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다면평가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Title
다면평가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상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many korean companies, the introduction of multi-source appraisal is increasing rapidly to improve performance appraisal s objectiv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activat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 But precedent studies for multi-source appraisal are so scarce that more studies regarding this are requir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multi-source appraisal affects effectiveness of appraisal system in terms of appraisee s attitudinal and behavioral reactions. Specifically, first, this study intend to show design of the effective multi-source appraisal system by examining how the characteristics of multi-source appraisal system affects appraisee s acceptance on appraisal system. Second, this study sugges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ppraisee s positive attitude on multi-source appraisal system by verifying an significant impact of appraisee s attitude on behavioral response. Third, this study will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purpose type between characteristics of multi-source appraisal and appraisee s acceptance. This study is shown in the following diagram.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To verify this model, first, preceding studies were compared to prepare a theoretical basis of this study, and after being created accompanying hypothesis and model, demonstrative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170 appraisees in the companies which are implementing the multi-source appraisal syst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source appraisal affect appraisee s acceptance on multi-source appraisal system in overall. Evaluation criteria, appraiser credibility, and feedback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ppraisee s acceptance. And appraiser anonymity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it. Second, as was expected, appraisee s acceptance impacts on appraisee s behavioral response, action planning. Third, mediating effect of appraisee s acceptance show some significance in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multi-source appraisal and action planning. Fourth, purpose type of multi-source appraisal has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source appraisal and appraisee s accept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ollowing; First, in the situation which precedent studies for multi-source appraisal system are not enough, this study prove the factors which affects appraisee s attitude, that is, acceptance on multi-source appraisal system.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appraisee s attitudinal variable on appraisal system affects one s behavioral response. Third, importance of appraisee s attitude, that is, qualitative criteria in performance appraisal were identified.; 최근 국내에서는 인사평가의 객관성 향상과, 조직 구성원들의 공식적 의사소통의 통로확보를 통한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해, 다면평가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하향평가가 상사만의 시각을 통한 평가로 객관성 결여와 충분한 평가가 부족하다는 점에 비해, 다면평가는 개인의 업무수행을 다각적인 관점으로 평가하여 평가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또 더욱 풍부한 피드백을 통하여 피평가자의 육성과 업적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기업들이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연구는 다면평가를 도입, 시행하는 기업의 현실에 비해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다면평가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아직 평가자들 간의 평가특성차이에 관한 연구를 통해 다면평가제도의 신뢰성, 타당성에 대해 살펴보는 정도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또 기존의 하향식 평가에 관한 연구는 평가제도에 대한 피평가자의 태도를 주제로 연구하였더라도, 피평가자의 태도가 직무관련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태도변수의 결과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면평가제도의 특성이 평가의 효과성을 진작시키는데 있어 피평가자의 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평가제도의 효과성, 나아가 조직의 효과성에 대한 피평가자의 태도가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면평가제도의 특성이 피평가자의 평가제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다면평가제도가 어떻게 설계되는 것이 평가제도의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반응변수를 태도변수와 행동반응변수로 나누어, 이들간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피평가자의 긍정적 태도가 구체적 행동으로 직결되는 관계를 검증하여, 피평가자들의 긍정적 태도형성이 평가제도의 효과성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한다. 셋째, 다면평가제도의 특성과 피평가자의 수용도와의 관계에 있어, 다면평가제도의 활용목적을 상황변수로 설정하여 두 변수간 관계에 조절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연구들을 비교 검토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이에 따른 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후, 다면평가를 실시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다면평가제도의 특성이 피평가자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전반적으로 지지되었다. 평가준거, 피드백에 대한 지각수준과 평가자의 신뢰성 정도가 증가할수록 수용도의 수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자의 익명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피평가자의 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가 계획수립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예측한대로 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가 높을수록 계획수립 행동의 정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제도의 특성과 계획수립 행동의 관계에 피평가자의 수용도가 미치는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는데, 평가준거와 계획수립행동의 관계, 평가자 신뢰성과 계획수립 행동의 관계에 있어서는 피평가자의 수용도가 완전 매개 역할을, 피드백과 계획수립 행동의 관계에 있어서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평가제도의 특성과 피평가자의 수용도의 관계에 다면평가의 목적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평가준거, 평가자 신뢰성, 피드백이 피평가자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다면평가의 육성목적에 대한 지각정도는 전혀 조절적 영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평가자의 익명성은 수용도에 미치는 주효과가 유의하지 않음을 보였지만 육성목적에 대한 지각과 상호작용하여 수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면평가의 국내도입 실태에 비해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다면평가에 대해 피평가자는 어떠한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지, 이에 대해 평가제도의 특성변수가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 이에 따라 실무적으로 다면평가를 설계하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 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평가제도에 대한 태도변수가 행동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면평가에 관한 연구뿐 아니라 국내외 기존의 수많은 인사평가에 관한 연구를 통틀어 평가에 따른 태도변수나 행동반응을 살펴본 경우는 많지만, 이 두 변수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피평가자의 행동이 평가제도의 효과성, 나아가 조직의 효과성의 첫단계가 될 것이라고 보고 계획수립 행동을 측정, 이를 평가제도에 대한 태도변수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태도변수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증명하였다. 셋째, 평가제도에 대한 피평가자의 태도, 즉 인사평가의 질적 준거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평가제도의 장기적 실행가능성과 궁극적으로 조직효과성을 진작시키는데 있어서 평가제도에 대한 피평가자의 긍정적 태도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면평가에 대한 태도를 피평가자의 입장에서만 살펴본 점을 들 수 있다. 다면평가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 대부분이 동시에 평가자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피평가자의 입장뿐 아니라 평가자로서의 태도, 혹은 이 두 변수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둘째, 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변수를 평가제도의 특성에만 국한시켰다는 점이다. 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를 결정할 수 있는 요인들은 평가제도의 특성뿐 아니라 피평가자의 개인적 특성, 속해있는 조직의 특성, 그리고 조직내 대인간 사회적 상황변수들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총체적 상황을 고려하여 그 인과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수용도의 결과변수로 계획수립 행동만을 살펴본 점이다. 생산성과 같은 객관적 지표를 사용하여 측정한다면 수용도의 실질적 효과를 더욱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설문조사 방법에만 의존한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사평가라는 기업의 실제적 제도에 대하여 초점을 두고 있으므로, 설문지법만을 이용하여 변수들간의 정확한 인과관계를 밝혀내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실험연구를 통해, 아직 초기단계인 다면평가에 관한 연구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표본을 다면평가를 실시기업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업종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데 어려움이 존재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전 업종에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국내에서 다면평가의 도입이 더욱 확대되고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좀더 다양한 업종을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횡단적 연구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다면평가의 효과성, 우월성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다면평가 도입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살피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혹은 다면평가를 실시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차이를 살펴보는 비교연구를 수행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