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8 Download: 0

부부간 가사노동 분담과 공평성 인지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부간 가사노동 분담과 공평성 인지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labor of married couples and the sense of flarness on marital satisfaction
Authors
홍윤정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부부가사노동공평성인지도결혼만족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 분담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부부간 노동 분담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남편과 부인 각각의 가사노동 시간을 조사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부인의 가사노동 참여시간에 대한 남편의 참여시간 비율로 측정된 남편의 상대적 가사노동 참여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도 함께 살펴보았다.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에 대한 절대적 참여시간(Absolute Time)과 상대적 참여시간(Proportionate Time)을 동시에 조사한 것은 가사노동 시간 사용과 동시에 노동분담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부부간 노동 분담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는데 이때 가사 및 육아, 시장노동을 포함한 전체노동 분담에 대한 부부의 공평성 인지가 매개변수(Intermediate Variable)로써의 역할을 하는지의 여부도 함께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그 주변 위성도시에 사는 242쌍의 결혼한 부부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빈도, 백분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볼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의 배경변수, 부인의 배경변수 그리고 가정환경 변수는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남편의 배경변수, 부인의 배경변수 그리고 가정환경 변수는 부인에 대한 남편의 상대적 가사노동 참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남편의 상대적 가사노동 참여도와 전체노동 분담에 대한 부부의 공평성 인지는 결혼만족도와 어떠한 인과적 관계를 나타내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의 배경변수, 부인의 배경변수 그리고 가정환경 변수에 따라 부인과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가 밝혀졌다. 부인의 경우, 부인의 가사노동 시간에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는 주부의 취업 유무였으며, 다음이 미취학자녀의 존재 여부, 가계 총소득, 부인의 성역할 태도 그리고 가사조력자의 가사노동 시간이었다. 남편의 경우에는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에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가 남편의 시장노동 시간이었고, 다음이 가계 총소득, 남편의 출퇴근시간 융통성이었다. 둘째, 남편의 상대적 가사노동 참여도에 대해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는 남편의 출퇴근시간 융통성이었으며, 다음이 남편의 시장노동 시간, 남편의 성역할 태도, 가사조력자의 가사노동 시간의 순이었다. 셋째, 남편의 상대적 가사노동 참여도와 전체노동 분담에 대한 부부의 공평성 인지 그리고 결혼만족도와의 인과관계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편의 상대적 가사노동 참여도는 부인과 남편의 결혼만족도 그리고 부인의 공평성 인지에 직접효과를 가졌다. 남편과 부인의 공평성 인지는 각각의 결혼만족도에 모두 직접효과를 가졌다. 남편의 상대적 가사노동 참여도가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인 공평성 인지를 통한 간접효과는 부인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남편의 경우는 유의미하지않게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에 두 변수가 미치는 직접효과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부인과 남편의 경우 모두, 남편의 상대적 가사노동 참여도 보다 전체노동 분담에 대한 공평성 인지가 결혼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시간은 그 절대적 시간의 비교 뿐 아니라 부인에 대한 상대적 참여도의 비교에서도 매우 적은 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 여성들의 시장노동 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남편들의 가사노동 수행이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가사 분담도에서도 남편의 참여가 더 증가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 시간을 결정하는 유의한 영향 요인은 무엇보다도 자신의 취업과 관련된 사항들 이었고, 특히 남편의 상대적 가사노동 첨여도는 부인의 취업여부와 상관 없이 남편 자신의 시장노동 시간과 출퇴근시간의 융통성 여부에 따라 크게 좌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 여성의 취업률이 급증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취업주부의 이중노동 부담’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의 노력 뿐 아니라 국가적, 사회적 그리고 기업의 복지적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수적 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셋째, 남편의 상대적 가사노동 참여는 부인 뿐 아니라 남편의 복지감에도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부부간 가사노동 분담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러한 노동분담 상황이 초래하는 결과, 특히 부부의 결혼생활에서의 만족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부부가 가정생활을 잘 영위해 나가도록 하는데 있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 임을 시사해주고 있다.;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labor between married couples and determining variables of the distribu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t of husband's participation in household labor.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labor and sense of fairness of the distribution as an intermediate variable on marital satisfaction. The major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ing : 1. What factors influnce the extent of husband's and wife's hours of household labor ? 2. what factors determine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household labor of husbands relative to their wives ? 3. How- are the causal relations among the husband's participation of household labor, wife's and husband's sense of fair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hose 242 couples in Seoul. The data was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 1. In wife's hours of household labor, the influencial variables were wife's employment status, presence of younger children, total income, wife's sex role attitude, and hours of household labor performed by housework assist. In husband's hours of household labor, the influencial variable were husband's hours of market work, flexibility of husband's work schedule, and husband's sex role attitude. 2. In husband's participation of household labor, the influencial variables were flexibility of husband's work schedule, husband's hours of market work. husband's sex role attitude. and hours of household labor performed by housework assist. 3. Husband's participation in household labor had direct effects on the wife's an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arid wife's sense of fairness. The sense of fairness had a direc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each other.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wife's sense of fairness as an intermediate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help to develop the efficient program which is to negotiate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labor more reasonably and fairly. It also shows that couples' distribution of household labor impacts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as well as wife's. Thus, the concept of couples' distribution of household labor must be studied as an important issue in marital satisf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