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3 Download: 0

자기점검법이 초등학교 자폐 학생의 수학과제 수행행동 및 성취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점검법이 초등학교 자폐 학생의 수학과제 수행행동 및 성취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노진아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자폐 학생들은 그들의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고 통제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에, 자신이 할 수 있는 과제를 수행할 때에도 짧은 주의집중력과 높은 외부 의존성을 나타내곤 한다. 이러한 자폐 학생들의 주의력 결핍과 높은 외부 의존성은 학습 활동에 지장을 주게 되어서 성공적인 학교 생활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가정, 학교,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방해할 것이다. 따라서 자폐 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그들이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 있는 다양한 삶의 공간에서 가능한 한 생산적이고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개인의 주체적인 역할을 강조하여서 장애학생이 오랫동안 보조자 없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도록 하는 자기관리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자폐 학생의 수학과제 수행행동 및 성취의 향상을 목적으로 자기관리법 중의 하나인 주의집중-자기점검법과 수행-자기점검법을 훈련한 후 이것이 학생의 수학과제 수행행동과 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고, 중재가 종결 된 3주 후에도 획득된 행동 변화가 유지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학생은 주의력 결핍과 높은 외부 의존성의 문제를 보여 낮은 수학과제 수행행동과 성취를 보이며, 시간제 특수교육 서비스를 받고 있는 세 명의 초등학교 자폐 학생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서 기초선, 중재,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벨소리를 제공하였지만 벨소리에 대한 어떠한 중재도 제공하지 않았다. 중재는 훈련과 관찰 기간으로 나누어 졌으며, 훈련기간 동안에 대상학생들은 주의집중-자기점검법과 수행-자기점검법을 함께 훈련받았다. 관찰기간 동안에는 주의집중-자기점검 기록지 기록, 주의집중-자기점검 그래프 그리기, 수행 자기점검 기록지 기록, 수행-자기점검 그래프 그리기 활동 즉, 자기기록 요소들을 제외하고, 청각적인 단서인 벨소리만 들으며 수학 자율학습 과제를 풀었다. 그리고 관찰 기간에 과제수행 행동 혹은 과제 완수율이 90% 이상으로 연속 4회기 동안 지속되면 벨소리를 소거시켰다. 또한 벨소리가 소거된 관찰기간에 대상학생이 과제수행 행동 혹은 과제 완수율이 90% 이상으로 연속 4회기 동안 지속되면 중재를 종료하였다. 중재가 종료되고 3주 후에 총 4회기 동안 벨소리가 소거된 상태에서 유지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수학과제 수행행동이 향상되었다. 둘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수학과제 완수율이 향상되었다. 셋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수학과제 정확율이 향상되었다. 넷째, 유지검사에서 대상학생 모두 높은 수준의 수학과제 수행행동과 성취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자기점검법은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고 통제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초등학교 자폐 학생들의 수학과제 수행행동 및 성취 수준을 향상시키고, 중재가 종결된 후에도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of attention and self-monitoring of performance on attention and task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autism. In this study, three students with autism were selected from self-contained classroom who had inattention and external control problem. Using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ir percentage of on-task behavior, percentage of completed, correct problems of math task were increased. During the training session, target students were trained to use two self-monitoring techniques: self-monitoring of attention and self - monitoring of performance for the independent seatwork. Follow-up observation was implemented 3 weeks after withdrawing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Self-monitoring of both attention and performan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on-task behavior. 2. Self-monitoring of both attention and performan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ompleted problems of math task. 3. Self-monitoring of both attention and performan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orrect problems of math task. 4. Increased level of on-task and task achievement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autism can learn self-monitoring techniques and that self-monitoring alone can be successfully used a powerful intervention technique on students with autism to manage on-task behavior and task performance independently in school settings. It is relatively simple to implement, quickly reaches the point at which it requires little supervision time, and can be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become more successful and independent in their classroom and in everyday life. And self-monitoring is promising research direc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 - monitoring on attention and achievement across a variety of tasks, behaviors, children and environ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