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어머니의 취업에 따른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Title
어머니의 취업에 따른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Maternal Behavior Related to maternal employment variables
Authors
안재연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어머니양육행동아동취업모사회적 능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behavior,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maternal employment. The subjects were 245 4th-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working-mother. Park, and Lee(1990)'s KMBI and Pease et al.(1979)'s ISCS were used to measure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respectivel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ere found according to mother's satisfaction with job and preference to job, the degree of father's support, birth order, income level, and father's educational level. 2.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were found according to mother's preference to job and the motivation of employment, the degree of father's practical support, and parental educational level. 3. Father's age, the degree of father's practical support and maternal 'active involvement'factor influenced directly on 'task orientation' of the social competence. Mother's satisfaction with job and preference to job, child sex and maternal 'affect'factor influenced directly on 'leadership' of the social competence. Income level and maternal 'affect'factor influenced directly on 'affectionate to parent' of the social competence. Only maternal 'authoritarian control'fator influenced directly on 'affectionate' of the social competence. Mother's age, the number of years a mother had been employed influenced indirectly on social competence.;본 논문은 어머니의 취업과 관련된 배경변인들을 중심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 발달과의 관계를 인과모형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머니가 직업을 가지고 있는 국민학교 4-6학년 아동과 그으 어머니로 총 245쌍 이었다. 측정도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박 성연, 이 숙(1990)의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를 자녀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Pease등(1979)의 ISCS(Iowa Social Competence Scale)를 번역,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T-검증,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하였으며, 신로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취업 배경변인으로서 어머니의 직업만족도, 직업선호도, 아버지의 지지정도가 높을경우, 아동의 사회적 능력 중 '과제 지향적' 이나 '부모에 대한 애정'이 높았고, '방해성'이 낮았다. 2.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변인으로서 출생순위가 영향을 미쳐, 둘째이하일 경우 '과제 지향성'과 '부모에 대한 애정'이 높았고, 가정의 소득수준이나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 경우 아동의 '지도력'과 '부모에 대한 애정'이 높았다. 3.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 배경변인으로서 어머니의 직업선호도가 높을 경우 '애정적'인 양육행동을 낮게 지작하였고, 취업동기가 경제적 이유인 경우 및 아버지의 실천적인 지지정도가 높을 경우 '적극적인 참여' 요인과 '성취'요인의 양육행동을 많이 지각하였다. 4. 아동이 지작하는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변인으로서 부모의 학력이 전문대 이상일 경우, '애정'요인과 '적극적인 참여'요인의 양육행동을 많이 지각하였다. 5. 아버지의 연력이 많고, 실천적 지지정도가 높으며, 어머니가 '적극적인 참여'요인의 양육행동을 많이 보인 경우, 아동의 '과제지향성'이 높았으며, 직업 만족도, 직업 선호도, 어머니의 학력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업 만족도와 직업 선호도가 높고, 여아일 경우, 그리고 '애정'요인의 양육행동을 많이 보인 경우에는 '지도력'이 높았으며, 직업 선호도와 소득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정'은 소득 수준이 높을 수록, '애정'요인의 양육행동을 많이 지각할 수록 높았으며, 직업 선호도, 아동의 성, 소득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동의 '불 안정성'에는 '권위주의적 통제'요인의 양육행동만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이 요인의 양육행동을 많이 지각할 수록 불 안정성이 높았으며 근속년수가 길수록 덜 권위주의적이어서 아동의 불 안정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취업 자체보다는 취업과 관련된 배경변인들이 어머니의 야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