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의 관계

Title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의 관계
Authors
최정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In today's schools, due to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various demands from concerned parties who are in charge of school education, it is impossible to cope with the current changes occurring in schools which have the existing bureaucratic and authoritative school system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n create learning community through the engagement of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also aims a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The questions investigated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ssessed the students' level of engagement in the classroom and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tudents' engagement and in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aking into account of teachers' distinctiv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ird, the stud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engagement of students, and found out variables of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can influence the engagement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activities. Fourth, the study analyzed four variables: visioning, professional competence, professional virtue, and empowerment as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 students' engagement in the classroom activities. In order to measure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level of students'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A survey instrument on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made by the researcher, in terms of various 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evaluation tool on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divided into four factors: visioning, professional competence, professional virtue, and empowerment. An instrument on student's engagement with classroom activities was also developed to be suitable for the circumstance of the schools in Korea, following Finn model of students' engagement. The evaluation tool on students' engagement is divided into three levels: level one participation, level two participation, and level three participation. The level one participation indicates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or evasive conflict in the classroom not showing school collapse phenomenon. The level two participation deals with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lassmates, and the level goes into a stage of experiencing the 'community'. The level three participation can be described as carrying issues such as satisfaction, ownership, we-feeling in the classroom. The sample for the study was selected by three cluster sampling, and embraced a total of 2,040 students. A total of 1,848 among the total students fulfilled out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 The return rate was 90.0%. The data gathered were analyzed through factor analysis, frequencies, percentile, t-test,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students' perception towards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engagement with classroom were relatively high.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engagement with classroom according to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gender, position, experience)and school characteristics(level of school, control of school) Especially, there is a difference in professional virtue by gender of teacher. According to a previous research on professional virtue, female teachers tend to be more suitable in showing such leadership. However, according to this study, male teachers showed greater mark than female teachers on carrying out the professional virtue. In other words, the professional virtue, the ethics of caring is not limited to typical gender but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gender. And another significant result is that teachers with 5 - to 10 - year- experience are perceived to show the highest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mpared to teachers with less or more experience. This indicates that teacher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not born, but it is made and developed through the continuous efforts during the period of 5 to 10 years of experience as a teacher. Third,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comparably higher correlation with students' engagement with classroom activities. And by using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is study analyzed all students classroom participation levels,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luenced almost all levels of students' engagement with classroom activities. Especially, professional virtue, the ethics of caring was affecting level three participation the most where students experience becoming a member of the community. Fourth, by selecting 13 teachers among 22, who fell in the respective category of 25% of high and low, this study compared teachers who are perform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ighly and those who are perform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ow. And their influences to the student participation are also analyzed. As a consequence, the teachers with higher point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ale showed that they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professional virtue, visioning, and profession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teachers with lower point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ale showed that they have professional competence, and visioning. In other words, teachers with higher leadership characterized with professional virtue lead the students and care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well compared to teachers with lower leadership. As higher the professional virtue higher the engagement rate, teachers with hig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form virtue of caring for students highly compared to teachers with low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refore, it also indicates that school should be a place for caring students. The caring of student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 summary, if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carried out, students will not be fallen into the where school collapse can occur, and will promot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lassmates, and will let them experience a feeling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in the classroom. Therefore, in order to bring about the learning community,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ust be performed. A transformational teacher leader could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based on the leader's vision, professional competence, professional virtue, and then help them to be self leaders. Also, a transformational teacher as a leader of leaders enables students to perform better, beyond the expectation. ;본 연구는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고, 교실 붕괴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적극적이고 진정한 의미의 수업 참여가 이루어지는 학습공동체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가정 하에, 학습공동체의 실현을 위한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를 측정하고,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와의 관계에 기초하여,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이 학생의 수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실시된 본 연구는 교사 지도자 양성 프로그램이나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개별 교실의 교사가 학생의 수업 참여를 높이고 학습공동체를 실현할 수 있도록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인식을 통해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 수준을 알아보고,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학교의 특성에 따른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의 차이를 분석한다. 둘째,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셋째,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들이 학생의 수업 참여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어떤 요인이 학생의 수업 참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다. 넷째, 변환적 지도력이 높은 교사와 변환적 지도력이 낮은 교사를 대상으로,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 분석하여 알아본다.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의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요인들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였다.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 하위요인의 선정 기준은 먼저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들 중에서 내용이 비슷하거나 공통성이 있는 요인들을 분류하여 이를 대표할 수 있는 요인을 선정함으로써, 학자들이 주장하는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을 대표할 수 있는 요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관련하여 학생이 인식할 수 있는 요인들을 선정하였다. 그리하여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으로 '비전제시', '전문적 능력', '전문적 덕목', '권한부여'의 네 가지 요인을 선정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수업 참여의 측정도구는 Finn의 학생 참여 모델을 참고로 하여, 한국의 교실 수업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수업의 기피 및 방해 수준, 적극적 참여 및 친구간의 협력 학습 수준, 학습공동체의식 경험의 모두 3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수업 참여 1수준은 학생들의 수업 기피 및 방해 행위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수업 참여 2수준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친구들과의 협력 학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공동체 의식을 경험하는 수업 참여 3수준은 정의적인 요소들을 다루고 있으며, 수업에 대한 내재적 만족, 주인의식, 우리의식 등이 나타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중·고등학교 교실에서 수업을 하는 교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학교급, 학교소재지, 학교설립주체에 따른 3단계 유층화 집략표집 방법을 통해 22명의 교사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각 교사들로부터 수업을 받고 있는 학생 총 2,04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1,84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연구 문제에 따라 요인분석, 기술통계, t검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의 정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개인적 특성(성, 직위, 경력)과 학교의 특성(학교급, 학교설립주체)에 따른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간의 상관관계는 r=.52로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과 학생의 수업 참여의 각 수준들과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을 독립변수로 하여 수업 참여의 각 수준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은 학생의 수업 참여의 모든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학습공동체 의식의 경험과 관련이 되는 수업 참여 3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이 학생의 수업 참여 각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의 전문적 능력과 전문적 덕목은 수업 참여의 모든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비전제시와 권한부여는 수업의 기피행위나 방해행위가 일어나지 않는 것과 관련되는 참여 1수준을 제외한 수업 참여 2수준과 3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인 22명의 교사 중,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각각 상 하위 25%에 해당하는 교사를 선정하여 변환적 지도력이 높은 교사(평균 3.50이상인 교사 7명)와 변환적 지도력이 낮은 교사(평균 3.00미만인 교사 6명)를 비교하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변환적 지도력이 높은 교사의 경우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적 덕목, 비전제시, 전문적 능력의 순으로 제시된 반면에, 변환적 지도력이 낮은 교사의 경우 전문적 능력, 비전제시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도력이 높은 교사는 지도력이 낮은 교사보다 수업에서 학생을 배려하는 전문적 덕목을 잘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의 정적 상관관계는 교사가 변환적 지도력을 발휘하면 할수록 학생의 수업 참여를 가져오는 학습공동체를 실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제까지 학교에서 교장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던 변환적 지도력이 교장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지도력 전략임을 시사한다. 이는 곧 학습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이 적용될 수 있다는 이론적인 근거가 된다. 둘째, 교사의 특성과 학교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검증한 결과, 특히 주목할만한 사항은 교사의 성별에 따른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 중 전문적 덕목의 차이 검증결과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학생을 배려하는 전문적 덕목은 여성에게 더 잘 어울리는 지도력으로 설명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여자교사보다 남자교사가 학생을 배려하는 전문적 덕목을 더 많이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반드시 여성이 전문적 덕목을 높게 발휘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 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을 배려하는 전문적 덕목은 여성만의 특성이 아닌 누구에게나 개발 가능한 지도력의 요인임이 밝혀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 중의 하나인 학생을 배려하는 전문적 덕목은 교사 지도자 양성에 있어 누구에게나 개발 가능한 지도자의 행위로 고려해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주목할만한 사항은 교사의 경력별에 따른 연구결과로, 5∼10년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가장 높은 변환적 지도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경력이 5∼10년인 경우는 경력 5년 미만의 적응단계를 거쳐 가장 지도력이 높은 시기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경력 11∼20년의 교사는 교직생활의 안정기로 역시 높은 지도력을 발휘하지만 경력 5년∼10년의 교사에 비해 지도력의 평균은 떨어진다. 그리고 경력 21년 이상의 교사는 점차 지도력이 감소하여 경력 5년 미만의 교직 초임시절과 같은 수준으로 지도력의 평균에 있어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 결과는 교사가 교직에 임하는 시간, 교직을 통한 경험, 교직에 대한 반성 등 교사의 경력이 교사의 지도력에 차이를 가져온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일정한 경력이 지나면 오히려 지도력이 감소한다는 것은 교직에 대한 재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암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변환적 지도자로서 교사의 지도력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부단한 노력에 의해 만들어지고 개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 중 전문적 덕목은 학생의 수업 참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환적 지도력의 요인을 지도력이 높은 교사와 낮은 교사를 비교하여 살펴 본 결과, 지도력이 높은 교사는 지도력이 낮은 교사보다 학생을 배려하는 전문적 덕목을 잘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문적 덕목은 이 두 집단의 교사를 구별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가 학원과 차별화되어야 하는 근거를 제시해 준다. 학교는 학생의 시험 성적의 향상만을 강조하는 학원과 달리, 학생을 이해하고 따뜻하게 보살펴 주는 곳이어야 한다. 학생에 대한 배려는 교사의 전문적 수업 능력과 더불어 학교현장에서 수업을 하는 변환적 지도자인 교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종합적으로 볼 때,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발휘는 학생들을 적어도 교실 붕괴의 상태에 방치해 두지 않으며,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친구간에 협력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수업에서 공동체 의식을 경험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가져오는 학습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이 발휘되어야 한다. 그러나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은 일순간의 처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학생들의 학교와 학습에 대한 의미의 공유를 통해 학생들의 의식을 변화시킴으로써 학생 스스로가 수업의 주인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서서히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에 대한 후속 연구에서는 학생의 수업 참여와 관련하여 학교 문화, 교장의 지도력, 학생의 학업 성취도, 학생의 학업에 대한 정체성, 가정의 경제적 배경, 가족의 교육 문화, 학교 친구와의 상호 작용 등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를 참여관찰이나 심층 면접 등의 방법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