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영향 요인

Title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영향 요인
Other Titles
Influential factors of husband and wife's household labor time : over the family life cycle
Authors
권혜연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남편부인가사노동시간가족생활주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남편과 부인의 절대적 가사노동시간과 상대적 가사노동시간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파악함으로써 부부의 가사노동분담을 증진시킬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가족생활주기 각 단계별로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을 조사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이는 가족생활주기를 통한 가족의 요구와 자원의 변화는 가족원의 활동결정에 영향을 주리라 사료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절대적 가사노동시간의 다소와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분담의 정도는 차이가 있으므로 가사노동시간을 절대적 시간과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율을 통한 상대적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연구에서는 262쌍의 서울과 그 주변 위성도시에 사는 부부의 응답자료를 아용하였다. 자료는 빈도, 백분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살펴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율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주심으로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대적 가사노동시간은 남편이 하루 1시간 37분, 부인이 하루 9 시간 30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이 남편보다 훨씬 많았다. 그리고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가사노동시간은 차이가 있었으며 남편과 부인, 모두 자녀가 취학전인 2단계에서 가장 많은 가사노동시간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부인의 경우 막내 미취학기 이후 점차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반면 남편은 초등교육기인 3단계에서 감소한 가사노동시간이 중고등교육기인 4단계에서 다시 증가하여 남편과 부인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율은 하루평균 약 14%였으며 가족생활주기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신혼기인 1단계에 가장 높고 초등교육기인 3단계에서 가장 낮았다. 셋째, 가족생활주기의 단계에 따라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에 차이가 있었다. 신혼기에서는 소득차, 교육수준차, 성역할태도, 남편의 시장노동시간과 조력자가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교육차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막내 미취학기에서는 소득차가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주는 변수였으며, 교육수준차가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였다. 초등교육기에서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어떠한 것도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 중고등교육기에서는 남편의 시장노동시간이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생활주기의 단계마다 상대적 가사노동시간인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차이가 있었다. 즉, 신혼기에서는 소득차가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율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초등교육기에서는 자녀수가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등교육기에서는 남편의 시장노동시간이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절대적 시간과 상대적 시간 모두에서 가사노동의 대부분이 부인에 의해서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들의 시장노동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남편들의 가사노동수행이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분담율에서도 증가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가족생활주기의 각 단계마다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 수행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남편들의 가사노동수행을 증가시키고 남편과 부인 사이의 평등한 가사노동분담을 위한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서 가족생활주기의 각 단계별로 고려되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가족은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요구와 자원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그에 따른 활동을 통해 적응해가고 있다. 따라서 가족원의 가사노동활동에서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가족생활주기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husband and wife's household labor time and the influential variables of husband and wife's household labor time over the family life cycle.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Are there differences in husband and wife's household labor time over the stage of family life cycle ? 2. Are there differences in husband's household labor contribution over the stage of family life cycle ? 3. how to change the influential variables of husband and wife's household labor time over the stage of family life cycle ? 4. how to change the influential variables of husband's household labor contribution over the stage of family life cycle ?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262 households. Mean was used to find the change of household labor time over the stage of family life cyc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change in influential variables over the stage of family life cyc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 1. Through the Family Life Cycle, the household labor time change. And the trend of change was different in wife's time and husband's. Wife's household labor time was the highest in stage 2-couples whose youngest child is before a primary school-and reduced by steps. Husband's household labor time was the highest in stage 2, but reduced time in stage 3-couple whose youngest child is in a primary school-increased again in stage 4-couple whose youngest child is in a high school or in a junior high school.. 2. Through the Family Life Cycle, the husband's contribution in household labor have a few changes and was the highest in stage 1-married couples with no children-(l7%), and the lowest in stage 3(11%). 3. When the Family Life Cycle changed, influential variables of household labor time changed. In stage 1, wage differentials, difference of education, wife' s sex-role attitude, husband's market labor time and helper had an effect on wife's household labor time. And difference of education had an effect on husband's household labor time. In stage 2, wage differentials had an effect on wife's household labor time and difference of education had an effect on husband's .household labor time. In stage 3, no variables had an effect on household labor time. In stage 4, husband's market labor time had an effect on husband's household labor time. 4. In stage 1, variables which had an effect on husband's contribution in household labor was wage differentials. In stage 2, any variables can not had an effect on husband's contribution in household labor. In stage 3, the number of children had an effect on husband's contribution in household labor. In stage 4, husband's market labor time had an effect on husband's contribution in household lab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ttributed to develop the efficient program which is to increase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Because our data was cross-sectional, we can not readily assess whether our results characterize couples as they progress through the family life cycle. So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