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3 Download: 0

자아개념 증진활동 중재가 정신지체아동의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아개념 증진활동 중재가 정신지체아동의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연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자아개념은 수세기 동안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흥미를 끌어온 과제이다. 자기관리(Self- management), 자기통제(Self-control), 자기강화(Self-reward) 등 자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특수교육에 있어서도 자아에 대한 연구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들은 정신지체아동의 자아 자체에 대해 직접 접근하는 연구들은 별로 찾아볼 수 없었다. 자기에 대한 이해, 자기에 대한 믿음과 태도, 타인들에게 비춰진 자신의 모습 등에 대한 여러 가지 사고, 태도 견해들을 총망라한 의미의 자아개념은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개인은 주위환경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개방된 태도로 행동하게 되고 부정적이고 회의적인 자아개념을 가진 개인은 자신에 대하여 신뢰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을 쓸모 없고 무가치하다고 생각하여 비현실적인 방법으로 행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신지체 아동들이 자아를 인식하고 긍정적인 자아를 가질 때 장애를 극복하는 힘이 되며 원만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개념 증진 활동 중재가 경도정신지체 아동들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들은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그 결과 자아 개념의 향상과 사회성의 향상을 보고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던 자아개념증진 활동을 특수학급에 소속되어있는 경도정신지체 아동들에게 실시하여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내 9개 공립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46명의 경도정신지체 아동을 선정하였다. 각각 23명씩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4주간 15회차 활동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Bessell과 Ball(1972)의 인간발달프로그램(Human Development Program)을 김영애(1985)가 번역한 것을 활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9개 초등학교 11명의 특수교사는 본 활동을 자원했으며, 현장 경력2년에서 8년의 특수교사들이다. 교사들은 실험에 앞서 3회에 걸친 자아개념증진활동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여 실험자간 동질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검사도구는 Bently와 Yeatts(1974)가 제작한 "I Feel …Me Feel"이란 자아개념 검사로서 김재봉(1986)이 번안하여 국내연구에 적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친사회적 행동 검사도구는 Weir와 Duveen(198l)의 교사용 친사회적 행동검사(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를 이혜주(1996)가 우리 문화에 맞게 번역, 수정한 검사로 교사의 관찰에 의해 답하는 설문형식의 검사를 사용했다. 검사 결과 처리는 사전검사의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SPSS Package에 의한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아개념증진 활동 중재는 실험에 참여한 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자아개념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므로써 본 활동이 장애아동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증명했다. 또한 자아개념의 하위요소인 일반적 충족감, 또래관계, 학업적, 신체적 자아개념에 있어 유의한 차를 보였다. 그러나 자아개념의 하위 요소중의 하나인 교사-학교에 대한 자아개념에는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2. 자아개념 증진 활동 중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친사회적 행동에 있어서 유의한 차를 보였다. 친사회적 행동을 돕기행동, 나누어주기 행동, 협력하기 행동, 위안하기라는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요약하면,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정신지체 아동의 자아개념 또한 일반아동과 마찬가지로 적극적인 중재활동을 통해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자아개념 증진 활동은 자신에 대한 존중감, 자신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타인의 감정과 행동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활동으로 타인에 대해 보다 적절히 이해함으로써 정신지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장애아동의 자아개념이 적극적인 중재활동을 통해 변화, 발전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자아개념증진 활동들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또 이러한 활동들은 장애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므로 통합이 대두되는 이때 필요한 활동으로 사려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whether the intervention of self-concept promotion activity effected to mental retarded childrens self 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 Pre-studies worked it with non disable children and as a result of the study, reported the improvement of self 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plan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motion activity to self 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 by using the self concept promotion activity which had been used for general children for mild mental retarded children who belonged to special class. For this study, 46 mild mental retarded children at special class in 9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which are consist of 23 children in each,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e activity 15 times for 4 weeks. I made use of Human development program by Bessell and Ball(1972) which were translated Kim Yungae(1985) for this study. 11 Teachers in the special class of the 9 elementary school volunteered for this activity. They were experienced special educators who had from 2 to 8 year field career. The teachers had taken 3 times of training time of self concept promotion activity before the experiment for keeping same quality among subjects. The test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a self concept test I feel… Me feel made by Bently and Yeatts which was adapted by Kim Jaebong(1981) and applied to domestic study. The test instrument for pro-social behavior was teacher s Prosocial Behaviour Questionnaire by Weir and Duveen(1981) which was translated and revised by Lee Haeju(1996) for our culture, and I used question form test which got response by teacher s observation. The test result was analysed with ANCOVA by SPSS package using the score of pre-study as co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s the intervention of self concept promotion activity mad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it was proved that this activity improved mental retarded children s self concept. Besides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self concept such as general adequacy, peer relations and academical, physical self concept. However in the self concept about teacher-school which was one of the subfactors of self concept we did not se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ject group and controlled group. 2. The intervention of self concept promotion ac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social behavior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As a result of sharing pro-social behavior with subfactors of helping behavior, sharing behavior, cooperating behavior and comforting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ief, through this study, we could find that mental retarded children s self concept also could improve as general children did with positive intervention activity. Adding that, self concept promotion activity increased mental retarded children s pro-social activity by not only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themselves, but also respecting others emotion and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mental retarded children s self concept could be changed and developed with positive intervention activity. Therefore, since this activity is able to improve disable children s social behaviour, I consider that long and continuous self concept promotion activity is necess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