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 담당교사의 배경 변인 및 담당 교육프로램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그리고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

Title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 담당교사의 배경 변인 및 담당 교육프로램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그리고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명자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사기, 직무에 대한 헌신도, 건강, 직무수행, 이직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교육의 성공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특수교사는 장애학생과 관련된 직무특성으로 인해 일반교사와는 다른 역할 및 능력과 그에 따른 책임이 요구되어 특수교육에서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방자치제 이후 장애인 복지관의 증가와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과 교육재활담당교사들의 처우개선 및 보다 나은 특수교육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서비스에 대한 특수교육의 측면에서의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교사의 배경 변인과 담당교육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85개 장애인복지관 중 성인교육을 제외한 교육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교육재활담당교사로 하였다. 교육재활담당교사의 배경 변인과 교육재활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성향과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t-검정 또는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후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Scheffe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상관 관계를 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연령, 경력, 보수, 직급에서 유의미한 차이 를 보였다. 즉, 연령이 낮은 25세 미만인 교사, 경력이 짧은 3년 미만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100만원 미만의 낮은 보수를 받는 교사에 비해 140만원 이상을 받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직급의 경우 4급이하에 해당하는 교사의 경우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4급에 해당하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연령과 보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교사의 연령이 적은 25세미만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보수에 있어서는 140만원 이상의 급여를 받는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이직성향은 결혼여부와 전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미혼인 교사, 특수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의 이직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2. 교사의 담당교육프로그램 유형은 교육지도 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성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연령별 교육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그리고 이직 성향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 담당교사의 배경 변인과 담당교육프로그램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혼의 젊은 신임 교사들에 대한 관리와 배려가 특별히 요구되며, 장애인복지관의 교육재활 담당교사를 전문가로써 존중하고, 관심을 가지며 교육재활담당교사의 학력과 전공에 상응하는 보수체계의 마련으로 장기 근속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요청된다. 또한 교육재활담당교사에게 보수이외의 보상, 관리자와 동료간의 관심과 협력 등에 의한 정신적인 우대를 통한 지지가 있어야 할 것이다. 상대적으로 많은 분포를 나타내는 경력이 짧고, 특수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들을 위한 슈퍼비젼과 연수 등의 교육 지원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 실시로 장애인복지관 교육재활 담당교사의 전문성 있는 자질 향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초·중등교육을 맡고 있는 취학 반 교사들에 대한 지원과 관심이 있어야 할 것이다. ; Becaus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have influence on their morale, commitment, health, performance of their duty, and retention, etc. decreas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re associated with the success of education. In this aspect, becau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different roles, 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from those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due to job specificity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have more significant meanings in special education. In this country South Koreas situation emphasizing roles of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along with increasing the number since a local self-governing, the research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rehabilitation educato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change of occupation could be basic data providing suggestions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edu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better treatment, and better function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there are few of the researches, which have been done in respect to edu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of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aspect. For that reas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the influence of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education programs in charge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change of job. The participants were 204 educational rehabilitation teachers from 69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have operated edu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except for adult education, out of 85 whole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is country. t-test or ANOVA were conducted to asses the difference in teacher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ndencies of job changing influenced by work environment variables and edu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Pearson r was conducted to indica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teacher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ndencies of job changing based on their background. Teacher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ased on their background, which involved age, career, salary, position level.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job stress. For teachers salary, the higher the salary, the lower the job stress. Job stress of teachers who were at the level under 4 position was the highest. Job stress that teachers at the level 4 position had was the lowest.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ir background, which involved age and salary. As teachers age was higher,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eachers whose salary was less than 1,000,000 won showed lowest job satisfaction. Teachers tendencies of job chan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marriage and major. The tendency of job change was higher in teachers who were single than married. The tendency of job change was higher in teachers who was not major in special education. 2. There was non-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considered based on teaching typ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fluenced by education type by age. 3. Correlation was found for teachers i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ndencies of job chan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background that included age, marriage, major, salary, and position level influence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ndencies of job change. Therefore, special management and consideration are required for new teachers who are not married. It is required to have the system that leads respect for teachers as professionals and job retention through compensation suitable to academic background. It is also necessary for teachers to be supported through extra compensation besides salary and interaction and cooperation among colleagues. Educational supports including special training are also needed for enhancing professional and quality of teachers who are not qualified enough. Supports and consideration fo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school age are also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