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업무환경 및 학습환경과 웹기반 훈련 참여도와의 상관관계

Title
업무환경 및 학습환경과 웹기반 훈련 참여도와의 상관관계
Authors
왕선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our modern society, many enterprises concentrate on developing innovative management strategies and human resources due to various crises caused by rapid change of knowledge and technology. So the use of WBT(Web-Based Training) is increasing in a soaring rate in business training field. Against this backdrop, we have come to alter business environment and develop technologies related to internet and intranet. Today we have lots of studies about web-based training, but most of them are related to effectiveness, evaluation or operation. But we should consider that learning can happen everywhere around our living, and that workplace is a main site for adult in learning, and that the learning taken place in the workplace can be crucial to the learners. Also, the web-based training taken place in the main workplace induces that the study of working environment as an ultimate field of training i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work and learning environment is related to learner participation in web-based training, and to provide of environment contextual information to business training professionals. Below are the specific questions covered in this research: 1. Are the sub items of work environment(Involvement, Coworker Cohesion, Supervisor Support, Autonomy, Task Orientation, Work Pressure, Clarity, Managerial Control, Innovation, and Physical Comport) correlated with learner participation(Learning hours, Learning attainment, Number of disconnected days to net) 1-1. Which sub items of work environment are correlated with how long the learners study? 1-2. Which sub items of work environment are correlated with how much the learners study ? 1-3. Which sub items of work environment are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days the learners disconnect to LearningNet? 2. Are the sub items of learning environment(instructional process, learning facilities, social environment) correlated with learner participation(Learning hours, Learning attainment, Number of disconnected days to net) 2-1. What sub items of learning environment are correlated with how long the learners study? 2-2. What sub items of learning environment are correlated with how much the learners study? 2-3. What sub items of learning environment are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days the learners disconnect to LearningNet? In order to examine these questions, this research set a target group of 536 workers at L corporation. And in final analysis, it used the data of 27 workers who participated in both Work Environment Scale and Learning Environment Questionnaire. There were less participants than expect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research term and education courses. Therefore, determinants such as age or occupation were neglected.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learner particip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ub items of work environment correlated with how long the learners study are Involvement(r= .427, p<.05) and Supervisor Support(r= .412, p<.05). Second, the sub items correlated with how much the learners study are Involvement(r= .482, p<.05) and Supervisor Support(r= .441, p<.05). Third, the sub item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days the learners disconnect to LearningNet were Supervisor Support(r= -.476, p<.05), Autonomy(r= -.507, p<.05) and Work Pressure(r= .414, p<.05) and Managerial Control(r= .547, p<.01).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er particip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ub items of learning environment correlated with how long the learners study were Instructional Process(r= .419, p<.05). In detail, there are Completeness of Content(r= .397, p<.05), Adequacy of Multimedia Contents(r= .421, p<.05), Support from Manager(r= .450, p<.05). Second, the sub items correlated with how much the learners study are Instructional Process(r= .513, p<.05) and Social Environment(r= .415, p<.05). Especially, there are Completeness of Content(r= .504, p<.05), Adequacy of Multimedia Contents(r= .432, p<.05), Comprehensive Atmosphere about Learning(r= .475, p<.05) and Work Pressure(r= .427, p<.05). Finally, sub item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days the learners disconnect to LearningNet was Social Environment. Especially, there are Proper Display(r= -.468, p<.05), Proper Amount of Contents(r= .544, p<.01), Degree of Self-learning Establishment(r= -.409, p<.05) and Work Pressure(r= -.432, p<.05).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to be offered to the organization utilizing Web-Based Training. The supervisors should respect the employees and concern about the workers. And employees should create an atmosphere that their role is crucial and they should also build self-confidence at work, because their intrinsic motivation can inspire the employee to participate in learning.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should let employee perform their duty of working spontaneously, and also make effort to convert strict rules or principles into a facilitator of learning. In addition, comprehensive learning environment, especially self-directed learning climate is recommended. ; 현대사회의 급증하는 지식과 기술로 인한 급속하고 다양한 변화의 위기들은, 기업으로 하여금 혁신적인 경영전략 마련과 조직 내 인적자원에 대한 개발 및 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관심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기업환경의 변화와 인터넷, 인트라넷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하여 기업교육에서 그 사용이 급속히 늘고 있는 것이 바로 웹기반 훈련(Web-Based Training: WBT)이다. 웹기반 훈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그 효과성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이나 구축 및 운영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학습이 생활 곳곳에서 이루어지는 일이고, 성인에게 있어 직장은 주요한 생활공간의 하나이며 거기서 일어나는 학습은 학습자에게 중요한 활동이 된다는 기업교육 및 성인학습의 관점과, 특히 웹기반 훈련이 집합교육과는 달리 업무활동이 일어나는 장소와 동일한 곳에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고려한다면, 궁극적인 학습의 장인 업무환경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이루어져왔던 웹기반 훈련의 성공에 영향을 주는 학습환경적 변인에 대한 연구와 함께, 훈련이 특정 시간이나 장소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교육 참여자들의 업무 중, 그리고 업무 환경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육 참여자들의 학습의 장인 조직의 업무 환경과 학습자들의 훈련 참여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기업 내 훈련에 대한 학습자 참여 증진을 위하여 가치 있는 환경 맥락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업무환경의 하위항목(업무개입성, 사원간우호성, 상사지원, 자율성, 업무중심성, 업무압력, 규칙의 명료성, 통제성, 혁신성, 신체적 편안함)은 학습자의 웹기반 훈련 참여도(학습시간, 학습 진척도, 미접속일수)와 상관이 있는가? 1-1. 업무환경의 하위항목 중 학습시간과 관련이 있는 변인은 무엇인가? 1-2. 업무환경의 하위항목 중 학습량과 관련이 있는 변인은 무엇인가? 1-3. 업무환경의 하위항목 중 미접속일수와 관련이 있는 변인은 무엇인가? 2. 학습환경의 하위항목(교육과정 측면, 학습시설 측면, 사회적 환경 측면)은 학습자의 웹기반 훈련 참여도(학습시간, 학습 진척도, 미접속일수)와 상관이 있는가? 2-1. 학습환경의 하위항목 중 학습시간과 관련이 있는 변인은 무엇인가? 2-2. 학습환경의 하위항목 중 학습량과 관련이 있는 변인은 무엇인가? 2-3. 학습환경의 하위항목 중 미접속일수와 관련이 있는 변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하여 L사의 인터넷 기반 교육과정인 IBL(Internet-Based Learning)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6명 중 업무환경 설문지와 학습환경 설문지에 모두 적절하게 응답을 한 27명의 학습자 자료만을 연구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대상이 된 교육과정은 8월부터 10월 중에 열린 파워포인트 과정이었다. 업무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는 Moos와 Insel 등이 제작한 WES- Form R(Work Environment Scale- Form R)을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학습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는 Dick 과 Carey등의 이론과 여러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한 검사지를 바탕으로 25문항의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참여도를 규명하기 위한 변인으로는 학습시간, 학습량, 미접속일수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L사의 웹기반 학습 플랫폼인 LearningNet에 저장된 내용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s 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방법과 상관관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업무환경과 참여도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첫째, 학습시간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업무환경의 항목은 업무개입성(r= .427, p<.05), 상사지원(r= .412, p<.05) 항목이었다. 즉, 자신이 조직의 활동 및 업무에 깊이 개입되어 있다고 지각할수록, 상사의 부하직원에 대한 지원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습자들의 학습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량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업무환경 항목 역시 업무개입성(r= .482, p<.05)과 상사지원(r= .441, p<.05) 항목이었다. 따라서, 자신이 조직의 활동 및 업무에 깊이 개입되어 있다고 지각할수록, 상사의 부하직원에 대한 지원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습자들이 더 많은 양을 학습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접속일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업무환경의 하위항목은 상사지원(r= -.476, p<.05), 자율성(r= -.507, p<.05)과 업무압력(r= .414, p<.05), 통제성(r= .476, p<.01)과 항목이었다. 따라서, 상사지원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조직에서 사원들에게 자율적 판단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업무 압력을 적게 느낄수록, 그리고 조직 내에서 사원 관리 및 통제를 위한 규칙의 정도가 완화될수록 미접속일수가 줄어든다고 말할 수 있다. 학습환경과 참여도 관련변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첫째, 학습시간과 학습환경 중 교육과정 측면(r= .419, p<.05)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과정 측면에 해당하는 문항 중 학습내용의 충실성(r= .397, p<.05), 멀티미디어 자료의 적절성(r= .421, p<.05), 운영자들의 학습지원 정도(r= .450, p<.05)가 학습시간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량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학습환경의 교육과정 측면(r= .513, p<.05), 사회적 환경 측면(r= .308, p<.05)에서 나타났다. 특히, 학습내용의 충실성(r= .504, p<.05) 멀티미디어 자료의 적절성(r= .432, p<.05), 학습활동에 대한 우호성(r= .475, p<.05)과 업무부담정도(r= .427, p<.05)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미접속일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학습환경의 측면 역시 사회적 환경 측면으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자율학습 문화의 정착정도(r= -.409, p<.05), 업무부담정도(r= -.432, p<.05)가 미접속일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최근 기업들은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직원들에 대한 훈련에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를 뒷받침해주는 것 중 하나가 웹기반 훈련이다. 학습자들의 학습활동은 그들이 속해있는 상황적 맥락과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할 때, 기업교육 전문가들은 학습에 대한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 있어, 궁극적인 훈련의 장인 되고있는 업무환경, 그리고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기제인 학습환경에 대하여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업무환경 측면에서는 상사의 지원 이 학습에 대한 참여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부하직원을 존중해주고, 직원들의 행동에 관심을 가지며, 잘한 일에 대해서는 칭찬을 해주고, 직원들과 빈번한 상호작용을 하는 등 상사는 직원들에 대하여 이러한 분위기를 조성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직원들에게 그들이 하는 일이 매우 의미 있는 일이며, 자신이 조직 및 업무에 깊이 개입되어 있어 조직에 매우 중요한 구성원이라는 것을 의식하게 해야 한다. 동시에 직원들로 하여금 조직에 자부심을 가지도록 한다면, 이러한 내적인 자부심과 동기를 통하여 직원들은 학습에 대한 의욕과 동기를 고취시킬 것이다. 학습자의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에서의 전반적인 상사들의 지원 뿐 아니라, 이들의 업무중 학습에 대한 인식과 조직 전반에서 학습을 장려하는 분위기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위해서는 상사들만의 인식 변화 뿐 아니라 동료들간에 서로의 학습을 인정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분위기의 조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기간 동안 한정된 조직 내에서 연구의 과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특정 과정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다보니 연구 대상자의 수가 매우 적을 수 밖에 없었다. 추후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여 연구 대상자의 수를 확대하고, 나아가 본 연구에서 하나의 과정을 중점으로 살펴보았던 것에서 발전시켜 여러 과정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과정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 변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업무환경·학습환경과 웹기반 훈련 참여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이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몇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와 더불어 이제는 다른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웹기반 훈련 참여도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을 찾아낼 수 있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예컨대, 단순 상관 연구가 아닌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한 후속 연구가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는 국내 기업 중 L사를, 그 중에서도 전자부문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L사의 경우 웹기반 훈련을 실시한지 이미 3년가량 되었을 뿐 아니라, 그 연구의 대상이 특정 집단에 대해 국한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웹기반 훈련을 실시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기업의 경우 또는 전혀 다른 조직 풍토를 가진 기업을 포함한 더욱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이후 연구에서는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업무환경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환경 요소 중 학습 참여와 관련된 항목을 규명해내고 전반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제는 더 나아가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업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기업이 쉽게 참고할 수 있는 job aid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