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어머니의 養育次元의 韓國乳兒의 낯가림, 隔離不安, 및 對物愛着 發達에 미치는 영향에 關한 硏究

Title
어머니의 養育次元의 韓國乳兒의 낯가림, 隔離不安, 및 對物愛着 發達에 미치는 영향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EFFECT OF PARENTAL CONTACT AND AFFECTIVE INVESTMENT ON INFANT'S STRANGER ANXIETY, SEPARATION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Authors
朴恩淑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어머니양육차원한국유아낯가림격리불안대물애착발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硏究는 어머니의 아이養育에서 피부(body contact) 程度와 귀여워해 주고 칭찬해 준(investment) 程度가 차이있는 4개 集團의 12~13개월된 乳兒들의 낯가림(Stranger anxiety), 隔離不安(Separation anxiety), 및 對物愛着(object attachment) 發達樣相을 이들 集團間에 比較하여 이 두 養育次元 各各의 效果를 알아 보려했다. 그리고 낯가림, 隔離不安, 및 對物愛着의 發生에 영향을 주는 다른 要因들을 밝히려 했다. 이 調査는 먼저 185명의 12~13개월된 乳兒의 어머니를 面接하여 간단한 質問紙로 對象乳兒를 生後 7개월이 될 때까지 養育하는 동안 보인 피부接觸과 귀여워해 주고 칭찬해 준 程度에 따라 이들을 4개 集團(contact high-investment high, contact high-investment low, contact low0investment high, conact low-investment low)으로 나누었다. 이 각 集團에서 가장 그 集團의 養育形態를 잘 나타내는 事例들만 16명씩 선발하여 다시 새로운 面接表를 가지고 硏究者가 직접 해당가족을 訪問, 對象아이의 어머니를 面接하였다. 集團의 64명 이외에 21명의 어머니를 더 面接하여 質問紙를 완성케 했다. 이 質問紙 調査의 對象이 된 어머니 總數는 85명이었다. 面接調査의 對象이 된 乳兒는 男兒가 36명, 女兒가 49명이었고 나이는 모두 12~13개월이었다. 本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Ⅰ. 낯가림, 隔離不安, 및 對物愛着의 經過趨勢 A. 全體의 82.4%의 아이가 낯가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낯가림은 3개월에서 9개월 사이에 始作되었는데 평균 시작연령은 5.9개월이었다. 어머니의 評價에서 가장 낯가림이 심한 연령은 7~8개월(평균 8.0개월)로 밝혀졌다. 어머니들은 낯가림이 7개월부터 사라지기 시작하는 것으로 보고했다. B. 隔離不安은 91.8%의 아이가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4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시작되었으며 隔離不安 있는 아이에서는 평균 9개월에 시작했다. 어머니의 보고에 의하면 隔離不安은 12.1개월에 시작했다. 어머니의 보고에 의하면 隔離不安은 12.1개월에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隔離不安은 12~13개월의 연령을 가진 대상아이들에서 隔離不安이 없어진 경우는 아직 한 事例도 없었다. C. 對象愛着은 對象아이에서 23.5%의 發生率을 보였고 4개월에서 13개월사이에 시작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對象愛着이 있는 乳兒의 60%가 10~13개월(평균 9.4개월) 사이에 對象愛着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어머니의 보고에 의하면 對象愛着은 現在(12~13개월)에 '가장 심하며' 對象愛着이 있는 아이에서 그것이 사라진 事例는 아직 없었다. Ⅱ. 낯가림, 隔離不安, 및 對象愛着 發生現象의 集團間 差異 A. 어머니들의 보고에 따른 낯가림 發生率은 4개 集團 全體에서 82.8%였다. 4개 比較集團간에는 낯가림 發生率, 및 낯가림 强度에서 意義있는 차이가 없었다. B. 어머니들의 보고에 따르면 比較集團乳兒의 93.8%가 隔離不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 比較集團間에는 隔離不安 發生率에서 有意的인 差異가 없었다. 어머니가 보고한 隔離不安의 强度에서는 高愛情集團乳兒가 低愛情集團乳兒보다 더 심한 隔離不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高接觸과 低接觸集團間에는 有意義한 差異가 없었다. C. 어머니들의 보고에 따르면 比較集團乳兒들의 對物愛着 發生率은 전체적으로 21.9%로 나타났다. 低接觸集團은 高接觸集團보다 더 높은 對象愛着 發生率(34.4% 對 9.4%)을 보였으나 高愛情集團과 低愛情集團間에는 有意한 差異가 없었다. 어머니가 보고한 對物愛着强度에서도 低接觸集團의 乳兒가 高接觸集團의 乳兒보다 더 심하게 愛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 낯가림, 隔離不安, 및 對物愛着 發生에 영향을 주는 其他 要因 A. 낯가림 發生의 相關要因(Correlates) 낯가림 發生率은 아이의 性, 主養育者의 種類, 그리고 乳兒의 外出經驗 程度와 相關을 보였다. 女兒가 男兒보다, 生後 7개월까지 어머니 아닌 사람이 主養育者였던 아이들이 어머니를 主養育者로 두었던 아이보다, 그리고 外出經驗이 적었던 아이들이 많았던 아이보다 높은 낯가림 發生率을 보였다. B. 隔離不安 發生의 相關要因 隔離不安 발생율은 어머니가 아이를 많이 안아준 경우가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隔離不安 發生率이 높았다. 그밖에 밝혀진 隔離不安을 하는 아이의 特徵을 보면 7개월까지 柔純하지 않았고 '요즘' 잠 잘 때 어머니 등에 엎혀 자거나 곁에서 자고 또는 안겨서 잔다. 隔離不安 强度와 관련시켜 보면 獨立的이 아닌 아이가, 그리고 現在의 性格에서 신경이 銳敏한 아이가 보다 심하게 隔離不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C. 對物愛着 發生의 相關要因 乳兒의 對物愛着 發生은 우유만을 먹은 아이일수록, 그리고 모유먹은 개월수가 적을수록 어머니와 함께 자지 못했던 아이일수록, 혼자 잠자리에 들었던 아이일수록, 對物愛着을 보이는 傾向이 있었다. D. 가짜 젖꼬지(Pacifier) - 담요등에 대한 것이 아닌 - 愛着은 담요와 같은 對象에 대한 愛着인 진정한 愛着과 마찬가지로 우유만 먹은 아이일수록, 그리고 모유먹은 개월수가 적은 아이일수록 높은 發生率을 보였으나 다른 養育要因과는 相關關係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짜 젖꼭지에 대한 愛着은 담요, 베개, 이불 등 부드러운 다른 物件에 대한 愛着과는 區別된다. Ⅳ. 實驗場面에서의 乳兒와 엄마가 보인 反應의 比較集團間 差異 A. 實驗場面에서 어머니와 離別할 때 乳兒가 보인 不安의 程度 어머니가 방을 나갈때에 보인 乳兒의 不安에서는 比較集團間에 有意한 差異가 없었다. 어머니가 방을 나갈 때 일시적으로 아이를 안아주는 行動을 어머니가 나갈때의 不安을 덜어주는 경향이 있었으나 統計的으로 有意하지 못했다. B. 實驗場面에서 어머니가 다시 방안으로 들어올 때 보인 乳兒의 반가와하는 程度 高接觸集團의 乳兒가 低接觸集團의 乳兒보다, 高愛情集團의 乳兒가 低愛情集團의 乳兒보다 어머니가 다시 돌아왔을때 더 어머니를 반겼다. 어머니가 나갈대 일시적으로 乳兒를 안아주는 行動은 되돌아올 때 乳兒가 어머니를 반기게 하는 效果가 없었다. C. 實驗場面에서 어머니가 다시 방으로 들어올 때 아이에게 보이는 어머니의 反應 다시 들어올 때 어머니가 보인 反應을 보면 高愛情集團의 어머니가 低愛情集團의 어머니보다 아이에게 積極的으로 反應했다. 身體接觸 高低集團間에는 어머니의 反應에 差異가 없었다. Ⅴ. 實驗場面에서 乳兒와 어머니가 보인 反應과 어머니가 보고한 乳兒의 낯가림, 隔離不安, 및 對物愛着 强度들간의 相關關係 A. 實驗場面에서 어머니가 나갈 때 보인 乳兒의 不安定圖는 어머니가 보고한 乳兒의 낯가림의 强度(r=.24, p<.05)와 隔離不安의 强度(r=.36, p<.005)와 有意한 正相關을 보였다. 그러나 對物愛着과는 有意한 相關關係를 보이지 않았다. B. 實驗場面에서 어머니 出現時에 보인 乳兒의 반가와 하는 强度는 어머니가 보고한 乳兒의 낯가림 强度, 및 對物愛着 强度와는 相關이 없었으나 격리불안 經驗强度와는 매우 意義있는 正相關(r=.41, p<.0001)이 있었다. C. 實驗場面에서 어머니가 들어올 당시와 들어온 후 보인 아이에 대한 積極性은 아이의 낯가림 强度 및 對物愛着 强度와는 相關이 없었으나 어머니가 보고한 아이의 隔離不安 强度와는 正相關을 보이는 傾向이었다. 그러나 이는 統計的으로 意義있는 相關은 아니었다. Ⅵ. 낯가림, 隔離不安, 및 對物愛着 三者間 關係에 대한 結果 A. 三者間 經驗有無에서는 아무런 相關을 보이지 않았으나 낯가림과 隔離不安은 强度의 分布와 始作個月의 分布에서 正相關을 보였다. 그러나 對物愛着 始作個月과 隔離不安 始作個月은 逆相關을 보였다. 낯가림 始作個月과 對物愛着 始作個月도 逆相關을 보였으나 이는 統計的으로 有意한 相關은 아니었다.;This study aims to find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nurture by comparing the development of strange anxiety, separation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of the 4 different groups which are characterized by different the extents of body contact and investment. And this study is also intended to find to other factors which influence the incidence of stranger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The subjects of this interview(study) are consisted of 36 male infants and 49 female infants from 12 months to 13 months ol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Ⅰ. The trend(of development) of stranger anxiety, separation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A. 82.4% of the infants had stranger anxiety. The stranger anxiety appeared from 3 months to 9 months old. According to the mothers' reports, 7 to 8 months old infants had the strongest stranger anxiety. Mothers reported that the stranger anxiety began to disappear from 7 months after the birth. B. 91.4% of the infants showed separation anxiety. This separation anxiety began to appear from 4 to 12 months after the birth. Mothers reported that the incidence rate of separation anxiety was the highest 12.1 months. There was no case in which the separation anxiety disappeared the 12 to 13 months old infants. C. The incidence rate of object attachment was 23.5%, and it appeared form 4 to 13 months. 60% of the infants began to show object attachment from 10 to 13 months after birth. Mother reported that incidence rate of object attachment were highest in 12-13 months old infants and there was no infant who had not object attachment. Ⅱ. The groups difference of development of stranger anxiety, separation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A. According to mother's reports, the incidence rate of stranger anxiety was 82.8% of the 4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incidence rate of stranger anxiety and the extent of experience among 4 groups. B. According to mothers' reports, 93.8% of the infants showed separation anxiety.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incidence rate of separation anxiety among 4 groups. Among to the mothers' reports, infants of high-investment group showed more separation anxiety than those of low-investment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xtent of separation anxiety between high and low body contact groups. C. According to the mothers' reports, the incidence rate of object attachment was 21.9%. Low body contact group showed higher incidence rate of object attachment than the high body contact group(34.4% VS. 9.4%).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incidence rate of object attachment between high and low investment group. Ⅲ. Other factors which influences stranger anxiety, separation anxie쇼, and object attachment. A. Correlates to the incidences of stranger anxiety. The incidence rate of stranger anxiety was correlated to the sex, the family composition, the kind of main nurser, and the experience of going o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birth order and incidence of stranger anxiety. B. Correlates to the incidence of separation anxiety. The incidence rate of separation anxiety was higher when mothers embraced the infants than when they didn't. The infants who showed separation anxiety were characterized by being wild until 7 months after birth, sleeping on their mothers' backs, besides their mother, in their mother's arm. The more dependent and nurvous infants are the more they had separation anxiety. C. Correlates to the incidence of object attachment. There was a tendency towards object attachment in the infants who were more bottle-fed, less breast-fed, and slept alone. 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acifier attachment(not blanket attachment) and other factors of nurture except the type of feeding and breast feeding period. Therefore pacifier attachment differs form other soft object attachment(real object attachment). Ⅳ. The group difference of the responses of mothers and infants in experimental situation. A. The extent of anxiety of infants when they parted with their mothers. The infants embracing of mother seemed to relieve the anxiety of the infants when mothers get out of the room. But i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 The extent of delightfulness of infants when mothers entered the room. The infants of high investment group were more delightful than those of low investment group. C. The response of mothers' to infants when mothers entered the room. The mothers of high investment group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those of low investment group. 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the mother's attitude in the response of mother to infant's acts when mothers entered the room. Ⅴ.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onses of mothers and infants and the extent of infants' stranger anxiety, separation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which the mothers reported. A. The extent of anxiety, which infants showed then they parted with their mothers in experimental situ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xtent of stranger anxiety(r=.24 p<.05) that of separation anxiety(r=.36 p<.005) of infants, which mothers reported. But it had not correlation with object attachment. B. The extent of delightfulness, which infants showed when their mothers appeared, had not correlation with the extent of stranger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of infants, which mothers reported. But it had ver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xtent of experience of the separation anxiety. C. The positive attitudes of mothers towards infants, which they(mothers) showed then and after they entered the room, had not correlation with the extent of stranger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of infants. There seemed to b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ve attitude of mother and the extent of separation anxiety which mothers reported. But it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warmth of mothers which they showed when they met infants, and that of stranger anxiety, separation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which mothers reported. Ⅵ. The results of the relation among stranger anxiety, separation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A. There was no correlation among stranger anxiety, separation anxiety, and object anxiety.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strength) of stranger anxiety and that of separation anxiety. There was also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eginning month of stranger anxiety and that of separation anxiety. But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eginning month of object attachment and that of separation anx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