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8 Download: 0

집단관리기법이 제조간접비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itle
집단관리기법이 제조간접비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uthors
김혜진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advent of changes in the production industry and the overall competitive environment has resulted in a shift in the perspective of management accounting from the present plan and control strategy which focuses on material, labor, manufacturing overhead cost to a quality, technology, innovation, and flexibility based philosophy. Moreover, the acceleration of automation has caused a decrease in direct cost while presenting an increasing interest in manufacturing overhead cost that supports the production process. Manufacturing overhead cost not only presently occupies a large portion of the cost structure of organizations but has also been found to be induced by production and support activities. In order to ensure the gain of a competitive advantage, efficient control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and strategic cost management, studies on how cost drivers influence manufacturing overhead cost have become a growing necessity. Also in order to reveal the source of realistic cost competitiveness, not only is there a need for the advancement of studies on structural cost drivers, but comprehension of the influences of executional cost drivers is also imperative.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paper are as follows: First, an inquiry on how GT as an executional cost driver influences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Second, to investigate how the implementation of executional cost drivers can alleviate,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overhead cost caused by structural cost driv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T positively affects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Second, product variety negatively affects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Third, GT did not play a role in moderating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caused by product varie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enefit of GT could be empirically verified. Second, the practicality of GT as executional cost driver could be empirically verified. Third,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cost management, will contribute toward an analysis and application of executional cost drivers.; 오늘날 기업들은 급격한 경영 환경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기술 발전의 가속화, 제반 규제 조치의 완화, 소득 증대로 인한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전 세계적인 경쟁의 심화 등으로 인하여 혁신적인 경영관리를 통한 기업 경쟁력의 강화가 없이는 생존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제품차별화가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지속적인 원가절감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기업은 고품질의 다양한 제품을 낮은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기 위해 새로운 생산시스템의 도입을 통한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 환경의 변화는 원가구조에 변화를 초래하였고, 원가구조의 변화는 원가관리의 중점을 제조간접비의 효율적 파악과 통제로 전환시키고 있으며 전통적 원가관리 회계 시스템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제조간접비의 효율적인 관리와 더불어 전략적 원가관리를 위해서 기업의 원가동인에 관한 새로운 관점이 필요해졌다. 즉 조업도와 같은 기업의 원가구조만을 보여주는 구조적 원가동인 이외에 기업의 운영 수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다른 기업이 모방하기 힘든 경쟁우위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실행적 원가동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해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품종 소량시스템에서의 생산성 향상 목적으로 도입된 집단관리기법을 기업의 운영수준에서 발생하며 경쟁적 우위를 갖게 하는 실행적 원가동인으로 보고 이것이 제조간접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 보았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적 원가동인으로서 집단관리기법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실행적 원가동인은 구조적 원가동인과 달리 그 실행도가 높을수록 제조간접비를 감소시키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실행적 원가동인으로서 집단관리기법이 제조간접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실행적 원가동인의 활용을 통해 구조적 원가동인으로 인한 제조간접비의 증가가 상쇄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 확인된 구조적 원가동인으로서의 제품다양성과 제조간접비 개선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가 집단관리기법의 활용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즉 제품다양성이 제조간접비 개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집단관리기법으로 인해 조절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관리기법이 제조간접비의 개선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본 결과 집단관리기법이 제조간접비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무적으로 폭넓게 사용되던 집단관리기법의 실행적 원가동인으로서의 유용성이 실증적으로 지지되었다. 둘째, 생산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제품다양성과 제조간접비의 개선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본 결과 제품다양성은 제조간접비 개선정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품다양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제품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된 여러 거래 활동들이 늘어남으로써 제조간접비 개선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셋째, 구조적 원가동인과 실행적 원가동인의 상호작용이 제조간접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계층적 회귀분석의 결과 집단관리기법의 실행도가 제품다양성과 제조간접비 개선의 부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추가적으로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또 다른 통계 방법인 집단관리기법을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에서 제품다양성과 제조간접비 개선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하위집단상관관계 분석(sub-group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역시 집단관리기법의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입증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관리기법의 효익을 실증한 국내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외국에는 집단관리기법의 활용 및 효익에 관한 연구가 많이 있으나 국내의 연구는 주로 생산공학 관점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집단관리기법이 실무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는 이론적 배경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실행적 원가동인의 유용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했다는 것이다. 실행적 원가동인의 유용성은 인정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집단관리기법을 실행적 원가동인으로 보고, 제조간접비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기업의 전략적 수준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행적 원가동인에 대한 분석과 활용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에 대한 측정의 오류(measurement error)이다. 구체적으로 GT 실행이후의 제조간접비 개선정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측정상의 오류이다. 표본대상 기업마다 GT 실행 후 얼마나 시일이 지났는가는 다를 수 있으며 이는 GT의 실행효과 즉 제조간접비 개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GT 실행후 기간이 많이 경과된 기업과 GT를 이제 막 실행하기 시작한 기업의 경우 제조간접비 개선정도에 미치는 효과는 상이할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GT 실행기간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측정상의 오류는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GT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시 조절변수로서의 가설이 기각된 것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된다. 둘째, 제품다양성 측정의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내 평균 제품 수와 비교한 다양성의 정도로 제품의 다양성을 측정하였으나 이는 설문 응답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많이 개입될 소지가 있다. 또한 산업 평균이 업계에서 명확한 기준점으로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의 여지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 설문지법을 택할 때에는 현장 방문과 조사를 통한 후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를 가장 잘 반영하는 측정도구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제품다양성과 같이 합의된 명확한 측정도구가 없는 경우 더욱이 연구자의 연구 목적에 맞는 조작적 정의를 위해서는 현장에 대한 폭넓은 지식이 요구된다 하겠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제조간접비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실행적 원가동인으로 집단관리기법만을 고려하였다. 그러나 집단관리기법은 단독으로 실행될 때보다 JIT 생산방식 및 기타 자동화와 관련되어 함께 실행될 때 그 효익은 더 커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 집단관리기법과 연관하여 다른 실행적 원가동인을 함께 고려하여 제조간접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두 개의 산업에 대하여 횡단면적 자료를 이용하여 실행적 원가동인으로서 집단관리기법의 유용성을 밝혔다. 그러나 자료의 획득이 어렵더라도 집단관리기법을 도입한 전후의 제조간접비 개선정도를 비교해 볼 수 있다면 즉, 시계열 자료를 통한 연구가 가능하다면 실행적 원가동인의 유용성을 보다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모든 변수를 측정함에 있어서 응답자들의 주관적인 응답에만 의존하여 객관성이 결여될 염려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기업의 수가 한정되더라도 기업의 객관적인 내부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면 보다 타당성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