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자녀가 지각한 부모권력과 그에 따른 순종도와 수용도

Title
자녀가 지각한 부모권력과 그에 따른 순종도와 수용도
Other Titles
Adolescent perceptions of parental power and their compliance and acceptance
Authors
오재완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자녀부모권력순종도수용도가정관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권력을 알아보고, 그들의 부모에 대한 반응을 행동적인 순종과 정서적인 수용의 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11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고등학생 431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부모권력에 대한 청소년의 지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deTurk와 Miller(1983)의 Parental Persuasive Message Strategies와 Smith(1983)의 Command in Parental Influence Technique을 참고로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t검증과 F검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모권력에 대한 지각양식은 몇몇 권력유형에서 자녀의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학업 상황의 경우는 보상권력과 전문적 권력에 대해서, 이성교제 상황의 경우는 전문적 권력의 한 영역에 대해서만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어머니 우세로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업 상황, 이성교제 상황 모두에서 부모권력에 대한 지각양식의 하위 영역인 보상권력, 강제권력, 참조권력, 전문적 권력, 합법적 권력에 대해 사회계층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3. 순종도와 수용도는 학업 상황의 경우에만 성별차가 나타났다. 학업 상황에서는 부모가 보상권력, 전문적 권력, 합법적 권력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지될 경우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더욱 순종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강제권력, 전문적 권력, 합법적 권력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지될 경우 역시 남학생이 더욱 수용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4. 학업 상황, 이성교제 상황 모두에서 정서적 수용에 비해 행동적인 순종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rental power through adolescent perception and adolescent reaction to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1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randomly from 11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dolescent perception of parental power and adolescent reactions was appreciated with questionnaire based on several studi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t-test, F-test,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s α for reliability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adolescent perception of parental pow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dolescents' sex. Girls, more than boys, perceived mother as having more power about reward·expert power in educational area, abut expert power in heterosexual area. 2. In adolescent perception of parental power, their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al clas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dolescents' sex in only educational area in compliance and acceptance. Boys, more than girls, compied with parental reward·expert·legitimate power and accepted parental corecieve·expert·legitimate power. 4. Adolescents' compliance compared with acceptance was high in educational and heterosexual a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