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5 Download: 0

만성 신부전 환자의 영양관리 상태

Title
만성 신부전 환자의 영양관리 상태
Other Titles
(A) Study on nutritional management conditions of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Authors
김정희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Keywords
만성신부전영양관리환자식품영양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화영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식습관이 만성신부전 이환율에 미치는 영향과 만성신부전환자의 영양관리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투석하기 이전의 환자와 투석을 받는 만성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섭취실태, 혈액성분 및 식이처방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의 종합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었던 만성신부전환자 58명으로 1991년 3월부터 1992년 3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부전환자의 키와 체중은 정상범위에 속해 있었으며 발병후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혈액투석환자중에서 이러한 감소는 가장 높았다. 2. 식이처방에 대한 태도는 투석전의 환자에 비해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가더 실행에 옮기려고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 자신이 식이의 효과도 더 있다고 생각하였다. 신장질환식이를 실행에 옮길 때 맛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었으며 투석환자중에서는 가족의 협력문제와 내용의 이해부족도 문제로 나타났다. 3. 신환자군의 열량과 단백질 섭취는 필요량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은 양 뿐만 아니라 질에서도 문제가 되었으며 신환자군내의 신부전환자, 혈액투석환자, 복막투석환자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신환자군의 1일 Sodium 섭취량은1258.4㎎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Sodium 분석치에 대한 정확한 자료나 조리시 사용되는 소금, 간장의 양이 정확하지 않아 신빙성 있는 결과로 보기 어러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환자들이 짠 음식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고 사료된다. 발병전 환자들의 우유섭취와 고기. 생선, 콩제품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계란, 과일, 채소, 곡류, 유지류의 섭취빈도는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반면 서류의섭취빈도는 신환자군이 높았다. 대체로 환자들은 질병치료와 식품과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단백질 식품을 발병후 감소시킨 환자는 20%에 불과했으며 20% 환자는 오히려 증가시키고 있었다. 또한 충분한 열량을 섭취하려는 변화도 보이지 않았다. 발병전 환자들의 매운맛, 짠맛에 대한 기호는 높았으나 발병후 짠맛을 내는 식품의 사용이 70%정도 감소하였다. 4. 신환자의 혈액내 Hb와 Hct이 낮은 빈혈상태임을 보였으며 혈청 total protein 과 albumin은 정상범위였다. 신부전환자는 혈청 cholesterol 326.1±248.2 ㎎/㎗으로 혈액투석환자의 cholesterol 173±58.8㎎/㎗보다는 높았고, TG 역시 신부전환자는 233.4±218.5 ㎎/㎗ 혈액투석환자는 118.5±21.1㎎/㎗으로서 신부전환자가 혈액투석환자보다 높은 경향을 보여, 투석치료에 의해 혈청지질수준을 정상화 할 수 있었다. Na, K, P 등의 축적은 없었고 크레아티닌, BUN은 정상범위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이완기혈압이 88.8±112.3㎜Hg 수축기혈압이 142.5±21.2㎜Hg였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etary habits related to the cause of renal failure, an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nutritional management of the renal patiens. Personal interview was carried out with 20 chronic renal failure pateints, 30 hemodialysis patients, and 8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The resuts are as follows: 1. The height, weight, and BMI of the patients fell into the normal mange, however, there was 6.7% weight reduction since the onset of the disease. 2. Food frequency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dietary habit and fax1 preference before the onset of the disease. The dietary habit of the renal pati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rthopaedics surgery patients used as control in this study. However, renal patient had a tendency to prefer salty and hot foods. 3. The current status of the nutrients intake of the subjects measured by 24-hr recall method was not satisfactory. Specially energy and protein intakes did not meet the requirement of each patient. Na intakes however, are at low level. 4. As shown for the question about their thoughts on each food items and disease, the patients did not understand the effect of nutrient on the progress of the disease. Twenty percent of the patient tried to increase protein f d s since onset of the disease and there was little efforts to include calorie rich foods such as starches and fats. 5. Most of the patients did not try to follow the diet prescription. It seemed that the patients did not get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renal diet. The taste of the diet was the biggest problem when they try to practice the diet. 6. For blood composition, their Hb and Hct values were lower. They had normal serum protein and albumin levels and somewhat higher levels of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especially in CRF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