿足度에 관한 文獻的 考察

Title
結婚滿足度에 관한 文獻的 考察
Authors
김혜선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결혼만족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硏究는 총체적 개념으로서의 結婚 滿足度에 대한 理論과 方法論 그리고 조사연구 결과들을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대표적이니 서구사회라 할 수 있는 미국과 우리나라의 결혼 만족도 연구를 文獻的으로 재검토하여, 아직 초기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결혼 만족도 연구가 보다 과학적이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目的을 두었다. 本 硏究의 내용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本 硏究에서는 滿足度를 관계 그 자체로서 보는 것 보다는 개인의 知覺이나 態度로서 보는 것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결혼 만족도를 개인의 결혼생활 전반에 관한 주관적 느낌이나 일종의 態度로서 定義를 내렸으며, 靜的인 상태가 아닌, 계속 변화하는 動的인 過程으로 보았다. 2. 미국의 60년대 결혼 만족도 연구는 조사자가 관심있는 몇 구체적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非論理的 연구였다. 반면, 70년대에는 이러한 經驗的인 연구들의 一般化를 위한 연구가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교환이론, 상징적 相互作用理論과 같은 일반이론으로부터 이끌어 내어진 중간범위이론이 발달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현재 미국의 60년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3. 방법론에 있어서도 역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즉, 표본의 크기가 커졌으며, 부인과 남편이 함께 표본에 포함되어졌다. 또한, 信賴度, 妥當度에 대한 주의가 증가되었으며, 분석에 있어서 多元的 분석통계(multivariate statistics)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방법론에 있어서의 이러한 발달은, 이론적 측면에 있어서의 발달과 더불어서 미국의 결혼 만족도 연구에 큰 공헌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남편을 표본에 함께 포함시키는 연구는 증가되었으나, 표본의 크기는 아직 소규모이며, 信賴度, 妥當度에 관한 세심한 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4. 本 硏究에서는 총체적 결혼 만족도는 여러 영역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多領域的(multidimensional)性格임에도 불구하고, 이 자체의 평가는 이러한 모든 영역의 만족의 빈도(frequency)나 특징(salience)으로 나타나는 單極的(unipolar)성격이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이러한 각 영역의 만족도 역시 여러 요인(factor)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만족의 정도가 수립되지만, 역시 평가에 있어서는 單極的 性格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5. 총체적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교육정도, 사회적 경제적 지위, 수입, 부인의 취업 등과 같은 객관적 요인 역시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나, 그 영향의 정도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차 사라질 것이라고 보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요인이 총체적 결혼 만족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을지라도, 이와 연관된 영역의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결혼 만족도를 영역별로 분리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으로 이끌었다. 한편, 애정, 성, 의사소통요인이 결혼 만족도와 뚜렷한 正的相關關係를 보이고 있는 결과는, 현대의 부부가 애정을 중심으로한 부부관계를 指向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와같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6. 가족주기에 따른 결혼 만족도 연구는 연구설계의 문제점과, 남편과 부인의 性差에 관한 문제, 가족주기를 가족의 변화과정의 指標로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지의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여러 횡단적 연구의 결과는 대체로 U-형태의 곡선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 변화의 정도는 작은 양에 불과했다.;This paper is aimed at the reexamination of the study for the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 representative country of the Western culture and Korea by researching the theory, methodology and result of the study about the global concept of the Marital Satisfaction. This paper is also object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for more scientific and wider studie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Korea, which is still in the beginning at present. This paper is summarized as follows: 1) Marital satisfaction i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ersonal perception or the attitude of the marriage than the marital relation itself. So, the marital satisfaction is defined as the personal subjective feeling or attitude about the marriage, and is not regarded as the static stage but as the dynamic stage, which continues changing. 2) In 1960s, there were nontheoretical studies for the marital satisfaction to research some of the concrete hypotheses in which researchers have interest. In 1970s, not only the generalization of the empirical studies have been increased but also middle-range theory has been developed, which was drawn from the general theories such as exchange theory and the symbolic interaction theory. But studies in Korea is still in 1960s of America. 3)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field of the methodology: sample sizes are generally larger in the published literature of the 1970s than in the literature of the 1960s, wife and husband have been included together in the sample and the attention has been more paid to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 use of the multivariate statistics have been increased. These methodological developments are contributed to the study of the marital satisfaction. Our studies in Korea do not pay close attention t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sample sizes are still small. But our studies also increasingly include man (husband) in the sample. 4)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valuation of the global marital satisfaction itself is the unipolar character which was determined as the frequency or salience of certain satisfying aspects of marriage, in spite that global marital satisfaction is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which is influenced by several dimensions. The measure of the marital satisfaction in each dimension is influenced by different factors but is valuated to be the unipolarity. 5) This paper examine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global marital satisfaction. As the result, the conclusion that objective factors such as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income and wife's employment influence the marital satisfaction but the extent of its influence is weak and gradually becomes ineffective, is increasing. But these factors influence the dimension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with objective factors though these factors hav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global marital satisfaction. So, it is necessary that marital satisfaction should be measured in separate dimensions. The fact that factors such as affection, sex and communication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arital satisfaction shows that modern couple bases their marriage on the affection. Our studies in Korea appear to get the same tendency. 6) The studie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with the life cycle have problems such as the research design and the sex difference between wife and husband, and whether it is proper to use life cycle as the indicator of family life-span. The result of most cross-sectional design showes U-shapped curve but the amount of variance is very sma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