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예술상품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Title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예술상품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정은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사 대상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그들이 지닌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고, 이러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예술에 대한 인식과 예술상품에 대한 소비행태를 분석함으로써 예술상품 소비성향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사 대상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들에 있어서 예술상품 소비행태에 어떠한 차이가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분석자료를 위해 서울, 광역시, 지방 중소도시의 미술전시회, 클래식음악.오페라공연, 국악공연, 연극공연, 무용공연 중 한번이라도 관람한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조사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에 기입하도록 하는 방법과 전화조사, e-mail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요인분석, 신뢰도검사, 군집분석, 카이 스퀘어(χ²-test), 교차분석, ANOVA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라이프 스타일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한 결과, 건실.노력형, 과시소비형, 진보적 여가활동형, 안정적 사교형, 진취적 미래대비형, 알뜰소비형, 진보적 사고형으로 총 일곱개 요인으로 나뉘어졌다. 둘째, 요인점수에 따라 군집분석을 한 결과, 3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요인점수에 따른 3개의 군집은 과시소비지향적 군집, 건실.미래지향적 군집, 진보적 여가활동지향적 군집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직업, 교육수준, 소득수준, 거주지역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연령, 성별, 직업, 교육수준, 거주지역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 스타일 유형 별 예술상품 소비행태를 예술에 대한 관심, 5개 예술문화공연의 관람특성, 예술상품 소비행동특성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라이프 스타일 유형별 미술 전시회 관람 특성에서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라서 관람여부, 관람방법, 관람동행자, 관람이유, 미술전시회의 보안점, 비관람자들의 관람의사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연평균 관람횟수, 관람 결정자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클래식 음악. 오페라 공연에서는 연평균 관람 횟수, 관람방법, 관람동행자,관람결정자, 클래식 음악.오페라 공연의 보안점에서는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관람여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통예술공연에서는 관람 여부와 연평균 관람횟수, 관람방법에 있어서는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관람동행자,관람결정자, 관람이유, 보안점, 비관람자들의 관람의사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극공연의 관람여부, 연평균 관람횟수. 관람방법, 관람결정자, 관람이유, 연극공연의 보안점에 있어서는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관람동행자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용공연에서는 관람여부, 연평균 관람횟수, 관람방법, 관람동행자, 비관람자들의 관람의사,무용공연의 보안점은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관람결정자, 관람이유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예술상품 소비행동특성에서 라이프 스타일 유형 별 공연정보의 원천, 선호하는 공연물, 예술공연 관람 시 장애요인은 모두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공연 선택 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에서는 공연물 선택 시 입장권 가격, 할인정도, 공연될 작품이나 작가의 유명세, 공연단체나 출연진,연출가, 지휘자의 유명세, 공연장의 유명세, 공연장의위치의 영향정도는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라서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인 반면에, 작품이나 연주가에 대한 사전경험의 만족도, 작품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의 영향정도는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람동기에서는 스트레스 해소, 공연자와의 공감대 형성, 문화생활을 한다는 자부심은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라서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이는 반면에, 생활의 활력소, 즐거움, 정신적 만족감, 삶의 질 향상, 교양습득을 위한 관람은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예술상품을 발전시키기 위해 역점을 두어야 하는 사항은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몇 개의 집단으로 유형화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된 생활양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예술상품 소비행태의 차이를 살펴 보고자 시도하였다. 이 결과물은 소비자들의 인구통계학적 구성요소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예술상품 소비성향의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예술상품 소비자 세분화 전략에 의한 마케팅의 필요성을 인식시켜 줄 것이다. 덧붙여, 소비자 자신에게 있어서는 자신이 어떠한 라이프 스타일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예술상품 소비에 어떠한 성향을 가지는지에 대한 파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문화생활을 구축하고 영위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The study subjects sampled from the populati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o their lifestyles. The knowledge of art and the behavior of its appreciation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rend of the art appreciation among the groups. The lifestyles of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o assess the differences among them in the behavioral patterns of art appreciation. The study subjects consist of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f age, who had any experience in appreciating such art performances as fine art, classical music and opera, Korean traditional music, drama, and dance. The arts were performed in the capital, major, and rural cities of Korea. The subjec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offered either as printed materials or through communications via telephone or e-mail. The data obtained from both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were assessed by the analytical methods of frequency rate, percentage, factor, reliability, and cluster, and by the statistical methods of chi-square and ANOVA tests. Here are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1. Seven factors in the lifestyles of subjects are those of the sound conscientiousness, the stable sociableness, the extravagance, the thriftiness, the in-leisure activeness, the avant garde thinking, and the progressive future planning. 2. Three groups are organized to the grades in seven factors, namely, the conscientious future planner, the conspicuous consumer, and the aggressive leisure indulger. 3. The groups differ significantly in sex, age, occupation, education, and domicile, but do not differ in income. 4. The behavior of art appreciation in each group is analyzed to the degree of seven characteristics in art appreciation. In fine art exhibi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s to the participation or non-participation, the method, the companion, the motivation, the supplemental suggestions to exhibition, and the prospectiv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non-participants, but no difference to the average annual rate of participation, and the decision-maker in participation. In the classical music and opera performanc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s to the method, the companion, the average annual rate of participation, and the decision-maker in participation, and the supplemental suggestions to performance, but no difference to the participation or non-participa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s to the method and the average annual rate of participation, but no difference to the companion, the motivation, the supplemental suggestions to performance, the prospectiv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non-participants, and the decision-maker in participation, In the drama performanc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s to the method, the motivation, the supplemental suggestions to performance, the average annual rate of participation, the decision-maker in participation, and the participation or non-participation, but no difference to the companion. In the dance performanc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s to the method, the companion, the motivation, the participation or non-participation, the supplemental suggestions to performance, the average annual rate of participation, and the prospectiv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non-participants, but no difference to the decision-maker in participation and the motivation. The information source of performance, the preference of art works, and the hindering factors in participation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characteristics of art appreciation.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on of performance are the ticket price, the degree of price discount, the degree of reputation in theater, staff, artist and location. And all of them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re are no difference in the complacency on precedent performance and the critics’ opinion. The alleviation of daily stress, the sympathy with artists, and the complacency of leading a culture lif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but no difference is observed in the revitalization of life, the mental happiness, the complacency, the life-quality improvement, and acculturation. The importance of underlining the development of art production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ifestyle groups. Attempts are made in this study to classify the lifestyles of subjects into three groups, to analyze their differences in terms of population statistics, and to understand the trend of diverse lifestyles in the behavior of art appreciation. The results show the differences in population statistical component factors and the trend of lifestyles in art appreciation. And they signify the importance of the classification of consumers of art production in the marketing strategy. In addition, the consumers themselves may be able to understand in which group of lifestyle they take part, and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of art production they have. Therefore these results may be useful for them to plan and improve their lifestyle in the culture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