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3 Download: 0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와 관련변인 연구

Title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와 관련변인 연구
Authors
이미숙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과정 혁신사례인 제6차 슬기로운 생활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실행형태들을 기술하며,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인들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구체화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6차 슬기로운 생활 통합교육과정의 구성요소별 실행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제6차 슬기로운 생활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가 상이한 집단에 있어서, 교육과정 실행형태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셋째, 제6차 슬기로운 생활 통합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인들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제6차 슬기로운 생활 통합교육과정의 문서를 검토하여 교육과정 요소를 선정하고, 제6차 슬기로운 생활 통합교육과정의 개발작업에 참여한 5명의 교육과정 전문가와의 면담을 실시하여 선정된 요소들을 정련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관련영역의 통합 과 학습활동의 다양성 , 활동중심의 평가 의 세 가지 요소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교육과정 요소에 기초하여 작성된 제6차 슬기로운 생활 통합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총 38개교 355명의 1·2학년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와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과정이 실행되고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형태에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세 가지 유형의 관찰대상 집단을 설정하였다. 관찰대상 집단은 사분위수(quartile)의 개념에 기초하여 설정되었으며, 질문지 조사를 통해 분석된 실행정도에 있어서 하위 25%에 해당되는 교사들과 상위 25%에 해당되는 교사들, 평균을 중심으로 가장 보편적인 실행정도를 나타낸 50%의 교사들로 구분하여 세 가지 유형의 집단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응답자들 중에서 가장 낮은 실행정도를 나타낸 교사집단을 제1실행집단으로 명명하였고, 평균적 실행정도를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교사들을 제2실행집단으로, 가장 높은 실행정도를 나타낸 교사들을 제3실행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분류된 3개 실행집단별로 각각 7명씩의 교사를 표집하여, 총 21명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을 관찰하고 평가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관찰된 수업상황에서 나타난 구체적 실행형태의 특징을 기술하기 위해 양적인 측면에서의 경향을 밝히고 전형적인 사례들을 묘사하였으며, 교육과정 혁신의 실행관련 변인이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해 발견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6차 슬기로운 생활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를 분석한 결과, 요소1. 관련영역의 통합 은 6점척도상에서 4.14의 실행정도를 나타냈고, 요소2. 학습활동의 다양성 은 4.01, 요소3. 활동중심의 평가 는 4.19의 실행정도를 나타냈다. 둘째, 3개 집단별 통합교육과정 실행을 관찰하고 평가에 대한 면담을 실시한 결과, 제1실행집단의 교사들 중에는 통합적 접근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분과화된 수업을 하거나 학습주제와는 무관한 내용의 과제학습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교사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집단의 통합교육과정 실행에서 가장 빈번하게 시도된 자연적 현상과 즐거운 생활 영역의 통합은 탐구의 결과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게 하는 데 국한되어 있었으며, 다양한 표현활동이나 놀이 활동은 매우 저조한 빈도를 나타냈다. 이 집단의 교사들은 학습활동시의 아동의 행동을 상대적 관점에 기초하여 평가하고 있다고 진술하였는데, 이러한 측면은 이 집단의 교사들이 목표지향적 절대평가를 강조하고 있는 제6차 슬기로운 생활 통합교육과정의 개발의도와는 부합되기 어려운 평가를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제2실행집단의 경우에는, 자연적 현상과 바른 생활 영역의 통합 및 사회적, 자연적 현상과 즐거운 생활 영역의 통합을 가장 많이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수업 중 교사의 설명이 차지하는 비율이 제1실행집단에 비해 다소 감소되었으며 반면에 다양한 표현활동의 빈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 집단의 교사들은 아동에 대한 개별적 평가에 기초하여 절대평가의 원리를 적용하고 있다고 진술하였으며,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의 평가영역을 비교적 명확히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실행집단의 실행에서는 세 가지 이상의 관련영역을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으며 미술적 표현활동과 놀이 활동을 비롯한 보다 다양한 학습활동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집단의 교사들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평가기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수행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평가자료를 수집하고 있다고 진술하였으며, 자신의 통합교육과정 실행에 보다 적합한 평가기법을 창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에 따라 분류된 각 집단의 실행형태에는 질적인 차이가 있으며, 실행정도가 높은 집단의 교사들일수록 다양한 관련영역과 학습활동의 통합을 시도함으로써 통합성의 정도가 향상된 실행형태를 나타내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관찰된 어떤 실행집단에서도 제6차 슬기로운 생활 통합교육과정의 가장 핵심적 영역인 사회적 현상과 자연적 현상에 대한 통합의 사례는 빈번하게 관찰되지 않았으며, 그 이외의 관련영역들이 보다 활발히 통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측면은, 현행 교육과정 자체에 사회적 현상과 자연적 현상의 통합이 체계적으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인들이 무엇인지를 검증한 결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있는 학교풍토, 학교장과 교사간의 지속적 의사소통, 교사의 사기,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간 협의, 기본취지와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사의 관심, 효능감의 순으로 영향력의 크기가 나타났다. 상이한 실행정도를 나타낸 집단별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순서가 어떠한지 분석한 결과, 제1실행집단의 경우에는 자유로운 작업환경 풍토와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 교육행정기관의 질관리체제 등의 순으로 영향력의 크기가 나타났으며, 제2실행집단에서는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학교구성원 개인의 인격이 존중되는 풍토, 학교장과 교사간의 지속적 의사소통 등의 순으로 영향력의 크기가 나타났다. 이에 비해, 제3실행집단에서는 통합교육과정의 기본취지와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이라는 과업의 효율적 성취를 격려하는 학교풍토, 학교규모 등의 순으로 영향력의 크기가 나타났으며, 이 중 학교규모의 크기는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소규모의 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이 대규모 조직의 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보다 높은 실행정도를 나타냈음을 의미한다. 통합교육과정의 실제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교육과정 혁신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면적 요인에 대한 고려를 요청하고 있다고 할 것이며, 교사들의 실행정도에 따라 분류된 집단별로 그들의 교육과정 실행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들의 양상이 다르다는 점은 곧 각 집단의 교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향이 무엇인가를 시사해 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일한 교육과정 혁신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구체적 실행형태에는 질적인 차이가 있으며, 그러한 상이한 실행형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인들의 양상 또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새로운 교육과정의 실행을 통해 의도되고 있는 변화의 과정에는, 진정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보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는 표면적 변화의 단계와 기존의 실행형태를 탈피하여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실제적 변화의 단계, 변화의 의도를 충실하게 실행하면서 주어진 교육과정을 보다 정련해 가는 이상적 변화의 단계가 연속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속선의 한 쪽 끝인 보다 가치로운 방향을 향해 지속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단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의 특성을 고려한 실제적인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identifying the educational practice reflecting upon different innovation configuration of the 6th Intellegent Life integrated curriculum and influencing factors. The questio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re specified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fidelity score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what are the concrete innovation configuration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Third,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to 35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observa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interview about assessment were performed to 21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 for the fidelity scores, component 1. integration of subjects indicated 4.14point on the scale of 6 points, the score of component 2. diversity of learning activities is 4.01, the score of component 3. activity-based assessment is 4.19. According to such fidelity scores analyzed by the survey, three types of implementation groups were defined. The 1st implementation group was composed of the 93 teachers who marked the low fidelity score, and the 2nd implementation group was consisted of the 175 teachers who indicated the general fidelity score around the mean. The 3rd implementation group was composed of the 87 teachers who markded the high fidelity score. 2.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revealed that there were the teachers who were practicing departmentalized way of teaching. Considering the learning activities, teachers explanation marked the highest frequency, but the various ways of expressive activities and play indicates very low rate. The teachers in this group replied in the interview that they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learners based on comparative point of view among children. The teachers in the 2nd implementation group disclosed that they try the integration of two other subject fields. The frequency of the teachers explanation was decreased than the 1st implementation gruop. The frequency of expressive activities was increased. They replayed in the interview that they were performing the objective-based assessment for the individual child in the integrative assessment domains according to the formal curriculum. The result of the 3rd implementation group indicated that the teachers try the integration of more than 3 subjects. They apply artistic expressive activities and play activities most frequently while the rate of teacher-centered explanation decreased notably. They replied in the interview that they were gathering very inclusive assessment data applying various methods. Additionally, they were thinking and using more adequate assessment methods to their own implementation like mind-map approach. These results reveal that the innovation configurations are very different although the curriculum innovation is offered to all schools uniformly. 3.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different innovation configuration showed that the fidelity of the 1st group is influenced by the free working climate, the concern of the teachers about integrated curriculum and assessment system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s for the 2nd implementation group, it is showed that the fidelity of this group is influenced by the concern of the teachers about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climate of respecting the individual teachers and continuous communication of implementation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Finally, it is analyzed that the fidelity of the 3rd implementation group is influenced by the knowledge of the teachers about the basic purposes and objective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climate of encouraging the effective accomplishment of the implementation and the school size. These results imply the actual difference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curriculum innovation.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three types of implementation groups are different, also. The change process intended by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innovation includes the surface dimension which reveal much limits for actual change, practical change dimension to try innovative curriculum approaches partially, and the ideal change dimension to actualize the intention of the curriculum change and to refine the formal curriculu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o make the continuous improvement in these series of change, the practical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h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to each dimension implies what are the central directions of such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